공유하자

200421_[성명서]_사회보장위원회 위원장, 보건복지부장관, 행정안전부장관 만65세 활동지원서비스 사각지대를 긴급해결을 위한 면담을 요구한다.

  • [보도&성명]
  • kcil
  • 04-23
  • https://www.kcil.or.kr/post/121

성명서

 

 

사회보장위원회 위원장, 보건복지부장관, 행정안전부장관

65세 활동지원서비스 사각지대를

긴급해결을 위한 면담을 요구한다.

 

국가인권위원회는 2020.2.10. 65세 이상 중증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긴급 정책 개선을 권고하였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는 긴급 정책 개선 권고를 받은 기관 중 사회보장위원회 위원장(국무총리), 보건복지부장관, 행정안전부장관의 면담을 요구한다.

 

국가인권위원회가 긴급하게 정책 개선 권고를 내린 활동지원서비스 만65세 연령제한 문제는 너무나 오래전부터 문제제기를 했다. 사회보장위원회에서의 단식점거농성, 국가인권위원회 긴급 구제 신청, 문재인 대통령의 국민과의 대화에서 언급, 장애인활동지원법 개정 등 수많은 투쟁과 응답이 있었던 심각한 문제이다.

 

65세 활동지원서비스 사각지대로 인해 중증장애인이 생명의 위협에 처해 있다. 더 이상 시간을 끌지 말고 즉각 조치를 취할 것을 강력히 요구하며, 이 문제 해결을 위해 정책 권고를 받은 각 기관장들의 면담을 요청한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는 국가인권위원회에서 발표한 만65세 이상 중증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연령제한(이하 만65세 연령 제한)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긴급정책개선 권고에 적극 지지한다.

 

현재 중증장애인의 만 65세 연령 제한 정책은 수많은 중증장애인의 자립을 위협하고 사지로 몰아넣는 반인권적 타살 결정과 다를 바 없이다. 활동지원서비스가 중단된 수많은 중증장애 노인은 스스로 목숨을 끊거나, 삶의 터전에서 쫓겨나 시설에 격리된 채 남은 생을 감금 속에서 살아야만 했다. 장애인이자 노인으로 살아가는 중증장애노인의 교차성을 무시하는 활동지원서비스 지원 중단책은 인간의 존엄성을 효율성의 논리로 짓밟는 예산 중심 사고와 행정 편의가 빚어낸 현대판 고려장이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는 중증장애노인의 생존을 위해 더 이상 나이듦을 이유로 삶의 존엄성이 훼손되지 않도록, 국가가 주도하는 현대판 고려장에 계속 투쟁해왔다. 국가인권위원회에 지속적인 긴급구제 및 진정을 접수했을 뿐만 아니라, 현장 투쟁, 65세 연령 제한 폐지 운동본부 등을 운영하며 지자체를 비롯한 행정기관에 장애노인의 생존 방안을 적극 요구한 바 있다. 장애인 당사자의 강력한 투쟁을 통해 만65세 연령 제한 정책의 모순을 지적하고 폐지를 적극 주장했다.

 

이에 전장연은 사회보장위원회 위원장·행정안전부 장관·보건복지부 장관·지자체장에게 국가인권위원회 권고안의 구체적인 실행을 즉각 요구한다.

 

첫째, 사회보장위원회 위원장·보건복지부 장관·지자체장 등은 65세 이상 중증장애인의 생명권과 건강권을 보장하기 위한 사회보장 서비스를 확대하고, 정책 집행을 위한 예산을 즉각 확보하라.

 

둘째, 보건복지부 장관은 만 65세 장애인활동지원급여 수급자가 장애인활동지원제도와 노인장기요양보험 중 원하는 것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관련 법률을 개정하라. 또한, 법률이 개정되기 전 만 65세에 도래하는 기존 중증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이용자도 지속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활동지원서비스 사업 내용 및 급여 산정 방법 등을 즉각 개정하라.

 

셋째, 보건복지부 장관·행정안전부 장관·지자체장은 중증장애노인을 위한 활동지원 등 사회보장서비스 확대 과정에서 기존 사업과 단순 비교해 유사·중복 사안으로 해석하거나 함부로 불이익을 주어서는 안된다.

 

끝으로, 국가인권위원회의 긴급구제 및 긴급정책개선 권고 발표를 적극 환영하나, 장애인활동지원에 관한 법률노인장기요양보험법이 개정되어 정책적 공백을 메우기를 하염없이 기다릴 수 없다는 점을 일러두고자 한다. 당장 활동지원서비스 사각지대에 놓인 중증장애인은 심각한 생존의 위협을 느끼고 있기 때문이다. 장애노인의 삶이 당장 위태로운 상황 속에서 먼훗날 법 개정만을 기다릴 수 없다.

 

생존의 기로에 놓인 중증장애인의 건강한 삶을 보장하기 위해 사회보장위원회 위원장·관련 부처 장관·지자체장은 즉각 장애인의 생명과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공직의 책무를 다하라.

 

 

2020421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기타 ⭐️ 교육 신청은 여기로 ⭐️ 한자협 09-13 4,263
26 기타 ? 진보적 장애인 운동 재정 마련을 위한 2024년 설 선물 특별 판매 ? 한자협 01-08 2,449
25 기타 ⭐️ 교육 신청은 여기로 ⭐️ 한자협 09-13 4,263
24 기타 제3회 탈시설장애인상 응모(~3.10) 및 시상식(3.23) 안내 한자협 02-27 2,648
23 기타 [연구·설문 참여 요청] 탈시설 장애인의 고립감 설문조사 안내 한자협 02-13 2,308
22 기타 <21회 정태수상 수상자를 공모합니다!> (2월 20일(월) 18시 마감) 한자협 01-17 1,909
21 기타 [모집공고]2023 권리중심중증장애인맞춤형공공일자리 참여자를 모집합니다! 한자협 12-20 2,192
20 기타 진보적 장애인 운동 재정 마련을 위한 2022년 추석 선물 특별 판매(~9.2) 한자협 08-08 1,338
19 기타 [공유]2022년 서울형 권리중심의 중증장애인 맞춤형 공공일자리 참여자 모집공고 한자협 12-17 1,265
18 기타 「장애인 평생교육법」제정 필요성 및 법안 내용 쟁점 토론회 개최 kcil 08-19 3,259
17 기타 200622_[토론회기획]_장애등급제 단계적 폐지「장애인서비스지원 종합조사」도입 후 1년 평가 및 향후 과제… kcil 06-18 4,147
16 기타 200623_[토론회기획]_코로나19와 장애인의 삶, 감염병 및 재난 장애인종합대책마련 토론회 kcil 06-18 4,020
15 기타 [한자협][부고]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최용기 회장의 여동생상 kcil 05-26 4,624
14 기타 200430_[논평]_노동자연대와의 연대 중단에 대한 민주노총의 입장을 지지한다 kcil 05-13 4,575
13 기타 200407_[호소문] 415총선에서 코로나19바이러스 - 비례위성정당 정치 감염을 막아주십시오. kcil 04-10 4,238
12 기타 200128_논평_서울시의 장애인탈시설팀 구성 환영 - 당사자의 권한강화를 중심으로 한 탈시설정책과 시설변환… kcil 03-23 4,905
11 기타 200106_입장문_이해찬 당대표의 “결과적으로 여러 가지 좀 상처를 줬다고 하면 죄송하다” 발언은 사과가 … kcil 03-12 4,826
10 기타 활동보조수가 현실화를 위한 기자회견 kcil 07-24 10,239
9 기타 [abolition] [1000+참여요청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 폐지 광화문공동행동입니다 :] kcil 05-15 12,306
8 기타 [한자협] 소장단, 사무국장 역량강화 워크샵 참가 안내 kcil 05-07 33,920
7 기타 중개기관 평가대비교육 무사히 마쳤습니다. kcil 04-29 12,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