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자

200629_[성명서] 장애인 예산 감액 편성한 3차 추경 예산안 벼룩의 간까지 빼먹으려는 정부를 규탄한다!

  • [보도&성명]
  • kcil
  • 07-06
  • https://www.kcil.or.kr/post/139

 

성명서

 

장애인 예산 감액 편성한 3차 추경 예산안

벼룩의 간까지 빼먹으려는 정부를 규탄한다!

 

정부가 발표한 이번 3차 추경의 총 규모는 353천억 원에 달한다. 그러나 이 막대한 예산 중 장애인에 대한 직접 지원 예산은 전혀 책정되지 않았으며, 벼룩의 간이나 다름없는 장애인 지원 예산마저 대폭 감액 편성했다. 정의당 장혜영 의원이 기획재정부로부터 입수한 3차 추경 예산안 사업리스트에 따르면 장애인 지원 예산은 1,576억 원 상당 삭감됐다. 대표적으로 감액 편성된 장애인 관련 지원 사업은 발달장애인 활동 보조 사업(보건복지부) 100억 원’, ‘치매관리체계 구축 사업(보건복지부) 179억 원’, ‘공공어린이 재활병원 사업(보건복지부) 45억 원’, ‘장애인직업능력 개발 사업(고용노동부) 15억 원’, ‘장애인취업성공패키지 지원 사업(고용노동부) 10억 원등이다.

 

장애인 예산 감액을 전제한 3차 추경 예산안은 코로나19 위기 상황 속 장애인의 생존, 건강과 안전의 보장은커녕 더 큰 위험에 빠뜨리고 있다. 정부는 코로나19로 인해 발생한 의료공백과 돌봄 공백 속에서 죽어간 장애인과 장애인 가족들의 싸늘한 주검을 벌써 잊었는가?

 

63일에는 광주광역시에서, 317일에는 제주도 서귀포시에서 발달장애인의 부모가 발달장애인 당사자와 함께 생을 마감하는 참사가 연달아 이어졌다. 코로나19로 인해 개학이 계속해서 연기되고 장애인 복지시설 등이 모두 문을 닫자 발달장애인의 돌봄 책임이 전부 가족에게 전가되면서 발생한 사회적 타살이었다.

 

이뿐만이 아니다. 430일 기준으로 16명의 신장장애인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고 그중 15명이 사망했다. 무려 93.75%의 치사율이다. 2월 초에는 청도 대남병원에 입소해 있던 102명의 입소자가 코로나19에 감염되었고, 이 중 7명이 사망했다.

 

장애인의 건강 불평등 및 사회 취약성이 노골적으로 드러나는 위기 속 기획재정부에서는 모바일ㆍ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한 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 “IoTAI를 활용한 통합돌봄서비스 시범사업”, “전자의무기록(EMR) 프로그램 표준화 지원등을 건강취약계층 돌봄시스템을 대안으로서 홍보하고 있다. 벼룩의 간을 빼어다가 디지털 뉴딜을 강화하는 일에 써먹겠다는 기획재정부의 파렴치한 생각을 규탄한다.

 

장애인에 대한 정부의 감염병 대응 방안 부재로 장애인과 장애인 가족이 죽어가는 지금 이 끊임없는 죽음의 사슬을 끊을 책임은 가족이 아니라 우리 사회와 정부에 있다. 정부는 이 성명을 통해 위기 상황에서 벌어진 장애인 및 장애인 가족의 죽음을 다시 한번 마주하고 실효성 있는 대안을 마련하라.

 

 

2020629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카드뉴스 [소송원고인단 모집 글] 대한민국의 접근권 침해에 대한 국가배상청구 소송 원고인단, '김순석들'을 모집합니다… 한자협 04-29 50
공지 보도&성명 [성명] 장애인활동지원 ‘가족 급여’ 확대 정책은 기만이다. 보건복지부는 ‘권리 기반 지원’에 투자하라! 한자협 11-18 1,013
공지 보도&성명 ‘장애인자립생활권리보장법’은 ‘검토’가 아니라 ‘협조’해야 하는 법안이다 한자협 10-28 1,164
공지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자협 창립 21주년 자립생활운동 총궐기 대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권리-중심 한자협 10-15 902
공지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자협 창립 21주년 자립생활운동 총궐기 대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권리-중심 한자협 10-15 930
공지 기타 ⭐️ 교육 신청은 여기로 ⭐️ 한자협 09-13 2,646
501 카드뉴스 [소송원고인단 모집 글] 대한민국의 접근권 침해에 대한 국가배상청구 소송 원고인단, '김순석들'을 모집합니다… 한자협 04-29 50
500 보도&성명 [성명] 중증장애인의 노동권 침해를 정당화한 차별적 결정을 규탄한다 한자협 12-26 556
499 보도&성명 [성명] 장애인활동지원 ‘가족 급여’ 확대 정책은 기만이다. 보건복지부는 ‘권리 기반 지원’에 투자하라! 한자협 11-18 1,013
498 보도&성명 [취재요청서] 장애인자립생활권리보장법 정기국회 내 통과 촉구 기자회견 (2024.11.14.(목) 11:00… 한자협 11-13 825
497 보도&성명 [보도자료-사후] 4대 장애인권리입법 연내 제정 촉구! 11.04. 자립생활위기 비상행동 전국동시다발 다이인… 한자협 11-04 830
496 보도&성명 ‘장애인자립생활권리보장법’은 ‘검토’가 아니라 ‘협조’해야 하는 법안이다 한자협 10-28 1,164
495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자협 창립 21주년 자립생활운동 총궐기 대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권리-중심 한자협 10-15 902
494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자협 창립 21주년 자립생활운동 총궐기 대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권리-중심 한자협 10-15 930
493 보도&성명 [보도자료-사후] 장애인자립생활권리약탈 정부예산안 규탄! 자립생활 예산 요구안 발표 온라인 기자회견 (202… 한자협 09-10 887
492 보도&성명 [취재요청서] 장애인자립생활권리약탈 정부예산안 규탄! 자립생활 예산 요구안 발표 온라인 기자회견 (2024.… 한자협 09-09 757
491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및 장애인자립생활지원시설 운영기준 개발 연구 보고… 한자협 08-27 1,433
490 자료 [연구보고서] 장애인자립생활센터 및 장애인자립생활지원시설 운영기준 개발 연구 한자협 08-27 1,388
489 보도&성명 [보도자료] 대한민국의 장애노인 차별 행정 및 자립생활 권리 침해에 대한 행정/장애차별구제 소송 기자회견 한자협 08-19 804
488 [보도자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및 장애인자립생활지원시설 운영 기준 개발 연구 보고회 개최 한자협 07-10 2,137
487 보도&성명 [보도자료] “자립생활권리는 쟁취하는 것이다!” 장애인자립생활운동 총궐기대회 (2024.7.1.(월) 14:… 한자협 07-01 1,239
486 보도&성명 [보도자료] 노인장기요양 수급 장애인의 장애인일자리사업 참여 기회 박탈에 대한 국가인권위원회 차별 진정 기자… 한자협 05-22 1,256
485 보도&성명 [성명] 서울시 ‘활동지원기관 (재)지정 심사’는 법도 원칙도 없는 ‘장애인 단체 길들이기’, ‘적반하장’의… 한자협 04-26 1,991
484 보도&성명 [보도자료] 만 65세 이상 탈시설 장애인 활동지원 보장을 위한 국가인권위원회 진정 기자회견 한자협 03-20 1,572
483 보도&성명 [성명서] 더불어민주연합 비례대표 국민후보 선출은 유엔장애인권리협약을 위반한, 기울어진 운동장의 결과물이었다… 한자협 03-12 1,432
482 기타 ? 진보적 장애인 운동 재정 마련을 위한 2024년 설 선물 특별 판매 ? 한자협 01-08 1,7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