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자

200806_[보도자료]장애인 활동지원 산정특례 보전자 대책 마련 촉구 및 밧줄 매기 투쟁 선포 기자회견

  • [보도&성명]
  • kcil
  • 08-12
  • https://www.kcil.or.kr/post/148
 

보도자료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상임공동대표

박명애, 박경석, 변경택, 윤종술, 최용기

전화_02-739-1420 / 팩스_02-6008-5101 / 메일_sadd@daum.net / 홈페이지_sadd.or.kr

수신

언론사 사회부 담당

배포일자

202086()

담당

정책실 이준기(010-7190-8704)

페이지

16(붙임 13)

제목

장애인 활동지원 산정특례 보전자 대책 마련 촉구 및 밧줄 매기 투쟁 선포 기자회견

누구도 남겨둘 수 없다(No One Left Behind)!’

 

장애인 활동지원 산정특례 보전자 대책 마련

촉구 및 밧줄 매기 투쟁 선포 기자회견

 

,

활동지원 시간 하락까지

남은 시간

 

주관 :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일시 : 202086일 목요일 오후 2

장소 : 광화문 해치마당

 

1. 공정 보도를 위해 노력하시는 귀 언론사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2.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상임공동대표 박명애 / 이하 전장연’)는 장애인에 대한 차별을 철폐하고, 장애인의 기본적 권리를 쟁취하기 위하여 전국규모의 법정·비법정 장애인단체(전국장애인부모연대 · 전국장애인야학협의회 · 한국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 ·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190여 개의 지역 장애인·시민사회·노동·인권·문화예술단체 그리고 애인과 장애인이 함께 회원(장비회원)으로 구성된 연대체입니다.

 

3. 2019618, 보건복지부는 장애등급제 단계적 폐지 시행을 위한 장애인복지 사업안내 지침을 게시하였고 해당 지침에 따라 20197월부터 일상생활지원 분야에 장애인 서비스 지원 종합조사(이하 종합조사’)가 도입되었습니다.

 

4. 활동지원급여의 산정 방식이 기존의 인정조사에서 종합조사로 변경되면서 약 19.52%의 급여 하락자가 발생하였습니다. 그러나 급여 하락자에게 최초 1(3) 동안 인정조사 당시의 급여를 보전하는 산정특례(급여보전) 조항으로 인해 아직은 종합조사의 문제점이 가시화되지 않고 있습니다.

 

5. 문제는 현재 산정특례 대상자인 사람들의 활동지원급여가 짧게는 2, 길게는 3년 뒤에 하락하게 된다는 점입니다. 그러나 지금까지 발표된 바에 따르면 산정특례 기간이 종료된 뒤 급여 하락자에 대한 구제방안은 별도로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개인별로 이의제기를 통해 구제신청을 해야 합니다.

 

6. 지금도 부족한 활동지원서비스 이용 시간을 더 삭감한다는 것은 장애인에게는 사형선고와도 같습니다. 2년에서 3년 뒤에 활동지원급여 하락을 앞둔 장애인은 그야말로 교수형의 위기에 처해 있는 셈입니다.

 

7. 이에 전장연은 오는 86() 오후 2광화문 해치마당에서 밧줄을 목에 걸고 지속적인 투쟁을 선포하려 합니다. 밧줄을 목에 걸 사람들은 산정특례 조항에 의한 급여보전 당사자들이며, 목에 건 밧줄은 장애인의 생존권이 위협받는 지금의 상황을 상징합니다.

 

8. 전장연은 보건복지부에 산정특례 보전자에 대한 대책과 함께 장애인서비스지원 종합조사표 개선을 다음과 같이 요구합니다.

. 산정특례보전자 대책요구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종합조사 대상자 전체 1구간 상향 등을 통하여 산정특례 보전자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라.

2차 장애인서비스종합조사 고시개정전문위원회 구성과 산정특례 보전자 대책 마련 안건을 논의하라.

 

. 장애인서비스종합조사표 개선에 관한 요구

시각장애, 발달장애 특성을 고려해 항목과 점수를 개선하라

현행 종합점수 산식의 계산방식을 전면 개편하라. X1(기능제한)점수로 평가하고, X2, X3는 별도로 측정하여 필요한 시간을 보장하라.

활동지원서비스 24시간 보장을 위한 평가 기준을 마련하라

 

9. 누구도 남겨두지 않기(No One Left Behind) 위한 전장연의 투쟁은 전국 각지로, 또 온라인으로, 멈추지 않고 들불처럼 퍼져 나갈 것입니다.

 

10. 귀 언론사의 지속적이고 각별한 관심과 취재를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기타 ⭐️ 교육 신청은 여기로 ⭐️ 한자협 09-13 4,265
86 보도&성명 200717_[성명]서철모 화성시장의 '화성시 장애인 활동지원사업과 관련한 입장'에 대한 경기장애인차별철폐연… kcil 08-03 3,078
85 보도&성명 200716_[성명]시설운영자가 인권침해를 감시한다?!-권익옹호기관의 역할도 제대로 모르는 울산광역시는 장애… kcil 08-03 3,044
84 보도&성명 200716_[보도자료] “장애인 생존권인 활동지원서비스를 필요한만큼 보장하라!” 중증장애인 활동지원권리 무… kcil 08-03 3,086
83 보도&성명 200715_[보도자료] 장애등급제 진짜 폐지! 부양의무자기준 완전 폐지! kcil 08-03 3,027
82 보도&성명 200714_[성명]생계급여 부양의무자기준 폐지 계획 환영, 부양의무자기준 완전 폐지 계획을 기다린다! kcil 08-03 3,003
81 보도&성명 200706_[성명]모든 차별에 저항하는 차별금지법 발의를 환영합니다. kcil 07-13 3,377
80 보도&성명 200701_[보도자료]‘장애인 목숨도 소중하다!’ 장애등급제 가짜 폐지 1년 규탄 및 전동(前動)행진 kcil 07-06 3,347
79 보도&성명 200629_[성명서] 장애인 예산 감액 편성한 3차 추경 예산안 벼룩의 간까지 빼먹으려는 정부를 규탄한다! kcil 07-06 3,534
78 자료 200622_장애등급제단계적폐지「장애인서비스지원 종합조사 도입 후 1년 평가 및 향후 과제 토론회_자료집 kcil 06-24 4,112
77 자료 200623_코로나19와 장애인의 삶, 감염병 및 재난 장애인 종합대책 마련 토론회_자료집 kcil 06-24 3,636
76 보도&성명 200619_[보도자료]_서울시 장애인 평생교육 권리보장 촉구 기자회견 kcil 06-19 3,922
75 기타 200622_[토론회기획]_장애등급제 단계적 폐지「장애인서비스지원 종합조사」도입 후 1년 평가 및 향후 과제… kcil 06-18 4,147
74 기타 200623_[토론회기획]_코로나19와 장애인의 삶, 감염병 및 재난 장애인종합대책마련 토론회 kcil 06-18 4,021
73 보도&성명 200618_[보도자료]_"장애인거주시설 기능개편은 탈시설이 아니다!" 장애인의 완전한 통합과 참여를 보장하… kcil 06-17 4,448
72 보도&성명 200611_[보도자료]_故 김재순 장애인노동자 사회적 타살 30년 장애인일자리 정책 사망 규탄 중대재해기업… kcil 06-11 4,166
71 보도&성명 200604_[보도자료]_국무조정실 장애인 고용장려금 고시개정 지시 규탄 기자회견 kcil 06-11 4,125
70 보도&성명 200602_[성명]_고용노동부는 중증지적장애인 노동자 김재순 죽음에 대하여 사과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 kcil 06-02 4,294
69 기타 [한자협][부고]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최용기 회장의 여동생상 kcil 05-26 4,624
68 보도&성명 200524_[성명서]_<나눔의 집>은 각종 의혹을 투명하게 밝히고 당국은 책임있게 문제 해결에 나서라! kcil 05-25 4,398
67 보도&성명 200519_[성명서]_반복되는 발달장애인에 대한 가족 살해 비극은 ‘사회적 타살’이다. kcil 05-25 4,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