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자

210305_[성명서] 장애인 건강주치의제도의 실패, 실효성 없는 장애인건강권법은 개정되어야 한다! : 최혜영 의원의 장애인건강권법 개정안에 부쳐

  • [보도&성명]
  • 한자협
  • 04-11
  • https://www.kcil.or.kr/post/194

20210305_성명서_전장연_장애인건강권법_개정.hwp

 

 

보도자료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전화_02-739-1420 /팩스_02-6008-5101 /메일_sadd@daum.net /홈페이지_sadd.or.kr

수신

언론사 사회부 담당

배포일자

2021년 3월 5()

담당

건강권위원회 박주석 활동가(010-4744-6573)

페이지

총 1

제목

[성명서장애인 건강주치의제도의 실패실효성 없는 장애인건강권법은 개정되어야 한다!

최혜영 의원의 장애인건강권법 개정안에 부쳐

성명서

 

장애인 건강주치의제도의 실패실효성 없는 장애인건강권법은 개정되어야 한다!

최혜영 의원의 장애인건강권법 개정안에 부쳐

 

장애인의 보건복지 및 건강과 관련된 조사는 여전히 부족하지만이 조사들만 보더라도 장애인은 비장애인에 비해 고혈압당뇨심장질환뇌혈관질환 등 만성질환 유병율이 높게 나타난다이는 중증과 경증장애인 모두에게서 나타나는 공통된 현상이다이는 장애 그 자체로 인함보다는장애인이 처한 사회경제적 불평등과 장애로 인해 병·의원에 쉽게 접근할 수 없는 한국의 의료공공성 부족 때문이다장애인은 이동권이 보장되지 않아 쉽게 병·의원에 갈 수 없으며힘들게 가더라도 편의시설이 없거나 보조 인력이 없어 제대로 된 진료를 받을 수 없다.

코로나19 상황에서 진료 거부 경향은 심해졌으며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진료가 필요한 신장 장애인들은 병원 이용이 불가능했다심지어 얼마 없는 공공병원이 코로나19 전담의료기관으로 지정되면서 공공병원 외에 다른 의료기관에 대한 선택지를 갖을 수 없는 장애인들은 진료를 받을 수 없었다. 2017년 정부는 스스로 재난 발생 시 장애인에 대한 체계적인 정책 수립이 부족하며비장애인 중심의 재난대응 매뉴얼과 정보제공장애인 안전 정책 기반이 미흡한 상태라고 진단한 바 하다장애인은 의료공백이 발생하기 가장 쉬운 계층임은 공공연한 사실이다.

이러한 의료공백을 방지하고 건강권을 보장하기 위해 제정된 장애인건강권법은 아직 어떠한 실효성이 없다현재 중증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장애인 건강주치의 시범사업은 실패한 것으로 판명났다. 2020년 10월까지 등록한 장애인 수는 1408명으로 전체 중증장애인의 0.1%에 불과하며 의료기관의 참여 또한 저조하다법률과 계획에 따른 예산시행 모두 실패한 것이다.

아직도 제주도울산시세종시에는 단 한 곳의 장애인 건강주치의 의료기관이 없다심지어 50개 이상인 지역은 서울과 경기도 단 두 곳이다하지만 이마저 편의시설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이용하기 어렵다질병 예방을 위해서는 검진이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검진기관 또한 부족하다장애친화 검진기관의 경우, 2022년까지 100개소 만들겠다고 약속하였으나실제로는 현재 7개 곳만 운영 중인 것으로 보인다이처럼 장애인건강권에 대한 정부의 의지가 전혀 부재한 상황이다.

전장연 건강권위원회는 최혜영 의원이 대표발의한 장애인건강권법 개정안을 환영한다장애인건강권법은 장애인 건강주치의 제도의 대상을 중증장애인에서 전체 장애인으로 확대해야 할 수 있도록 개정되어야 한다장애인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의료기관이 더 만들어지고더 많은 장애인에 대한 지속적이고 포괄적인 건강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국회는 지금 당장 장애인건강권법을 개정하여 더 많은 이들의 장애인건강권을 보장하고나아가 장애인 건강주치의제도가 실효성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2021년 3월 5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건강권위원회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기타 ⭐️ 교육 신청은 여기로 ⭐️ 한자협 09-13 4,478
173 보도&성명 210917_[보도자료] 20210917_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법 개정 촉구 추석맞이 기자회견 한자협 04-11 397
172 보도&성명 210915_[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환영논평] 「서울특별시 장애인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조례안」의 본회의… 한자협 04-11 363
171 보도&성명 210914_[보도자료] 2022년 서울시 장애인 권리 예산 쟁취 투쟁 선포 및 오세훈 서울시장 면담 촉구 … 한자협 04-11 442
170 보도&성명 210910_[보도자료] 2022 양대선거장애인차별철폐연대 출범식 및 탈시설장애인당 투쟁캠프 개소식 (202… 한자협 04-11 487
169 보도&성명 210907_[보도자료] 경기도 장애인 탈시설 자립생활 선언문 선포식 진행 (사후 배포) 한자협 04-11 397
168 보도&성명 210907_[보도자료] 경기도 장애인 탈시설 자립생활 선언문 선포식 진행 (사후 배포) 한자협 04-11 461
167 보도&성명 210901_[공동성명서] 사회서비스원법 제정안 본회의 통과, 돌봄의 국가책임 강화 첫걸음 한자협 04-11 406
166 보도&성명 210831_[보도자료] 장애인건강주치의사업 현황과 장애인당사자 온라인 사례발표회 한자협 04-11 409
165 보도&성명 210827_[보도자료] 8.27(금) 「학교형태의_장애인평생교육시설_지원_매뉴얼」_성실이행_촉구_서울시교육… 한자협 04-11 470
164 보도&성명 210825_[성명서]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사회복지위원회에 탈시설의 복음을 전하고자 합니다 한자협 04-11 479
163 보도&성명 210826_[보도자료] “우리는 무사히 백신 접종을 할 수 있을까” 온라인 기자회견 한자협 04-11 426
162 보도&성명 210823_[보도자료] 8.23(월) 14시 장애학생에 대한 조직적 차별을 인정하라! : ‘차별대학’ 진주… 한자협 04-11 674
161 보도&성명 210819_[보도자료] 장애인권리보장법·장애인탈시설지원법제정연대 온라인 출범식 한자협 04-11 657
160 보도&성명 210819_[성명서] 진주교대는 빙산의 일각, 교육계 장애인차별의 고리 이제는 끊어야 한다 한자협 04-11 440
159 보도&성명 210818_[보도자료] 장애인권리보장법 제정안 마련을 위한 정책토론회 (2021. 8. 18.(수) 오후 … 한자협 04-11 428
158 보도&성명 210809_[보도자료] 8.9(월) 중증장애학생 입시성적조작 사건 강력 규탄 및 장애학생 입시 차별 전수조… 한자협 04-11 557
157 보도&성명 210804_[성명서] 전장연_진주교대 중증장애인 입시성적 조작, 비장애인 중심의 ‘차별교육’을 철폐하자 한자협 04-11 449
156 보도&성명 210803_[성명서] ‘너무 늦은, 너무 무책임한, 너무 긴’ 무개념한 탈시설 로드맵과 권리 한자협 04-11 405
155 보도&성명 210728_[보도자료]탈시설로드맵 탈시설 권리 명시 촉구 컨테이너 옥상투쟁 한자협 04-11 428
154 보도&성명 210727_07.28 장애인권리보장을 위한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세종시·정부청사_실천행동의날 한자협 04-11 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