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자

220628_서울시 탈시설 조례 카드뉴스

  • [카드뉴스]
  • 한자협
  • 06-28
  • https://www.kcil.or.kr/post/459

?한자협 텔레그램 구독! 

https://t.me/kcil0420


0ae7f407a1a101c907a0c4681f4877c0.jpg

2022년 4월 5일, 우리는 서울시청역 환승통로에 천막을 세웠습니다.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cf8cbd007bc29830adeb5673c4aa986f.jpg

경찰은 길을 막고 시장은 회피했으며

우파 정당 대표는 궤변을 늘어놓았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요구했습니다, 우리의 권리를.


0b7e5da7f234e2822bb9adf250e37b5f.jpg

우리는 보여 줬습니다.

우리가 시설에서 살 필요 없다는 것을.


3a72ea9fd816aa9e65d060007a28a4df.jpg

우리는 알렸습니다.

우리가 이미 이곳에 살아가고 있다는 것을.


93a9ce58ebb05dcb0cbcb5216050935c.jpg

시설에서 나와 지역사회에서 살아가기 위해

지하에서 올라와 지상에 천막을 세웠습니다.


10084ff1aa64a6194eed4eb68c08425e.jpg

자유로운 삶과 권리에

조례가 뒤따르는 것은 마땅한 일입니다.


2abc89094c54db9adf7af4870a4a14f1.jpg

우리는 시민이 되기 위해 싸우기도 했지만,

이미 시민이기 때문에 싸웠습니다.


48137a9822d4e186edc79097ea790f98.jpg

투쟁으로 쟁취했고, 우리는 분명히 증명했습니다.

이미 지역사회에서 살아가고 있다는 것을,

동등한 시민이라는 것을,

시설에 갇히지 않을 자유와 존엄성이 있다는 것을!


b78512fe54ddb986a7ffa4e6675ca94e.jpg

서울특별시 장애인 탈시설 및 지역사회 정착지원에 관한 조례안

제1조(목적)

이 조례는 장애인거주시설에서 나온 장애인이

독립된 주체로서 지역사회에서 자립하여 생활하면서

완전한 사회통합을 이룰 수 있도록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941f399f69991ed8fbf3791832751fa2.jpg

제2조(정의) 3

”장애인탈시설"(이하 ‘탈시설'이라 한다)이란

장애인거주시설에서 생활한 장애인이

자기 의사에 따라

지역사회에 거주하면서 자율적으로 살아가는 것을 말한다.


d82d5e2633e8dd6b55ceb64e25403a4e.jpg


제4조(기본원칙)

① 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보편적인 자립생활이 가능하도록 장애인 당사자 관점에서 정책을 기획하고 집행한다.

② 지역사회에서 장애인의 인권보장을 최우선으로 하며, 탈시설 및 지역사회 정착에 필요한 공적자원을 충분히 지원한다.

③ 장애인은 지역사회 정착을 위한 모든 과정에 참여하고 스스로 결정한다.


ca69b46c04fc587ef75e2a2cf6fdfd21.jpg

‘탈시설’의 개념이 명시된 최초의 조례안.

긴 숙의의 시간 끝에 탈시설 조례를 가결한

서울시의회의 결정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de84e1e934c3bcb748e4cdf6d7db7af5.jpg

하지만 환호 속에서 아쉬움을 삼켜야 했고

마음 깊에 웃을 수만은 없었습니다.


017bb4d95c9e8dd00a7edd4ed80d82a6.jpg

서울특별시 장애인 탈시설 및 지역사회 정착지원에 관한 조례안

제2조(정의) 2

“장애인거주시설”이란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 별표4 제1호 가목 및 나목에서 정의한 시설을 말한다.

가. 장애유형별 거주시설

나. 중증장애인 거주시설

다. 장애 영유아 거주시설(제외)

라. 장애인 단기거주시설(제외)

마. 장애인 공동생활가정(제외)


85b5fd09348be4c7c768f44b152a3c36.jpg

제2조(정의) 6

“거주시설 변환”이란

서울특별시가 지원하는 장애인거주시설이

탈시설 장애인의 주거지원 및 지역사회통합, 사회복지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기관으로 전환하는 것을 말한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 삭제)


779f62223d117e682370580fa45541ca.jpg

제4조(기본원칙) 3

③ 장애인은 지역사회 정착을 위한 모든 과정에 참여하고 스스로 결정한다.

단, 스스로 의사결정을 할 능력이 충분하지 아니하다고 판단될 경우,

서울특별시장˙자치구청장이 장애인의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단서 부분 삭제)


d418cd08716e2690b580c8e58d8e2ddc.jpg

삶이 의회에 가 닿기까지

우리는 큰 전진을 이루었고, 동시에 긴 과제가 남았습니다.

의회와 조례라는 경계를 넘어서, 삶과 권리의 완전한 보장을 향해서.


e0717bed6668bbb87aa5009328363fa7.jpg 

‘모든 장애인의 완전한 탈시설’

'지역사회에서의 자유로운 자립'

'국가와 지자체의 합당한 책무'

더 먼 곳을 향한 우리의 행진은 계속됩니다.

※ 전동행진 안내: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끝.



[이 게시물은 한자협 님에 의해 2022-06-28 13:44:13 활동하고 에서 이동됨]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기타 ⭐️ 교육 신청은 여기로 ⭐️ 한자협 09-13 4,311
26 기타 ? 진보적 장애인 운동 재정 마련을 위한 2024년 설 선물 특별 판매 ? 한자협 01-08 2,483
25 기타 ⭐️ 교육 신청은 여기로 ⭐️ 한자협 09-13 4,311
24 기타 제3회 탈시설장애인상 응모(~3.10) 및 시상식(3.23) 안내 한자협 02-27 2,683
23 기타 [연구·설문 참여 요청] 탈시설 장애인의 고립감 설문조사 안내 한자협 02-13 2,340
22 기타 <21회 정태수상 수상자를 공모합니다!> (2월 20일(월) 18시 마감) 한자협 01-17 1,934
21 기타 [모집공고]2023 권리중심중증장애인맞춤형공공일자리 참여자를 모집합니다! 한자협 12-20 2,219
20 기타 진보적 장애인 운동 재정 마련을 위한 2022년 추석 선물 특별 판매(~9.2) 한자협 08-08 1,347
19 기타 [공유]2022년 서울형 권리중심의 중증장애인 맞춤형 공공일자리 참여자 모집공고 한자협 12-17 1,267
18 기타 「장애인 평생교육법」제정 필요성 및 법안 내용 쟁점 토론회 개최 kcil 08-19 3,266
17 기타 200622_[토론회기획]_장애등급제 단계적 폐지「장애인서비스지원 종합조사」도입 후 1년 평가 및 향후 과제… kcil 06-18 4,148
16 기타 200623_[토론회기획]_코로나19와 장애인의 삶, 감염병 및 재난 장애인종합대책마련 토론회 kcil 06-18 4,023
15 기타 [한자협][부고]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최용기 회장의 여동생상 kcil 05-26 4,629
14 기타 200430_[논평]_노동자연대와의 연대 중단에 대한 민주노총의 입장을 지지한다 kcil 05-13 4,581
13 기타 200407_[호소문] 415총선에서 코로나19바이러스 - 비례위성정당 정치 감염을 막아주십시오. kcil 04-10 4,246
12 기타 200128_논평_서울시의 장애인탈시설팀 구성 환영 - 당사자의 권한강화를 중심으로 한 탈시설정책과 시설변환… kcil 03-23 4,911
11 기타 200106_입장문_이해찬 당대표의 “결과적으로 여러 가지 좀 상처를 줬다고 하면 죄송하다” 발언은 사과가 … kcil 03-12 4,831
10 기타 활동보조수가 현실화를 위한 기자회견 kcil 07-24 10,248
9 기타 [abolition] [1000+참여요청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 폐지 광화문공동행동입니다 :] kcil 05-15 12,314
8 기타 [한자협] 소장단, 사무국장 역량강화 워크샵 참가 안내 kcil 05-07 33,931
7 기타 중개기관 평가대비교육 무사히 마쳤습니다. kcil 04-29 12,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