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자

221005_[삭발투쟁결의문]_119일 차, 이창균(에바다장애인자립생활센터)

  • [결의문&발언문]
  • 한자협
  • 10-05
  • https://www.kcil.or.kr/post/533

e50db9eb203cd978dbe6aa0da4a87ea5.jpeg 

? 장애인권리예산 촉구 119일 차 삭발투쟁 결의문

안녕하십니까? 저는 경기도 평택 에바다IL센터에서 활동하고 있는 이창균입니다. 저는 2007년 뇌종양 수술을 받고 그 후유증으로 장애를 갖게 되었습니다. 그 전까지 저는 장애인의 삶에 대해서 잘 알지도 못했고 깊게 생각하지도 않았습니다. 제가 장애를 갖게 되고 첫 번째 겪었던 일은 다니던 직장에서 권고사직을 하게 된 일입니다. 병원에서 퇴원 후 복직 신청 하러 간 자리에서 상사가 장애를 갖고 있는데 일을 계속 할 수 있겠냐고 하면서 겉으로는 걱정을 하는 척했지만 스스로 일을 그만두었으면 하는 말을 듣게 되었고, 오랫동안 병가를 낸 것에 대한 미안함과 내가 일을 잘 못 할 거라는 상사의 말에 화가 나서 사표를 쓰고 나왔습니다.

그 이후 저는 장애 정도가 심하지 않음에도 직장을 구하기 힘들었습니다. 아니 구할 수 없었습니다. 다만, 저의 경우에는 선배가 자기와 같이 일을 해 보자고 해서 일을 다시 할 수 있었고 그 후 바로 에바다에서 활동가로 일을 하게 되면서 장애를 가진 후 집에만 있었던 기간은 다른 장애를 가진 사람들보다는 짧았습니다. 그렇지만 우리 나라에서는 장애를 갖게 되면 직장을 구하기가 어렵습니다. 그것은 장애의 정도가 심한 경우에는 더욱 힘이 듭니다.

2022년 저희 에바다센터는 권리중심 중증장애인 맞춤형 공공일자리를 하고 있습니다. 이 일자리는 2020년에 처음 서울에서 시작되었고 2021년 경기도는 25명으로 시작한 일자리입니다. 올해 저희 센터에는 20명의 중증장애를 가진 근로자가 권리중심 중증장애인 맞춤형 공공일자리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지금 그들은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장소로 출근을 하고, 우리 사회에 필요한 ‘권리’라는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우리 사회에 필요한 ‘권리’ 생산이라는 노동을 하면서 얻게 되는 급여는 비롯 최저시급이지만, 그들이 지역에서 자립할 수 있다는 희망의 싹을 만들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일자리는 불안합니다. 지방 정부에서 시작하고 진행하다보니 재원 조달의 연속성, 안정성, 확장성이 보장되어 있지 않고 또한 법으로 명시되어 있지도 않은 까닭입니다. 이 권리중심 중증장애인 맞춤형 공공일자리가 안정되고 계속해서 진행하기 위해서는 중앙 정부 차원의 예산 배정, 그리고 그 근거를 만드는 법을 제정하는 일입니다.

우리 나라 헌법에는 국민의 의무가 있습니다. 그중 국가는 근로자의 고용과 적정 임금의 보장을 위하여 노력해야 하고, 국민은 근로의 의무가 있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대한민국의 국민은 비장애인만이 아닙니다. 장애인들도 당당히 국민으로서 권리와 의무가 있는 것입니다. 중증장애를 가진 국민이 노동자로서 당당히 근로할 수 있고 지역에서 자립할 수 있게 권리중심 중증장애인 맞춤형 공공일자리가 표준이 되었으면 합니다. 그리고 이 일자리가 안정적 직업이 되고 이 일자리를 통하여 UN장애인권리협약을 대한민국 정부가 준수할 수 있도록 법제화되고 예산을 수립하여야 할 것입니다.

장애・비장애를 떠나서, 또한 장애의 정도와 상관없이 근로를 하여 소득을 얻고 온전히 자신의 삶을 스스로 개척해 나갈 수 있는 그날까지 끝까지 투쟁하여 쟁취합시다.


? 결의문 모아 보기: https://bit.ly/삭발결의문

? 투쟁 100일 차_133명 삭발 기록영상: https://youtu.be/UPKq2OMj5fg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기타 ⭐️ 교육 신청은 여기로 ⭐️ 한자협 09-13 4,447
313 보도&성명 220520_[보도자료]_김대중 후보, “차별 없는 교육을 지향” 장애인평생교육 확대 및 특수교육, 장애인교… 한자협 05-25 1,068
312 보도&성명 220520_[보도자료]_장석웅 후보, 장애인 교육에 관심과 지원이 늘어나야 진정한 평등”, 늘어난 전남교육… 한자협 05-25 1,189
311 보도&성명 220519_「보도자료]_5.20(금) 전남교육감선거장애인연대, 장석웅 및 김대중 전라남도교육감 후보 정책협… 한자협 05-20 1,107
310 보도&성명 220519_「성명서]_장애인이동권 권리예산 2차 추경 수정 가결 환영하며, 기획재정부는 2차 추경에 장애인… 한자협 05-20 1,135
309 보도&성명 220518_「보도자료]_5/20 고 김재순 장애청년노동자 2주기 추모제(서울 지역) 및 장애인 권리예산 쟁… 한자협 05-20 1,114
308 보도&성명 220518_「보도자료]_5/23-5/26 장애인탈시설지원법 및 장애인권리보장법 제정촉구를 위한 탈시설 당사… 한자협 05-20 1,149
307 보도&성명 220516_[보도자료]_5·18광주민주화운동 42년 맞이, 장애인의 지역사회 완전한 통합과 참여 보장을 위… 한자협 05-16 1,102
306 보도&성명 220515_[보도자료]_장애인권리예산 22년 추경 반영을 위한 출근길_긴급행동(am7:30) 한자협 05-16 1,098
305 보도&성명 220513_[보도자료]_전라남도는 장애인 이동권를 보장하라 전남지역 특별교통수단 격차 철폐 기자회견 및 특… 한자협 05-16 1,138
304 보도&성명 220512_[보도자료]_서울시장애인탈시설지원조례 제정 약속 미이행 ‘혼쭐’ 페스티벌 (22.05.13 (금… 한자협 05-16 1,110
303 보도&성명 220511_[보도자료]_세종시 2022년 이동권 기자회견 및 특별행동 -장콜원정대 세종편- 한자협 05-12 1,064
302 보도&성명 220511_[보도자료]_박선영 예비후보, “기존과 차원이 다른 장애인교육 정책 추진하겠다” 장애인교육 예산… 한자협 05-12 873
301 보도&성명 220511_[보도자료]_박선영 예비후보, “기존과 차원이 다른 장애인교육 정책 추진하겠다” 장애인교육 예산… 한자협 05-12 971
300 보도&성명 220510_[보도자료]_한국의 장애인권리예산 보장 촉구 위한 국제연대 기자회견 한자협 05-12 854
299 보도&성명 220510_[보도자료]_5/11 장애인권리예산 중앙정부 책임강화 국회 연속토론회 2회차 : 국가 주도의 탈… 한자협 05-12 920
298 보도&성명 220510_[보도자료]_5.11(수) 서울교육감선거장애인연대-박선영 서울특별시교육감 예비후보 정책협약식 개… 한자협 05-12 905
297 보도&성명 220509_[보도자료]_윤석열 대통령 취임식 맞이 장애인 권리 보장을 위한 행진 한자협 05-12 823
296 보도&성명 220508_[보도요청]_조선일보 탈시설 왜곡 기사 언론중재위원회 제소 기자회견 (2022.5.9.(월) 오… 한자협 05-12 980
295 보도&성명 220506_[보도자료]_한국지체장애인협회 김광환 중앙회장의 "기형아" 발언 국가인권위원회 진정 기자회견 (… 한자협 05-12 878
294 보도&성명 220506_[보도자료]_5.6(금) 경기교육감선거장애인연대와 송주명 경기교육감 예비후보 정책협약식 열려 한자협 05-12 7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