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자

221011_[삭발투쟁결의문]_121일 차, 김대범(피플퍼스트 서울센터)

  • [결의문&발언문]
  • 한자협
  • 10-11
  • https://www.kcil.or.kr/post/536

bf88e1e7faafbe57b7cf48d09a98718c.jpg

? 장애인권리예산 촉구 121일 차 삭발투쟁 결의문

안녕하세요. 저는 피플퍼스트 서울센터에서 대외 협력 담당자 겸 동료상담가로 일하고 있는 김대범입니다. 저는 2015년부터 2022년까지 발달장애인 당사자의 권리옹호를 위해 활동해 왔습니다. 발달장애인 참정권 투쟁을 했고, 자조모임도 만들었고, 장애인의 권리를 위해 광화문에서 농성도 했습니다. 너무 많은 투쟁을 해서 기억나지 않을 정도입니다. 이렇게 열심히 투쟁을 했는데도 변한 건 1도 없습니다. 발달장애인의 권리는 제자리입니다.

올해에만 일곱 번이나 발달장애인과 그 가족이 돌아가셨습니다. 지금 제가 삭발을 하고 있는 이 삼각지역 농성장은 이 사람들을 추모하기 위해 만들어진 곳입니다. 장애인과 그 가족들이 생전 겪었을 수많은 차별을 생각하면 마음이 아픕니다. 죽어야 발달장애인의 삶에 관심을 갖는 이 현실이 답답하고 어처구니가 없습니다.

하지만 그 죽음에서 발달장애인 당사자의 목소리는 찾아볼 수 없습니다. 우리의 이야기를 들으려고 하는 사람은 1퍼센트라고 하면 조금 그렇고, 2퍼센트 밖에 없었습니다. 발달장애인이 무언가를 결정할 때는 언제나 부모나, 선생이나, 시설 관리자가 대신 합니다. 이 사람들의 지시가 내려질 때까지 우리는 기다려야 합니다. 부모라는 이유로 자식을 책임져야 하는 이 현실도 부당하겠지만, 장애를 가졌다는 이유로 부모에게 목숨까지 좌지우지당하는 현실도 부당합니다. 우리는 부모와 다른 인격을 가진 사람입니다.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라는 드라마에 나오는 주인공은 희귀하고 엄청난 능력을 가진 사람입니다. 그리고 우영우의 주변에는 좋은 사람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우리의 현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우리는 평범한 사람이고 우리의 주변에는 차별적인 언어를 쓰는 사람들이 너무 많습니다. 현실이 드라마처럼 되려면 우리의 힘만으로는 안 됩니다. 국가와 지자체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합니다.

국가는 더 이상 차별을 방치하지 말고 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발달장애인이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그래야 더 이상의 죽음을 막을 수 있습니다. 장애인이 원하는 일을 해서 자유롭게 돈을 벌 수 있도록 좋은 일자리를 많이 만들어야 하고, 시민사회에서 장애인이 안전하게 살 수 있도록 인식이 바뀌어야 합니다. 또 발달장애인의 참정권을 보장해야 합니다. 공적 투표 보조인을 배치하고 쉬운 공보물을 만들어 주면 장애인이 정치에 참여해서 직접 자기의 삶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림 투표용지가 있으면 더 많은 장애인이 정치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주거권도 보장해야 합니다. 시설과 가정 밖에서도 당당히 살아갈 수 있도록 자립 지원을 적극적으로 해 주어야 합니다. 지역에 있는 공동체 안에서 비장애인과 소통하며 살고 싶습니다. 원래 정책은 국가가 만드는 것입니다. 우리 발달장애인들이 힘을 모아 이렇게 정책을 만들었으니 국가는 이 요구에 응답했으면 좋겠습니다.

존경하는 시민 여러분, 삼각지역을 거쳐서 출퇴근하는 노동자 여러분, ‘장애인들이 여기에서 시위하는 것이 나와 무슨 상관이냐?’ 생각하고 계신가요? 저희는 불편을 끼치기 위해 모인 것이 아닙니다. 차별 속에서 죽어간 발달장애인의 영혼을 추모하고, 가장 낮은 곳에 있는 사람들이 더 안전하게 살 수 있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모인 것입니다. 저희를 나쁘다고 생각하기 전에 이 사실만은 꼭 기억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발달장애인이 자기 권리를 위해 운동할 수가 있어?”라고 하는 사람들도 있을 겁니다. 이 사람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습니다. “해 보지도 않고 그렇게 말하는 것은 도리에 어긋나는 거 아닌가요?” 발달장애인은 무언가를 못 하는 존재가 아닙니다. 그래서 저는 가족이 아닌, 선생님이 아닌, 비발달장애인이 아닌, 발달장애인인 우리가 직접 권리를 요구하기 위해 이 자리에 나와 삭발을 하고 있습니다.

저는 차별이 블랙홀 속으로 다 빨려 들어가 영원히 사라지기를 원합니다. 제가 대한민국 대통령이라면 차별받는 사람의 이야기를 귀 기울여 듣고, 잠시 술을 멀리하고, 더 이상 발달장애인이 차별받지 않도록 하나부터 열까지 공부하고 대책을 마련할 것입니다. 정부가 장애인 차별 철폐를 위해 나서야 합니다. 우리는 약한 존재가 아닙니다. 발달장애인도 시민입니다. 지금이라도 우리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주면 좋겠습니다.

마지막으로 구호 외치고 끝내겠습니다.

더 이상 발달장애인을 무시하지 마라! 윤석열은 발달장애인의 목소리를 들어라! 정부는 발달장애인의 권리를 위한 예산을 늘려 달라! 발달장애인 권리, 우리 힘으로 쟁취하자!


? 결의문 모아 보기: https://bit.ly/삭발결의문

? 투쟁 100일 차_133명 삭발 기록영상: https://youtu.be/UPKq2OMj5fg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기타 ⭐️ 교육 신청은 여기로 ⭐️ 한자협 09-13 4,375
26 기타 ? 진보적 장애인 운동 재정 마련을 위한 2024년 설 선물 특별 판매 ? 한자협 01-08 2,488
25 기타 ⭐️ 교육 신청은 여기로 ⭐️ 한자협 09-13 4,375
24 기타 제3회 탈시설장애인상 응모(~3.10) 및 시상식(3.23) 안내 한자협 02-27 2,695
23 기타 [연구·설문 참여 요청] 탈시설 장애인의 고립감 설문조사 안내 한자협 02-13 2,346
22 기타 <21회 정태수상 수상자를 공모합니다!> (2월 20일(월) 18시 마감) 한자협 01-17 1,936
21 기타 [모집공고]2023 권리중심중증장애인맞춤형공공일자리 참여자를 모집합니다! 한자협 12-20 2,226
20 기타 진보적 장애인 운동 재정 마련을 위한 2022년 추석 선물 특별 판매(~9.2) 한자협 08-08 1,351
19 기타 [공유]2022년 서울형 권리중심의 중증장애인 맞춤형 공공일자리 참여자 모집공고 한자협 12-17 1,273
18 기타 「장애인 평생교육법」제정 필요성 및 법안 내용 쟁점 토론회 개최 kcil 08-19 3,268
17 기타 200622_[토론회기획]_장애등급제 단계적 폐지「장애인서비스지원 종합조사」도입 후 1년 평가 및 향후 과제… kcil 06-18 4,153
16 기타 200623_[토론회기획]_코로나19와 장애인의 삶, 감염병 및 재난 장애인종합대책마련 토론회 kcil 06-18 4,025
15 기타 [한자협][부고]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최용기 회장의 여동생상 kcil 05-26 4,632
14 기타 200430_[논평]_노동자연대와의 연대 중단에 대한 민주노총의 입장을 지지한다 kcil 05-13 4,585
13 기타 200407_[호소문] 415총선에서 코로나19바이러스 - 비례위성정당 정치 감염을 막아주십시오. kcil 04-10 4,252
12 기타 200128_논평_서울시의 장애인탈시설팀 구성 환영 - 당사자의 권한강화를 중심으로 한 탈시설정책과 시설변환… kcil 03-23 4,917
11 기타 200106_입장문_이해찬 당대표의 “결과적으로 여러 가지 좀 상처를 줬다고 하면 죄송하다” 발언은 사과가 … kcil 03-12 4,834
10 기타 활동보조수가 현실화를 위한 기자회견 kcil 07-24 10,253
9 기타 [abolition] [1000+참여요청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 폐지 광화문공동행동입니다 :] kcil 05-15 12,321
8 기타 [한자협] 소장단, 사무국장 역량강화 워크샵 참가 안내 kcil 05-07 33,933
7 기타 중개기관 평가대비교육 무사히 마쳤습니다. kcil 04-29 12,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