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자

221011_[삭발투쟁결의문]_121일 차, 김대범(피플퍼스트 서울센터)

  • [결의문&발언문]
  • 한자협
  • 10-11
  • https://www.kcil.or.kr/post/536

bf88e1e7faafbe57b7cf48d09a98718c.jpg

? 장애인권리예산 촉구 121일 차 삭발투쟁 결의문

안녕하세요. 저는 피플퍼스트 서울센터에서 대외 협력 담당자 겸 동료상담가로 일하고 있는 김대범입니다. 저는 2015년부터 2022년까지 발달장애인 당사자의 권리옹호를 위해 활동해 왔습니다. 발달장애인 참정권 투쟁을 했고, 자조모임도 만들었고, 장애인의 권리를 위해 광화문에서 농성도 했습니다. 너무 많은 투쟁을 해서 기억나지 않을 정도입니다. 이렇게 열심히 투쟁을 했는데도 변한 건 1도 없습니다. 발달장애인의 권리는 제자리입니다.

올해에만 일곱 번이나 발달장애인과 그 가족이 돌아가셨습니다. 지금 제가 삭발을 하고 있는 이 삼각지역 농성장은 이 사람들을 추모하기 위해 만들어진 곳입니다. 장애인과 그 가족들이 생전 겪었을 수많은 차별을 생각하면 마음이 아픕니다. 죽어야 발달장애인의 삶에 관심을 갖는 이 현실이 답답하고 어처구니가 없습니다.

하지만 그 죽음에서 발달장애인 당사자의 목소리는 찾아볼 수 없습니다. 우리의 이야기를 들으려고 하는 사람은 1퍼센트라고 하면 조금 그렇고, 2퍼센트 밖에 없었습니다. 발달장애인이 무언가를 결정할 때는 언제나 부모나, 선생이나, 시설 관리자가 대신 합니다. 이 사람들의 지시가 내려질 때까지 우리는 기다려야 합니다. 부모라는 이유로 자식을 책임져야 하는 이 현실도 부당하겠지만, 장애를 가졌다는 이유로 부모에게 목숨까지 좌지우지당하는 현실도 부당합니다. 우리는 부모와 다른 인격을 가진 사람입니다.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라는 드라마에 나오는 주인공은 희귀하고 엄청난 능력을 가진 사람입니다. 그리고 우영우의 주변에는 좋은 사람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우리의 현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우리는 평범한 사람이고 우리의 주변에는 차별적인 언어를 쓰는 사람들이 너무 많습니다. 현실이 드라마처럼 되려면 우리의 힘만으로는 안 됩니다. 국가와 지자체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합니다.

국가는 더 이상 차별을 방치하지 말고 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발달장애인이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그래야 더 이상의 죽음을 막을 수 있습니다. 장애인이 원하는 일을 해서 자유롭게 돈을 벌 수 있도록 좋은 일자리를 많이 만들어야 하고, 시민사회에서 장애인이 안전하게 살 수 있도록 인식이 바뀌어야 합니다. 또 발달장애인의 참정권을 보장해야 합니다. 공적 투표 보조인을 배치하고 쉬운 공보물을 만들어 주면 장애인이 정치에 참여해서 직접 자기의 삶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림 투표용지가 있으면 더 많은 장애인이 정치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주거권도 보장해야 합니다. 시설과 가정 밖에서도 당당히 살아갈 수 있도록 자립 지원을 적극적으로 해 주어야 합니다. 지역에 있는 공동체 안에서 비장애인과 소통하며 살고 싶습니다. 원래 정책은 국가가 만드는 것입니다. 우리 발달장애인들이 힘을 모아 이렇게 정책을 만들었으니 국가는 이 요구에 응답했으면 좋겠습니다.

존경하는 시민 여러분, 삼각지역을 거쳐서 출퇴근하는 노동자 여러분, ‘장애인들이 여기에서 시위하는 것이 나와 무슨 상관이냐?’ 생각하고 계신가요? 저희는 불편을 끼치기 위해 모인 것이 아닙니다. 차별 속에서 죽어간 발달장애인의 영혼을 추모하고, 가장 낮은 곳에 있는 사람들이 더 안전하게 살 수 있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모인 것입니다. 저희를 나쁘다고 생각하기 전에 이 사실만은 꼭 기억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발달장애인이 자기 권리를 위해 운동할 수가 있어?”라고 하는 사람들도 있을 겁니다. 이 사람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습니다. “해 보지도 않고 그렇게 말하는 것은 도리에 어긋나는 거 아닌가요?” 발달장애인은 무언가를 못 하는 존재가 아닙니다. 그래서 저는 가족이 아닌, 선생님이 아닌, 비발달장애인이 아닌, 발달장애인인 우리가 직접 권리를 요구하기 위해 이 자리에 나와 삭발을 하고 있습니다.

저는 차별이 블랙홀 속으로 다 빨려 들어가 영원히 사라지기를 원합니다. 제가 대한민국 대통령이라면 차별받는 사람의 이야기를 귀 기울여 듣고, 잠시 술을 멀리하고, 더 이상 발달장애인이 차별받지 않도록 하나부터 열까지 공부하고 대책을 마련할 것입니다. 정부가 장애인 차별 철폐를 위해 나서야 합니다. 우리는 약한 존재가 아닙니다. 발달장애인도 시민입니다. 지금이라도 우리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주면 좋겠습니다.

마지막으로 구호 외치고 끝내겠습니다.

더 이상 발달장애인을 무시하지 마라! 윤석열은 발달장애인의 목소리를 들어라! 정부는 발달장애인의 권리를 위한 예산을 늘려 달라! 발달장애인 권리, 우리 힘으로 쟁취하자!


? 결의문 모아 보기: https://bit.ly/삭발결의문

? 투쟁 100일 차_133명 삭발 기록영상: https://youtu.be/UPKq2OMj5fg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기타 ⭐️ 교육 신청은 여기로 ⭐️ 한자협 09-13 4,442
286 보도&성명 220405_[입장문] (서울장차연) 두 번의 공식적 장애인 이동권 보장 약속, 두 번의 파기’ 서울시의 책… 한자협 04-12 680
285 보도&성명 220405_[보도자료] 4.5(화) 장애인권리예산 인수위 답변 촉구를 위한 5차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삭발… 한자협 04-12 639
284 보도&성명 220331_[보도자료] 3.31(목) 장애인교육권 완전보장을 위한 장애인들의 행진(Disability Pr… 한자협 04-12 682
283 보도&성명 220328_[성명서] 더이상 죽음을 지켜볼 수 없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청은 하루빨리 장애인을 코로나19… 한자협 04-12 649
282 보도&성명 220324_[보도자료] 2022년 420장애인차별철폐공동투쟁단 출범식 및 18회 전국장애인대회 (2022.… 한자협 04-12 832
281 보도&성명 220324_[보도자료] 23차 ‘출근길 지하철 탑니다’를 재개하는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입장(3월24일) 한자협 04-12 638
280 보도&성명 220323_[보도자료]서울시_탈시설지원조례_제정촉구_기자회견 한자협 04-12 754
279 보도&성명 220322_[보도자료] 20220322_똑똑똑 안녕하십니까 인수위 장애인권리예산 반영촉구 2차 인사 기자회… 한자협 04-12 636
278 보도&성명 220321_[보도자료] 20220321_서울시장애인이동권선언 미이행 오세훈 서울시장 공식사과 및 장애인 이… 한자협 04-12 622
277 보도&성명 220317_[보도자료] ‘사회적 약자와의 여론전 맞서기’ 언론공작 서울교통공사 규탄 기자회견 한자협 04-12 587
276 보도&성명 220317_[성명서] '사회적 약자와의 여론전 맞서기' 서울교통공사 언론공작 문서에 경악한다. 한자협 04-12 584
275 보도&성명 220314_[보도자료]20220314_서울시 장애인 이동권 완전 보장 촉구 기자회견 한자협 04-12 576
274 보도&성명 220313_[보도자료] 똑똑똑, 축하드립니다. 인수위, 장애인권리예산 반영 촉구 인사 기자회견 한자협 04-12 599
273 보도&성명 220311_[보도자료] 장애인권리 보장을 위한 ‘2022평창장애포럼’ 개최 한자협 04-12 586
272 보도&성명 220311_[보도자료] 장애인권리 보장을 위한 ‘2022평창장애포럼’ 개최 한자협 04-12 704
271 보도&성명 220310_[논평] 윤석열 후보 당선에 대한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의 입장- '공정과 상식'은 장애인권리예산… 한자협 04-12 553
270 보도&성명 220307_[보도자료] 척수성근위축증(SMA) 치료제 접근권 확보를 위한 한-일 SMA 당사자 온라인 교류… 한자협 04-12 700
269 보도&성명 220303_[보도자료] 충청권 이동권 대응 공동행동 세종 기자회견 한자협 04-12 606
268 보도&성명 220303_[보도자료]‘출근길 지하철탑니다’에 대한 입장 한자협 04-12 672
267 보도&성명 220302_[보도자료] 국방비 증액 위해 (성인지예산)장애인예산 줄이겠다는, 장애인 생존권 협박 윤석열 후… 한자협 04-12 6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