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자

221012_[삭발투쟁결의문]_122일 차, 조은상(안산상록수장애인자립생활센터)

  • [결의문&발언문]
  • 한자협
  • 10-12
  • https://www.kcil.or.kr/post/537

a52aa9a79f8b1753deebea98f7fe5e59.jpeg

? 장애인권리예산 촉구 122일 차 삭발투쟁 결의문

안녕하세요. 경기도 안산에 있는 상록수장애인자립생활센터에서 동료상담가로, 소장으로 활동하고 있는 조은상입니다.

저는 돌 무렵에 소아마비에 걸렸고 부모님은 첫 딸인 저를 치료하려고 용하다는 한의원과 병원에 업고 다니며 애를 쓰셨지만 그 후유증으로 걷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자라면서 장애가 있는 저는 학교에 입학할 나이가 되었지만 집에서 학교까지 이동하는 것도 어려웠고 학교 건물은 제가 가서 공부할 수 있는 시설이 안 되어 있어서 결국 부모님도 포기를 하셨고, 가고 싶었지만 어린 마음에도 부모님이 힘들지 않게 내가 참아야 한다고 생각했었습니다. 누구나 배워야 할 시기에 배울 수 있는 것이 권리라는 것을 말해 주는 사람도 없었고 그 당시에 알고 있는 사람도 없었습니다.

20대가 되도록 오로지 책 속에 파묻혀 지내면서 ‘무언가 하고 싶다.’, ‘되고 싶다.’는 생각도 못 하고 살았습니다. 그러다 성당에서 만난 수녀님의 권유로 기술을 배우는 곳으로 가게 되면서 뒤늦게 공부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그곳에서 기능경기대회에 나가게 되어 금메달을 따고 기능올림픽에도 출전하게 되었습니다. 그렇지만 기술을 가지고도 휠체어를 타는 장애로는 직장을 구하기가 너무 어려웠습니다. 비장애인에게는 아무것도 아닌 턱과 계단, 엘리베이터 없는 건물들은 저에게 너무나도 높은 장벽이었습니다. 일을 하고 싶어도 일을 하지 못한다는 건 한 사람의 성인이어도 부모님에게, 형제들에게 언제까지나 의존해서 살아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어렵게 구하게 된 직장에서 저 때문에 경사로를 만들고 화장실도 고치고 해서 “장애가 있어서 일을 못한다.”는 말을 들을까 봐 잦은 야근에 주말도 없이 일을 했었는데, 회사는 장애인을 더 많이 채용하고 시설을 늘려 가다가 갑자기 회사 상황이 어려워지자 매일 함께 일하던 동료들이 “장애인들이 많아서 그렇다.”는 말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장애인을 고용해서 보조금을 받던 회사에서 막상 어려움이 생기면 장애인이 잘못한 것이 되고 장애인이 우선으로 그만두어야 되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우리 사회는 장애인은 더 열심히 살아야 한다고 하고 장애는 극복해야 하는 것이고 장애인이 무언가를 해내면 박수를 보내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장애인이 내 이웃으로, 동료로 함께 일상을 살아가는 것에는 불편하다고 느낍니다.

요즘 지하철로 이동을 하다 보면 저를 보고 “장애인들 이만하면 살기 좋아졌는데 너무하는 것 아니냐.”고 말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그 말은 이 나라에서 살아가는 사람이면 누구나 당연하게 주어지는 이동할 권리, 교육받을 권리, 노동할 권리, 헌법에도 보장하는 행복추구권이 장애가 있으면 더 이상 권리가 아닌 혜택이라는 말인 것 같습니다. 사람마다 살 가치가 얼마나 되는지 돈으로 따져서 우선순위를 정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T4는 80년 전에 있었던 나치의 잔혹한 프로그램이었고 지금 이 시대를 살고 있는 나와는, 우리 모두와는 전혀 상관없는 일인가요? 장애인만의 문제인가요?

지하철을 타고 출근을 하고 학교에 가는 시민 여러분의 일상이 존중받아야 하는 것처럼 장애인도 이 나라에서 살아가고 있는 한 시민입니다. 장애인권리예산은 비용 문제가 아닌 시민의 권리이고 우리 모두의 권리입니다. 120명이 넘는 장애인 동료들이 간절한 마음으로 이 자리에서 삭발을 했습니다. 저는 짧은 머리가 편해서 머리를 길러 본 적은 별로 없지만, 삭발은 전혀 해 본 적이 없어서 용기가 필요했습니다. 제 마음이 부끄럽지 않고 싶어서 이 자리에 온 것 같습니다.

얼마 있으면 수능을 보는 딸아이에게 엄마가 삭발을 할 거라는 말을 하기가 생각보다 쉽지 않아서 망설였는데, 항상 미안한 엄마가 아니라 “당당한 엄마이고 싶어서”라고 말해 주려고 합니다.


? 결의문 모아 보기: https://bit.ly/삭발결의문

? 투쟁 100일 차_133명 삭발 기록영상: https://youtu.be/UPKq2OMj5fg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기타 ⭐️ 교육 신청은 여기로 ⭐️ 한자협 09-13 4,442
273 보도&성명 220415_[보도자료]_장애인권리예산 인수위 답변 촉구를 위한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8차 삭발 투쟁 결의식… 한자협 04-28 677
272 보도&성명 220414_[보도자료]_4.14(목) 2022 Disability Pride - 국회는 장애인평생교육법과 … 한자협 04-28 919
271 보도&성명 220411_[보도자료] 04.11(월) 양천향교역 에스컬레이터 휠체어 추락 참사 서울시 공식사과 촉구 지하… 한자협 04-13 849
270 보도&성명 220411_[보도자료] 장애인권리예산 및 SMA 치료제 보험적용 확대와 의료 접근권 확보를 위한 기자회견 한자협 04-13 620
269 보도&성명 220408_[성명서] 양천향교역 에스컬레이터 장애인 추락 사망 서울시는 공식 사과하라! 한자협 04-13 787
268 보도&성명 220408_[보도자료] 장애인권리예산 인수위 답변 촉구를 위한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8차 삭발 투쟁 결의식… 한자협 04-13 779
267 보도&성명 220407_[논평] 탈시설로 대전환! 장애인정책의 패러다임 변화를 만들기 위하여 정부와 국회는 책임을 다하… 한자협 04-13 699
266 보도&성명 220407_[논평]이준석 국민의힘 당대표는 갈라치기에 비아냥정치의 귀재인가. 한자협 04-13 697
265 보도&성명 220406_[보도자료] 4.7(목) 장애인권리예산 인수위 답변 촉구를 위한 7차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삭발… 한자협 04-13 680
264 보도&성명 220405_[보도자료]서울시 휠체어리프트 추락사망사고 책임 공식 사과 및 서울시 장애인탈시설지원조례 제정 … 한자협 04-12 838
263 보도&성명 220405_[입장문] (서울장차연) 두 번의 공식적 장애인 이동권 보장 약속, 두 번의 파기’ 서울시의 책… 한자협 04-12 680
262 보도&성명 220405_[보도자료] 4.5(화) 장애인권리예산 인수위 답변 촉구를 위한 5차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삭발… 한자협 04-12 639
261 보도&성명 220331_[보도자료] 3.31(목) 장애인교육권 완전보장을 위한 장애인들의 행진(Disability Pr… 한자협 04-12 682
260 보도&성명 220328_[성명서] 더이상 죽음을 지켜볼 수 없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청은 하루빨리 장애인을 코로나19… 한자협 04-12 649
259 보도&성명 220324_[보도자료] 2022년 420장애인차별철폐공동투쟁단 출범식 및 18회 전국장애인대회 (2022.… 한자협 04-12 832
258 보도&성명 220324_[보도자료] 23차 ‘출근길 지하철 탑니다’를 재개하는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입장(3월24일) 한자협 04-12 638
257 보도&성명 220323_[보도자료]서울시_탈시설지원조례_제정촉구_기자회견 한자협 04-12 754
256 보도&성명 220322_[보도자료] 20220322_똑똑똑 안녕하십니까 인수위 장애인권리예산 반영촉구 2차 인사 기자회… 한자협 04-12 636
255 보도&성명 220321_[보도자료] 20220321_서울시장애인이동권선언 미이행 오세훈 서울시장 공식사과 및 장애인 이… 한자협 04-12 622
254 보도&성명 220317_[보도자료] ‘사회적 약자와의 여론전 맞서기’ 언론공작 서울교통공사 규탄 기자회견 한자협 04-12 5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