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자

221018_[삭발투쟁결의문]_124일 차, 풍경(전북장애인차별철폐연대)

  • [결의문&발언문]
  • 한자협
  • 10-18
  • https://www.kcil.or.kr/post/540

c2dc41e7c7f80dd18639b563c720997e.jpeg

? 장애인권리예산 촉구 124일 차 삭발투쟁 결의문

안녕하세요. 저는 전북장애인차별철폐연대 집행위원장 양은주(풍경)입니다. 저는 올해 전장연에 입사해 전북장차연 사무국장을 하다가 지역의 해묵은 문제로 인해 활동정지를 당하게 된 전북장차연 공동대표와 집행위원장을 대신해 갑작스럽게 집행위원장을 맡게 됐습니다.

지역에서 삭발투쟁을 조직해야 하는 제가 먼저 삭발에 동참하고서야 동지들께 삭발투쟁에 참여하자고 제안할 수 있을 거 같아 오늘 삭발을 결의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올해 상반기 전국대회에 참여하며 출근길 지하철 투쟁에 몇 번 참여했습니다. 그때 알았습니다. 그나마 잘돼 있다는 서울의 교통 체계에서도 휠체어를 탄 장애인들이 이동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는 것을요. 혼자서 서울의 지하철을 이용할 때와 휠체어 탄 동료와 서울의 지하철을 이용하는 데에 너무도 큰 격차가 생겼습니다. 비장애인인 제가 혼자서 이동할 때는 엘리베이터를 타야할 일이 없어 막힘이 없었지만, 난생 처음 휠체어를 탄 동료들과 지하철을 이용했는데 환승 구간에 엘리베이터가 없어 막히는 경험을 했습니다. 너무도 당황스러웠습니다. 또 엘리베이터는 왜 이렇게 찾기 어려운 구석에 있는 것일까요? 엘리베이터 찾는 데도 많은 시간이 들었습니다.

엘리베이터가 없는 역에서는 장애인들이 추락해 사망했던 리프트밖에는 휠체어 탄 분들이 이동할 방법이 없었습니다. 어쨌든 목적지까지 이동해야 했으므로 리프트를 타고 올라가는 동료들을 바라볼 수밖에 없었습니다. 리프트를 타야 할 휠체어 이용자들이 많이 밀려 있었기에 잔고장이라도 일으켜 사고라도 나면 어쩌나 마음을 졸였습니다. 저는 바라만 보는데도 이런데 정작 리프트를 타고 있는 분들은 얼마나 두려웠을까요. 비장애인들이 계단을 이동하는 데 목숨을 걸어야 한다면 어떨까요? 30초면 올라가는 거리에 목숨을 걸어야 하는 사람들이 우리 옆에 있습니다.

사람들이 떨어져 죽었는데도 아직도 전 지하철 역사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지 않았다는 것이 상식적으로 이해되지 않았습니다. OECD 가입국이면 뭐 합니까. 아직도 서울의 지하철엔 구시대적 산물인 리프트가 남아 있는데요. 서울시는 대한민국 최고의 도시라고 하지만 이 리프트가 완전히 철거되지 않은 이상 대한민국에서 가장 야만적인 도시라고 부를 수밖에 없을 겁니다.

장애인들과 거리를 다니며 이동권 영상을 제작한 어떤 분이 그러더라고요. 비장애인 시민들이 편하다고 생각했던 모든 시설들이 장애인들에게는 불편했다는 것을 알게 됐다고요. 보도의 수많은 턱, 계단버스, 장애인 화장실이 없거나 경사로가 없는 건물, 너무나 높게 설계된 키오스크, 잡아당겨야 하는 은행문, 휠체어는 들어갈 수 없는 버스 정류장 등 장애인을 차별하는 시설물은 셀 수 없이 많습니다.

그렇습니다. 이 사회는 비장애인 중심으로 설계되었습니다. 그래서 장애인들은 교육 수준과 취업률, 소득은 낮고, 우울증과 스트레스 지수는 비장애인 집단보다 높아요. 빈부의 격차도 문제지만 장애인 대 비장애인 집단의 삶의 격차가 너무도 큰 것에 대해서도 같이 고민해야 합니다. 많은 시민들이 빈부 격차에 분노하면서 이러한 비장애인 대 장애인의 삶의 격차에는 분노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자기 권리를 위해 싸우는 장애인들을 향해 혐오의 말들을 쏟아냅니다.

그 혐오하는 말을 쏟아낼 때 자신을 돌아봐 보세요. 혐오하고 나면 마음이 편하시던가요? 마음이 불편하고 몸 어딘가 아프지는 않은가요? 되는 일도 없고 일은 더 꼬이고 사람들 관계도 안 좋아지고⋯. 그것이 혐오의 힘입니다. 그렇게 혐오에 열을 올리다 보면 어느 순간 자신이 괴물이 돼 있을지도 모르고요. 장애인 이동권 투쟁을 같이 응원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이동권투쟁을 통해 설치된 엘리베이터는 노약자분들을 더 편하게 하고, 버스 내에 LED 안내판도 많은 시민들에게 도움이 되고 있듯, 전장연의 지하철 투쟁은 어떤 또 다른 세상의 변화를 가져올지 궁금해하면서 말이죠.


? 결의문 모아 보기: https://bit.ly/삭발결의문

? 투쟁 100일 차_133명 삭발 기록영상: https://youtu.be/UPKq2OMj5fg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기타 ⭐️ 교육 신청은 여기로 ⭐️ 한자협 09-13 4,412
173 보도&성명 210917_[보도자료] 20210917_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법 개정 촉구 추석맞이 기자회견 한자협 04-11 391
172 보도&성명 210915_[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환영논평] 「서울특별시 장애인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조례안」의 본회의… 한자협 04-11 357
171 보도&성명 210914_[보도자료] 2022년 서울시 장애인 권리 예산 쟁취 투쟁 선포 및 오세훈 서울시장 면담 촉구 … 한자협 04-11 439
170 보도&성명 210910_[보도자료] 2022 양대선거장애인차별철폐연대 출범식 및 탈시설장애인당 투쟁캠프 개소식 (202… 한자협 04-11 482
169 보도&성명 210907_[보도자료] 경기도 장애인 탈시설 자립생활 선언문 선포식 진행 (사후 배포) 한자협 04-11 391
168 보도&성명 210907_[보도자료] 경기도 장애인 탈시설 자립생활 선언문 선포식 진행 (사후 배포) 한자협 04-11 458
167 보도&성명 210901_[공동성명서] 사회서비스원법 제정안 본회의 통과, 돌봄의 국가책임 강화 첫걸음 한자협 04-11 404
166 보도&성명 210831_[보도자료] 장애인건강주치의사업 현황과 장애인당사자 온라인 사례발표회 한자협 04-11 405
165 보도&성명 210827_[보도자료] 8.27(금) 「학교형태의_장애인평생교육시설_지원_매뉴얼」_성실이행_촉구_서울시교육… 한자협 04-11 470
164 보도&성명 210825_[성명서]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사회복지위원회에 탈시설의 복음을 전하고자 합니다 한자협 04-11 476
163 보도&성명 210826_[보도자료] “우리는 무사히 백신 접종을 할 수 있을까” 온라인 기자회견 한자협 04-11 424
162 보도&성명 210823_[보도자료] 8.23(월) 14시 장애학생에 대한 조직적 차별을 인정하라! : ‘차별대학’ 진주… 한자협 04-11 670
161 보도&성명 210819_[보도자료] 장애인권리보장법·장애인탈시설지원법제정연대 온라인 출범식 한자협 04-11 655
160 보도&성명 210819_[성명서] 진주교대는 빙산의 일각, 교육계 장애인차별의 고리 이제는 끊어야 한다 한자협 04-11 439
159 보도&성명 210818_[보도자료] 장애인권리보장법 제정안 마련을 위한 정책토론회 (2021. 8. 18.(수) 오후 … 한자협 04-11 427
158 보도&성명 210809_[보도자료] 8.9(월) 중증장애학생 입시성적조작 사건 강력 규탄 및 장애학생 입시 차별 전수조… 한자협 04-11 555
157 보도&성명 210804_[성명서] 전장연_진주교대 중증장애인 입시성적 조작, 비장애인 중심의 ‘차별교육’을 철폐하자 한자협 04-11 446
156 보도&성명 210803_[성명서] ‘너무 늦은, 너무 무책임한, 너무 긴’ 무개념한 탈시설 로드맵과 권리 한자협 04-11 402
155 보도&성명 210728_[보도자료]탈시설로드맵 탈시설 권리 명시 촉구 컨테이너 옥상투쟁 한자협 04-11 425
154 보도&성명 210727_07.28 장애인권리보장을 위한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세종시·정부청사_실천행동의날 한자협 04-11 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