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자

221129_[삭발투쟁결의문]_139일 차, 김도현(노들장애학궁리소)

  • [결의문&발언문]
  • 한자협
  • 11-29
  • https://www.kcil.or.kr/post/564

403551ddfb4aa522b39e3a0a7fc86705.jpg

? 장애인권리예산 촉구 139일 차 삭발투쟁 결의문

이제 읽으려는 이 글은 투쟁결의문이라는 형식을 띠고 있긴 한데요, 단어의 본래적인 의미에서 보자면 이번 삭발을 제가 ‘결의했다’고 말하는 건 정확하지 않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지난 3월 말부터 시작된 이 릴레이 삭발투쟁이 50회 차를 넘어가고 100회 차에 다가서면서, 만일 이 투쟁에 어느 날 구멍이 생긴다면 그 공백을 메우는 역할을 마다하지는 않아야겠다는 생각을 자연스럽게 하고 있었던 것이죠. 그러고 보면 저에 앞서 일백서른여덟 번의 삭발을 주말과 휴일을 빼면 하루로 거르지 않고 이어온 동지들의 투쟁이 저를 ‘결의시킨’ 것에 더 가깝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2000년대 초반 이동권투쟁을 시작하던 당시, 지하철 선로도 여러 번 점거했고 또 지하철 타기 투쟁도 많이 했습니다. 그런데 그로부터 20년이 지나 같은 방식의 투쟁을 같은 요구를 걸고 하게 되리라고는 사실 생각하지 못했던 것 같습니다. 그만큼 한국사회의 변화는 형식적이었고, 장애인 대중의 정당한 요구를 기만하고 회피해 왔던 것이죠. 저는 과거 전장연에서 상근할 당시 주로 정책을 담당했었는데요. 그때 자주 했던 얘기가 있습니다. ‘우리 사회에 정책이 없어서 장애해방이 안 이루어지냐!’라는 말이었죠. 사실 우리의 요구는 매우 간명하고 또 단순합니다. ‘장애인도 지역사회에서 이동하고, 교육받고, 노동하며 살아가는 것’, 여기에 무슨 엄청나게 대단한 정책이 필요할까요.

그런데 그 당연한 시민의 권리를 장애인이 보장받기 위해서는, 단지 정책 같은 차원의 것이 아니라 이 사회의 기본 질서 자체를 재구축해야 한다는 것, 그 질서를 규정하는 자본의 권력과 비장애중심주의적 권력을 해체해 나가야 한다는 것, 고병권 선생님 말을 빌리자면 “사회 전체를 이동시키지 않고서는 학교조차 갈 수 없다는 것”, 그것이 우리가 지난 20여 년간 투쟁하면서 배우고 깨달아 온 사실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러고 보면 2001년과 크게 다르지 않은 요구를 20년 넘게 외치고 있지만, 그럼에도 우리는 분명히 다른 이야기를 하고 있고, 또 커다란 발전을 이루어 왔다고 생각합니다.

무엇보다 당시에는 시설 민주화를 이야기했다면 이제 우리는 ‘탈시설’을 이야기하고 있고, 당시에는 우리조차 상상하지 못했던 최중증장애인의 노동권을 ‘권리중심 공공일자리’를 통해 요구하고 싸울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2001년 당시에는 한 달의 천막농성을 지킬 실무자가 없어 힘겨워했지만, 이제는 1,842일간의 농성을 ‘조직적으로’ 사수해 낼 수 있는 역량을 갖게 되었고, 또 이렇게 8개월에 걸친 삭발투쟁을 매일같이 결의해 낼 수 있는 동지들이 있습니다. 이렇게 서로의 손을 맞잡은 단단한 우리가 있기에, 장애인 대중의 정당한 요구를, 장애인권리예산을 기필코 쟁취해 낼 수 있을 거라고 저는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왜냐하면 우리는, 될 때까지 할 테니까요.

저는 현재 노들장애학궁리소라는 곳에서 연구활동을 중심으로 장애인운동에 결합하고 있습니다만, 이번처럼 제게 요구되는 역할이 있다면 언제든 마다하지 않고 기꺼이 받아 안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우리의 투쟁이 장애해방을 향한 새로운 질서를 열어 가는 데 작은 보탬이 될 수 있도록, 더 치열하게 읽고, 고민하고, 쓰도록 하겠습니다. 함께 투쟁하겠습니다. 투쟁!


? 결의문 모아 보기: https://bit.ly/삭발결의문
✅ 한자협 19주년기념 영상 링크: https://youtu.be/rjB4SQYs5b4
? 투쟁 100일 차_133명 삭발 기록영상: https://youtu.be/UPKq2OMj5fg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기타 ⭐️ 교육 신청은 여기로 ⭐️ 한자협 09-13 4,308
73 보도&성명 200826_[성명] 국가인권위의 정치인의 장애인비하발언 재발방지 권고결정 늦었지만 적극 환영한다. kcil 08-28 3,138
72 보도&성명 200821_[보도자료]1842일 광화문 지하도 농성 8주년 기자회견 kcil 08-28 2,830
71 보도&성명 200813_[성명]정부는 장애인건강권법 실효성 확보하여 장애인의 죽음을 방치하지 말라. - 대한의사협회는 … kcil 08-13 3,103
70 보도&성명 200813_[보도자료]의사협회 파업 반대! 공공의료, 장애인주치의 강화 촉구 기자회견 kcil 08-13 2,916
69 보도&성명 200806_[보도자료]장애인 활동지원 산정특례 보전자 대책 마련 촉구 및 밧줄 매기 투쟁 선포 기자회견 kcil 08-12 2,973
68 보도&성명 200805_[성명서] 절름발이는 논쟁의 여지조차 없는 명백한 장애인 혐오 표현이다. - 21대 국회는 장애… kcil 08-06 3,022
67 보도&성명 200717_[성명]서철모 화성시장의 '화성시 장애인 활동지원사업과 관련한 입장'에 대한 경기장애인차별철폐연… kcil 08-03 3,080
66 보도&성명 200716_[성명]시설운영자가 인권침해를 감시한다?!-권익옹호기관의 역할도 제대로 모르는 울산광역시는 장애… kcil 08-03 3,045
65 보도&성명 200716_[보도자료] “장애인 생존권인 활동지원서비스를 필요한만큼 보장하라!” 중증장애인 활동지원권리 무… kcil 08-03 3,089
64 보도&성명 200715_[보도자료] 장애등급제 진짜 폐지! 부양의무자기준 완전 폐지! kcil 08-03 3,029
63 보도&성명 200714_[성명]생계급여 부양의무자기준 폐지 계획 환영, 부양의무자기준 완전 폐지 계획을 기다린다! kcil 08-03 3,005
62 보도&성명 200706_[성명]모든 차별에 저항하는 차별금지법 발의를 환영합니다. kcil 07-13 3,378
61 보도&성명 200701_[보도자료]‘장애인 목숨도 소중하다!’ 장애등급제 가짜 폐지 1년 규탄 및 전동(前動)행진 kcil 07-06 3,349
60 보도&성명 200629_[성명서] 장애인 예산 감액 편성한 3차 추경 예산안 벼룩의 간까지 빼먹으려는 정부를 규탄한다! kcil 07-06 3,535
59 보도&성명 200619_[보도자료]_서울시 장애인 평생교육 권리보장 촉구 기자회견 kcil 06-19 3,926
58 보도&성명 200618_[보도자료]_"장애인거주시설 기능개편은 탈시설이 아니다!" 장애인의 완전한 통합과 참여를 보장하… kcil 06-17 4,450
57 보도&성명 200611_[보도자료]_故 김재순 장애인노동자 사회적 타살 30년 장애인일자리 정책 사망 규탄 중대재해기업… kcil 06-11 4,168
56 보도&성명 200604_[보도자료]_국무조정실 장애인 고용장려금 고시개정 지시 규탄 기자회견 kcil 06-11 4,129
55 보도&성명 200602_[성명]_고용노동부는 중증지적장애인 노동자 김재순 죽음에 대하여 사과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 kcil 06-02 4,297
54 보도&성명 200524_[성명서]_<나눔의 집>은 각종 의혹을 투명하게 밝히고 당국은 책임있게 문제 해결에 나서라! kcil 05-25 4,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