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자

[성명] 230427_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장애인복지시설(화)를 단호히 거부한다!

  • [보도&성명]
  • 한자협
  • 04-27
  • https://www.kcil.or.kr/post/587
첨부파일

42d32fc5bb06915037ed07647656ec8e.jpg 

[성명] 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장애인복지시설(화)를 단호히 거부한다!

- 장애인복지법 일부개정법률안(이종성의원 등 11인)의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 통과에 부쳐 -


 2023년 4월 27일(목)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를 통해 국민의 힘 이종성 의원이 대표발의한 ‘장애인복지법 일부개정법률안’이 통과되었다.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는 해당 법안이 장애계의 의견 수렴조차 거치지 않고 졸속 처리 되었다는 사실에 깊은 유감을 표명하며, 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본질을 훼손하는 법안 철회 투쟁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밝힌다.

 통과된 법안은 장애인복지법 제 58조(장애인복지시설) 안에 장애인자립지원시설을 신설하고 하위 유형으로 장애인자립생활센터를 두도록 하는 법안이다. 이는 이종성 의원이 장애인의 탈시설 권리는 소거한 채 거주시설의 서비스기관 전환에 방점을 두고 발의한 ‘장애인의 지역사회 정착지원 등에 관한 법률’을 전제한 ‘장애인복지법전부개정안’ 중 일부를 현행법에 적용시킨 방식이다.

 탈시설을 위한 전향적 논의가 축소되고 기존의 시설을 재배치하려는 정책적 흐름 가운데 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본질과 역사성이 훼손될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장애인자립생활센터에 대한 부족한 지원의 원인이 불완전한 법적 지위 때문이라며 장애인복지시설 진입을 대안이라 선전하는 이들이 있다.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만 보는 격으로 매우 빈약한 관점이다. 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법적지위는 이미 확보되어 있다. 장애인복지법 ‘제4장 자립생활의 지원’ 중 ‘제54조’를 통해 독립적으로 명시되어 있다. 

 문제의 원인은 장애인 탈시설·자립지원체계에 무책임하고 자립생활센터를 괄시한 정부이지, 복지시설로의 진입 여부가 아니다. ‘장애인복지시설을 통한 법적지위 확보’라는 왜곡된 명분은 그 자체로 매우 무책임하다. 예산의 논리 아래 통제와 관리·감독의 대상이자 주체가 되겠다는 말과 다르지 않으며, 국가 보조금의 근거를 지방이양시킬지도 모른다는 우려와 장애인 당사자들의 지위가 위협받을 수 있다는 현장의 목소리들을 애써 외면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자조적이기까지 하다.

 장애인을 무권리의 존재로 묶어두는 사회에서 장애인자립생활센터는 중증장애인 당사자들이 딛고 설 발판이 되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요구는 권리운동체이자 서비스 기관으로써, 장애인의 자력화를 도모하고 ‘시설화’의 요인을 제거할 수 있는 대안적 주체로서 획득한 차별적 위상의 강화로 이어져야 한다.

 장애인의 탈시설 권리를 부정하는 세력을 등에 업고 탈시설에 역행하는 정책을 내세우는 이들, 변혁적 주체라는 위용과 독립적이고 대안적인 제도적 위상 정립의 책임을 포기하고 왜곡된 허상을 좇는 자조적 무리들을 똑똑히 기억할 것이다.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는 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위상을 훼손하고, 장애계의 의견수렴 과정조차 거치지 않은 ‘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복지시설(화)’ 법안의 저지를 위해 강경한 투쟁을 전개할 것이다.


2023년 4월 27일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기타 ⭐️ 교육 신청은 여기로 ⭐️ 한자협 09-13 4,274
253 보도&성명 220317_[성명서] '사회적 약자와의 여론전 맞서기' 서울교통공사 언론공작 문서에 경악한다. 한자협 04-12 572
252 보도&성명 220314_[보도자료]20220314_서울시 장애인 이동권 완전 보장 촉구 기자회견 한자협 04-12 563
251 보도&성명 220313_[보도자료] 똑똑똑, 축하드립니다. 인수위, 장애인권리예산 반영 촉구 인사 기자회견 한자협 04-12 588
250 보도&성명 220311_[보도자료] 장애인권리 보장을 위한 ‘2022평창장애포럼’ 개최 한자협 04-12 576
249 보도&성명 220311_[보도자료] 장애인권리 보장을 위한 ‘2022평창장애포럼’ 개최 한자협 04-12 694
248 보도&성명 220310_[논평] 윤석열 후보 당선에 대한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의 입장- '공정과 상식'은 장애인권리예산… 한자협 04-12 543
247 보도&성명 220307_[보도자료] 척수성근위축증(SMA) 치료제 접근권 확보를 위한 한-일 SMA 당사자 온라인 교류… 한자협 04-12 690
246 보도&성명 220303_[보도자료] 충청권 이동권 대응 공동행동 세종 기자회견 한자협 04-12 596
245 보도&성명 220303_[보도자료]‘출근길 지하철탑니다’에 대한 입장 한자협 04-12 663
244 보도&성명 220302_[보도자료] 국방비 증액 위해 (성인지예산)장애인예산 줄이겠다는, 장애인 생존권 협박 윤석열 후… 한자협 04-12 684
243 보도&성명 220301_[보도자료]20220301_부산지역내 성폭력 사건에 대한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입장 및 계획 한자협 04-12 685
242 보도&성명 220302_[보도자료] 보건복지부·질병청 코로나19 장애인 방치·책임전가 규탄 기자회견 (2022.3.2.… 한자협 04-12 550
241 보도&성명 220228_[보도자료] 장애인 접근권 보장책임 망각한 대한민국 상대 항소 및 시행령 개악 강행 중단 촉구 … 한자협 04-12 583
240 보도&성명 220225_[보도자료] 대통령후보 TV토론 장애인이동권완전보장 약속 촉구 지하철타기 3차 긴급행동 한자협 04-12 581
239 보도&성명 220224_[보도자료] 대선후보들에게 편지를 씁니다! 한자협 04-12 470
238 보도&성명 220223_[보도자료] 장애계, 조해진 국회 교육위원장 면담 진행 “장애인평생교육법 제정 및 장애인의 통합… 한자협 04-11 482
237 보도&성명 220223_[보도자료] 21일째 ‘출근길 지하철탑니다!’ 행동, 3월 2일 대선후보 TV토론(사회분야)때까… 한자협 04-11 612
236 보도&성명 220222_[논평] 법에 명시된 이동권을 권리라고 부르지도 못하는가! 홍길동이 되어버린 장애인의 설움, 오… 한자협 04-11 487
235 보도&성명 220222_[성명서]_심상정 후보의 3차 대통령후보 TV 토론회 1분 발언에 대한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의 … 한자협 04-11 511
234 보도&성명 220222_[보도자료] 제1차 장애인도 이동하고 교육받고 일하면서 지역사회 함께살기 지하철타기 선포 기자회… 한자협 04-11 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