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자

[보도자료]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제2법안심사소위원회 장애인복지법 개악안 상정 음모 규탄 기자회견 (2023년 11월 20일(월) 오전 11시, 국회의사당 정문 앞)

  • [보도&성명]
  • 한자협
  • 11-20
  • https://www.kcil.or.kr/post/608
첨부파일
20231120_웹자보_국회_법사위_제2소위_장애인복지법_개악안_상정_음모_규탄_기자회견.jpg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제2법안심사소위원회 장애인복지법 개악안 상정 음모 규탄 기자회견
○ 개요
- 일시 : 2023년 11월 20일(월) 오전 11시
- 장소 : 국회의사당 정문 앞
- 주최 :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장애인복지법 개악 및 장애인자립생활운동 퇴행 저지 긴급투쟁단

○ 보도자료 링크

c9d6fd0571d0c7722698788f9b852562.jpg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및 긴급투쟁단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전국장애인부모연대, 전국장애인야학협의회, 전국탈시설장애인연대, 한국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한국피플퍼스트 주소: (03086)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숭길 25, 유리빌딩 5층 506호 전화 (02) 738-0420 | 팩스 (02)-6008-2973 | E-mail: kc-cil@hanmail.net">kc-cil@hanmail.net | 홈페이지: kcil.or.kr

담당 정다운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정책실장 (010-6293-0357)
배포일자 2023.11.20.(월)
제목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제2법안심사소위원회 장애인복지법 개악안 상정 음모 규탄 기자회견 (2023년 11월 20일(월) 오전 11시, 국회의사당 정문 앞)
붙임자료


? [기자회견]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제2법안심사소위원회 장애인복지법 개악안 상정 음모 규탄 기자회견

  • 일시: 2023년 11월 20일(월) 오전 11시
  • 장소: 국회의사당 정문 앞
  • 주최: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장애인복지법 개악 및 장애인자립생활운동 퇴행 저지 긴급 투쟁단
  • 식순 (사회 : 백인혁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정책국장)
    • 발언 : 최용기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회장)
    • 발언 : 양준호 (인천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회장)
    • 발언 : 이원교 (성북장애인자립생활센터 소장)
    • 발언 : 서기현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소장)
    • 발언 : 이형숙 (서울시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회장)

  1. 공정 보도를 위해 노력하시는 귀 언론사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2.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회장 최용기, 이하 한자협)**는 장애인이 비장애인과 동등한 권리를 보장 받아 지역사회로의 완전한 참여와 통합을 이룰 수 있도록 장애인의 권익옹호, 탈시설을 지원하며 비장애인 중심 사회의 차별 철폐를 위해 활동하는 장애인자립생활센터(11개 광역협의회 93개소)의 전국적인 협의체이며, ‘장애인복지법 개악 및 장애인자립생활운동 퇴행 저지 긴급투쟁단’(이하 긴급투쟁단)은 장애인의 탈시설•자립생활 권리가 퇴행하는 윤석열 정부 시대 거짓과 비방으로 장애인 자립생활 운동을 퇴행시키기 위해 통과된 장애인복지법 일부개정안(이종성 등 11인)의 저지를 위해 구성된 장애계 전국 단체들의 연대체입니다.

  3. 지난 4월 26일(수)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제2법안심사소위원회에서는 장애인자립생활센터를 ‘복지시설(화)’ 하는 ‘장애인복지법 일부개정법률안(이종성 등 11인)’이 심의되었으며, 바로 다음날인 27일(목) 상임위 전체회의에서 통과 되었습니다. 보건복지위를 통과한 장애인복지법 개정안은 상임위 논의 과정에서 한자협이 법개정에 동의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동의했다는 이종성 국민의힘 의원의 사실 왜곡과 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정체성을 모독하는 이기일 복지부 1차관의 거짓 발언으로 통과된 최악의 장애인복지법 개악입니다. 이에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는 장애인복지법 개악을 저지하기 위한 긴급투쟁단을 구성하여, 5월 11일(목)부터 국회의사당역 대합실에서 농성 투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2023년 11월 20일 기준, 194일 차)

  4. 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법적 근거는 2007년 장애인복지법 전부 개정을 통해 신설(현행법 제54조)되었고, 2015년에는 정부의 지원 책임을 강화하기 위한 예산 지원의 근거가 마련(제54조 ③항)되었습니다. 2007년에 장애인복지법 전부 개정이 논의될 때 장애인복지법에는 “복지시설과 단체”라는 장이 있었지만, 장애인자립생활센터는 복지시설에 포함되지 않고 “제4장 자립생활의 지원”이라는 신설된 별도의 장에 위치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장애인자립생활센터가 장애인 당사자의 주체적 참여를 강조하는 활동의 터전으로써, 기존의 재활·전문가·비장애인중심의 장애인복지 전달체계로 욱여넣어질 수 없는, 명백한 차별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입니다.

    982f83656ab02fd2aa0c1e6d686e3f3b.jpg

  5. 장애인자립생활센터는 장애인복지시설과 같은 재활·전문가·비장애인중심의 장애인 복지서비스 기관과는 태생적으로 다르며, 장애인자립생활센터만의 고유성과 차별성, 장애인 자립생활 패러다임을 주 무기로 한국 사회 장애인복지의 독자적인 영역을 만들고 성장해왔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장애인자립생활센터를 ‘복지시설(화)’ 하는 ‘장애인복지법 일부개정법률안(이종성 등 11인)’은 장애인자립생활센터를 기존의 다른 서비스 기관과 병렬적으로 나열하고 서비스 기관의 하나로 취급함으로써, 장애인자립생활센터가 지닌 고유성과 그 간의 역사를 깡그리 무시하며, 센터의 정체성을 훼손하는 개악인 것입니다.

  6.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총연합회(이하 한자연)의 집행부가 센터의 ‘돈 몇 푼’을 보장 받겠다는 구실로 장애인자립생활센터를 복지시설로 욱여넣고, 센터의 존재를 말살하는 장애인복지법 개악을 주장하고 있다는 것이 통탄스럽습니다. 장애인복지법 개악안은 한자협의 반대 의견에도 불구하고 사기에 가까운 권모술수 형태로 국회 논의가 진행되어 상임위원회를 통과했지만, 결국 지난 7월 26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숙려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법제사법위원회 제2법안심사소위원회 회부로 의결된 바 있습니다.

  7. 11월 21일(화)에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제2법안심사소위원회 회의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또다시 장애인복지법 개악안이 상정될 수도 있는 상황에서, 한자협은 장애인복지법 개악에 명백하게 반대 입장임을 밝힙니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는 해당 법안 관련 중요한 이해당사자인 장애인단체의 의견을 무시하고 사기 치는 방식으로 국회에서 논의하려는 음모를 즉각 중단하여야 합니다. 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법적 근거는 중증장애인 당사자들의 직접 참여를 통해 운영되는 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고유성을 존중하도록 독자적인 법적 근거를 두되(장애인복지시설로 편입하지 않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지원 강화 및 운영 안정화를 위한 입법 논의가 진행돼야 합니다.

  8. 한자연 집행부는 센터와 복지시설의 동등한 지원 근거 마련을 위해서 장애인복지법 개악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지만, 센터를 복지시설에 욱여넣지 않더라도 동등한 지원 근거를 마련할 방안이 있습니다. 장애인복지시설의 지원 근거 규정인 현행 장애인복지법 ‘제81조(비용 보조)’를 개정하여 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근거 조문을 삽입한다면, 센터를 복지시설에 포함시키지 않아도 동등한 지원 근거의 효력이 발생합니다. 한자연 집행부는 한자협-한자연 양자가 동의할 수 있는 방안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에 있던 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법적 근거를 삭제하면서까지 복지시설로 편입하겠다는 몽니를 중단하기 바랍니다.

    b1af64b5c81430c25d7849e485adaef1.png

  9. 이에 한자협과 긴급투쟁단의 공동주최로, 2023년 11월 20일(월) 오전 11시, 국회의사당 정문 앞에서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제2법안심사소위원회 장애인복지법 개악안 상정 음모 규탄 기자회견>이 개최됩니다.

  10. 귀 언론사의 많은 관심과 취재 부탁드립니다.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기타 ⭐️ 교육 신청은 여기로 ⭐️ 한자협 09-13 4,264
313 보도&성명 220520_[보도자료]_김대중 후보, “차별 없는 교육을 지향” 장애인평생교육 확대 및 특수교육, 장애인교… 한자협 05-25 1,054
312 보도&성명 220520_[보도자료]_장석웅 후보, 장애인 교육에 관심과 지원이 늘어나야 진정한 평등”, 늘어난 전남교육… 한자협 05-25 1,172
311 보도&성명 220519_「보도자료]_5.20(금) 전남교육감선거장애인연대, 장석웅 및 김대중 전라남도교육감 후보 정책협… 한자협 05-20 1,092
310 보도&성명 220519_「성명서]_장애인이동권 권리예산 2차 추경 수정 가결 환영하며, 기획재정부는 2차 추경에 장애인… 한자협 05-20 1,123
309 보도&성명 220518_「보도자료]_5/20 고 김재순 장애청년노동자 2주기 추모제(서울 지역) 및 장애인 권리예산 쟁… 한자협 05-20 1,099
308 보도&성명 220518_「보도자료]_5/23-5/26 장애인탈시설지원법 및 장애인권리보장법 제정촉구를 위한 탈시설 당사… 한자협 05-20 1,132
307 보도&성명 220516_[보도자료]_5·18광주민주화운동 42년 맞이, 장애인의 지역사회 완전한 통합과 참여 보장을 위… 한자협 05-16 1,088
306 보도&성명 220515_[보도자료]_장애인권리예산 22년 추경 반영을 위한 출근길_긴급행동(am7:30) 한자협 05-16 1,082
305 보도&성명 220513_[보도자료]_전라남도는 장애인 이동권를 보장하라 전남지역 특별교통수단 격차 철폐 기자회견 및 특… 한자협 05-16 1,124
304 보도&성명 220512_[보도자료]_서울시장애인탈시설지원조례 제정 약속 미이행 ‘혼쭐’ 페스티벌 (22.05.13 (금… 한자협 05-16 1,098
303 보도&성명 220511_[보도자료]_세종시 2022년 이동권 기자회견 및 특별행동 -장콜원정대 세종편- 한자협 05-12 1,048
302 보도&성명 220511_[보도자료]_박선영 예비후보, “기존과 차원이 다른 장애인교육 정책 추진하겠다” 장애인교육 예산… 한자협 05-12 858
301 보도&성명 220511_[보도자료]_박선영 예비후보, “기존과 차원이 다른 장애인교육 정책 추진하겠다” 장애인교육 예산… 한자협 05-12 956
300 보도&성명 220510_[보도자료]_한국의 장애인권리예산 보장 촉구 위한 국제연대 기자회견 한자협 05-12 838
299 보도&성명 220510_[보도자료]_5/11 장애인권리예산 중앙정부 책임강화 국회 연속토론회 2회차 : 국가 주도의 탈… 한자협 05-12 904
298 보도&성명 220510_[보도자료]_5.11(수) 서울교육감선거장애인연대-박선영 서울특별시교육감 예비후보 정책협약식 개… 한자협 05-12 892
297 보도&성명 220509_[보도자료]_윤석열 대통령 취임식 맞이 장애인 권리 보장을 위한 행진 한자협 05-12 807
296 보도&성명 220508_[보도요청]_조선일보 탈시설 왜곡 기사 언론중재위원회 제소 기자회견 (2022.5.9.(월) 오… 한자협 05-12 964
295 보도&성명 220506_[보도자료]_한국지체장애인협회 김광환 중앙회장의 "기형아" 발언 국가인권위원회 진정 기자회견 (… 한자협 05-12 862
294 보도&성명 220506_[보도자료]_5.6(금) 경기교육감선거장애인연대와 송주명 경기교육감 예비후보 정책협약식 열려 한자협 05-12 7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