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자

200917_[성명]'슈펴예산' 중앙정부는 장애인 생존권을 위한 울트라 예산을 편성하고 책임을 다하라!

  • [보도&성명]
  • kcil
  • 09-18
  • https://www.kcil.or.kr/post/156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슈퍼예산중앙정부는 장애인 생존권을 위한

울트라 예산을 편성하고 책임을 다하라!

 

 

91, 홍남기 기획재정부 장관은 2021년도 슈퍼예산 편성 계획을 발표했다. 기획재정부는 2020년 수준(5123천억 원) 대비 435천억 원이 확대된 역대 최대 증가액 규모를 자랑하는 2021년 예산(5558천억 원)이 곧 경제회복에 대한 정부의 강한 의지라고 언급했다.

 

2021년도 중앙정부의 슈퍼 예산편성 소식이 발표되었음에도, 열악한 장애인의 삶이 나아질지 의문이 든다. 중앙정부의 새로운 슈퍼예산 및 거대국책사업 발표에서 장애인 정책은 여전히 배제되고 있다. 오랜 기간 장애인의 삶을 외면하고 서비스 사각지대를 방치한 현실이 내년도 슈퍼예산 계획에서도 그대로 드러나고 있다.

 

중앙정부는 장애인의 탈시설, 이동권, 활동지원서비스 권리 등을 제도적으로 폭넓게 보장할 마땅한 의무가 있으나 이를 외면하고 있다. '탈시설', '특별교통수단 및 바우처 택시', '활동지원 24시간' 등에 대해 중앙정부는 적극적인 예산 책임 없이 지방정부로 그 부담을 떠넘기고 있다. 현재까지 탈시설 정책과 관련한 중앙정부 예산은 문재인 정부 임기 절반이 지나도록 단 한 푼도 책정되지 않아 각 지자체에서 대응하는 실정이다. 특별교통수단 역시 마찬가지다. 중앙정부는 최초 차량 도입비만 지원할 뿐, 특별교통수단 운행에 필요한 비용은 각 지자체가 부담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 지자체별 이동의 제약과 편차가 심각한 수준이다. 이처럼 지자체는 중앙 예산 없이 지자체 재량 예산을 활용해 현장에서 땜질하듯 겨우 대응하고 있다.

중앙정부의 방관으로 인해 지자체별 장애인 정책의 편차가 계속 발생하고 있다. 장애인의 지역사회 통합과 완전한 자립생활을 위해 꼭 필요한 각종 장애인 정책 예산을 지자체로 떠넘기는 암울한 현실 속에서 발표되는 2021년도 확대 재정 예산 소식은 장애인에게 공허하기만 하다.

 

슈퍼 예산 책정과 무관하게 정부가 지금과 같이 장애인 정책을 책임지지 않는 현실에서 만일 지자체 재량 사업마저 축소되고 각종 서비스 제도의 사각지대가 그대로 방치된다면, 중앙 및 지방정부 간 무책임한 예산 운용 속에서 최종적인 피해는 고스란히 취약한 장애인들이 떠안게 될 것이다.

 

이에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는 중앙정부의 장애인의 삶을 따돌린 나홀로 슈퍼예산을 강력히 규탄한다. 기획재정부는 장애인의 삶을 지자체 재량 예산에 떠넘기지 말고, 장애인 정책을 보장할 수 있는 내용까지 알찬 '울트라예산'을 중앙정부가 책임있게 반영하라!

 

 

2020917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카드뉴스 [소송원고인단 모집 글] 대한민국의 접근권 침해에 대한 국가배상청구 소송 원고인단, '김순석들'을 모집합니다… 한자협 04-29 72
공지 보도&성명 [성명] 장애인활동지원 ‘가족 급여’ 확대 정책은 기만이다. 보건복지부는 ‘권리 기반 지원’에 투자하라! 한자협 11-18 1,035
공지 보도&성명 ‘장애인자립생활권리보장법’은 ‘검토’가 아니라 ‘협조’해야 하는 법안이다 한자협 10-28 1,188
공지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자협 창립 21주년 자립생활운동 총궐기 대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권리-중심 한자협 10-15 923
공지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자협 창립 21주년 자립생활운동 총궐기 대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권리-중심 한자협 10-15 952
공지 기타 ⭐️ 교육 신청은 여기로 ⭐️ 한자협 09-13 2,667
501 카드뉴스 [소송원고인단 모집 글] 대한민국의 접근권 침해에 대한 국가배상청구 소송 원고인단, '김순석들'을 모집합니다… 한자협 04-29 72
500 보도&성명 [성명] 중증장애인의 노동권 침해를 정당화한 차별적 결정을 규탄한다 한자협 12-26 572
499 보도&성명 [성명] 장애인활동지원 ‘가족 급여’ 확대 정책은 기만이다. 보건복지부는 ‘권리 기반 지원’에 투자하라! 한자협 11-18 1,035
498 보도&성명 [취재요청서] 장애인자립생활권리보장법 정기국회 내 통과 촉구 기자회견 (2024.11.14.(목) 11:00… 한자협 11-13 842
497 보도&성명 [보도자료-사후] 4대 장애인권리입법 연내 제정 촉구! 11.04. 자립생활위기 비상행동 전국동시다발 다이인… 한자협 11-04 833
496 보도&성명 ‘장애인자립생활권리보장법’은 ‘검토’가 아니라 ‘협조’해야 하는 법안이다 한자협 10-28 1,188
495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자협 창립 21주년 자립생활운동 총궐기 대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권리-중심 한자협 10-15 923
494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자협 창립 21주년 자립생활운동 총궐기 대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권리-중심 한자협 10-15 952
493 보도&성명 [보도자료-사후] 장애인자립생활권리약탈 정부예산안 규탄! 자립생활 예산 요구안 발표 온라인 기자회견 (202… 한자협 09-10 889
492 보도&성명 [취재요청서] 장애인자립생활권리약탈 정부예산안 규탄! 자립생활 예산 요구안 발표 온라인 기자회견 (2024.… 한자협 09-09 759
491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및 장애인자립생활지원시설 운영기준 개발 연구 보고… 한자협 08-27 1,433
490 자료 [연구보고서] 장애인자립생활센터 및 장애인자립생활지원시설 운영기준 개발 연구 한자협 08-27 1,388
489 보도&성명 [보도자료] 대한민국의 장애노인 차별 행정 및 자립생활 권리 침해에 대한 행정/장애차별구제 소송 기자회견 한자협 08-19 804
488 [보도자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및 장애인자립생활지원시설 운영 기준 개발 연구 보고회 개최 한자협 07-10 2,137
487 보도&성명 [보도자료] “자립생활권리는 쟁취하는 것이다!” 장애인자립생활운동 총궐기대회 (2024.7.1.(월) 14:… 한자협 07-01 1,239
486 보도&성명 [보도자료] 노인장기요양 수급 장애인의 장애인일자리사업 참여 기회 박탈에 대한 국가인권위원회 차별 진정 기자… 한자협 05-22 1,256
485 보도&성명 [성명] 서울시 ‘활동지원기관 (재)지정 심사’는 법도 원칙도 없는 ‘장애인 단체 길들이기’, ‘적반하장’의… 한자협 04-26 1,991
484 보도&성명 [보도자료] 만 65세 이상 탈시설 장애인 활동지원 보장을 위한 국가인권위원회 진정 기자회견 한자협 03-20 1,573
483 보도&성명 [성명서] 더불어민주연합 비례대표 국민후보 선출은 유엔장애인권리협약을 위반한, 기울어진 운동장의 결과물이었다… 한자협 03-12 1,433
482 기타 ? 진보적 장애인 운동 재정 마련을 위한 2024년 설 선물 특별 판매 ? 한자협 01-08 1,7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