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자

210218_[성명서] 든든한 공적 지원체계 없이는 코로나19 돌봄 공백 문제 해결할 수 없다! 장애인의 생명과 안전을 보장하는 사회서비스원법을 즉각 제정하라!

  • [보도&성명]
  • 한자협
  • 04-11
  • https://www.kcil.or.kr/post/188

 

보도자료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전화_02-739-1420 /팩스_02-6008-5101 /메일_sadd@daum.net /홈페이지_sadd.or.kr

수신

언론사 사회부 담당

배포일자

2021년 2월 18()

담당

전장연 정다운 정책실장 (010-6293-0357)

페이지

총 1

제목

[성명서든든한 공적 지원체계 없이는 코로나19 돌봄 공백 문제 해결할 수 없다!

장애인의 생명과 안전을 보장하는 사회서비스원법을 즉각 제정하라!

 

성명서

 

 

든든한 공적 지원체계 없이는 코로나19 돌봄 공백 문제 해결할 수 없다!

장애인의 생명과 안전을 보장하는 사회서비스원법을 즉각 제정하라!

 

재난은 불평등하다코로나19 팬데믹은 장애인이 일상에서 경험하는 분리·배제·제한·거부 등의 차별적 조치를 더욱더 노골적으로 드러내고 있다중증장애인은 코로나19 감염의 위험뿐만 아니라돌봄 공백의 위협에 노출되었다유엔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 ‘장애인은 이미 존재하는 건강 상태의 취약성일상생활을 의존해야 하는 특수한 상황으로 인해 바이러스 감염에 더 위험하다.’고 하였다감염병 전파를 막기 위한 'K-방역은 장애인의 이러한 특성을 전혀 고려하지 못하였고중증장애인은 시설과 집구석에 대책 없이 방치되었다.

 

2020년 12월 16서울시에 거주하는 중증장애인 A(근육,지체장애·심한장애)는 확진 판정 이후병상 부족으로 인한 입원 지연 입원 지연 동안 자택에서 홀로 격리 17(1일 경과), 결국 가족(방호복 착용)이 활동지원인력으로 투입 20(4일 경과), 서울의료원 입원 이후에는 간호사에 의한 생활지원 22(6일 경과), 음성 판정으로 퇴원 하는 과정을 겪었다이 전 과정에서 중증장애인 확진자에 대하여 어떤 공적 책임도공적 지원체계도 작동하지 않았다입원 지연 당시 A씨가 입원 이후에는 생활지원인력이 있느냐고 문의하기도 했지만, “병상에 들어간 이후로는 생활지원인 없이 기저귀를 차고 신변처리를 할 수 있다.”정도의 어처구니 없는 안내를 받기도 했다안동에서 발생한 발달장애인 확진자 B씨의 경우병원 내 지원인력이 없어 확진되지 않은 가족이 동반 입원하여 당사자를 지원하기도 했다결국 코로나19 상황에서 장애인 확진자에 대한 생활지원은 가족의 책임과 부담으로 전가된 것이다.

 

든든한 공적 지원체계 없이는 돌봄 공백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더 이상 돌봄의 책임을 가족에게 전가하거나 중증장애인의 삶을 방치하지 말고사회서비스의 국가 책임을 강화하라사회서비스원법 제정은 든든한 공적 지원체계를 만드는 첫걸음이다그런데 그 첫걸음조차도 민간서비스 공급주체들의 이기(利己때문에 더디게 가고 있다특히나 생명과 안전을 위협받는 코로나19 감염병 팬데믹 시기누구도 배제하지 않는 촘촘한 사회안전망으로서 기능하는 사회서비스원 설립과 사회서비스원법 제정을 조속히 촉구한다!

 

2021년 2월 18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카드뉴스 [소송원고인단 모집 글] 대한민국의 접근권 침해에 대한 국가배상청구 소송 원고인단, '김순석들'을 모집합니다… 한자협 04-29 72
공지 보도&성명 [성명] 장애인활동지원 ‘가족 급여’ 확대 정책은 기만이다. 보건복지부는 ‘권리 기반 지원’에 투자하라! 한자협 11-18 1,035
공지 보도&성명 ‘장애인자립생활권리보장법’은 ‘검토’가 아니라 ‘협조’해야 하는 법안이다 한자협 10-28 1,188
공지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자협 창립 21주년 자립생활운동 총궐기 대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권리-중심 한자협 10-15 923
공지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자협 창립 21주년 자립생활운동 총궐기 대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권리-중심 한자협 10-15 952
공지 기타 ⭐️ 교육 신청은 여기로 ⭐️ 한자협 09-13 2,667
501 카드뉴스 [소송원고인단 모집 글] 대한민국의 접근권 침해에 대한 국가배상청구 소송 원고인단, '김순석들'을 모집합니다… 한자협 04-29 72
500 보도&성명 [성명] 중증장애인의 노동권 침해를 정당화한 차별적 결정을 규탄한다 한자협 12-26 572
499 보도&성명 [성명] 장애인활동지원 ‘가족 급여’ 확대 정책은 기만이다. 보건복지부는 ‘권리 기반 지원’에 투자하라! 한자협 11-18 1,035
498 보도&성명 [취재요청서] 장애인자립생활권리보장법 정기국회 내 통과 촉구 기자회견 (2024.11.14.(목) 11:00… 한자협 11-13 842
497 보도&성명 [보도자료-사후] 4대 장애인권리입법 연내 제정 촉구! 11.04. 자립생활위기 비상행동 전국동시다발 다이인… 한자협 11-04 833
496 보도&성명 ‘장애인자립생활권리보장법’은 ‘검토’가 아니라 ‘협조’해야 하는 법안이다 한자협 10-28 1,188
495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자협 창립 21주년 자립생활운동 총궐기 대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권리-중심 한자협 10-15 923
494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자협 창립 21주년 자립생활운동 총궐기 대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권리-중심 한자협 10-15 952
493 보도&성명 [보도자료-사후] 장애인자립생활권리약탈 정부예산안 규탄! 자립생활 예산 요구안 발표 온라인 기자회견 (202… 한자협 09-10 889
492 보도&성명 [취재요청서] 장애인자립생활권리약탈 정부예산안 규탄! 자립생활 예산 요구안 발표 온라인 기자회견 (2024.… 한자협 09-09 759
491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및 장애인자립생활지원시설 운영기준 개발 연구 보고… 한자협 08-27 1,433
490 자료 [연구보고서] 장애인자립생활센터 및 장애인자립생활지원시설 운영기준 개발 연구 한자협 08-27 1,388
489 보도&성명 [보도자료] 대한민국의 장애노인 차별 행정 및 자립생활 권리 침해에 대한 행정/장애차별구제 소송 기자회견 한자협 08-19 804
488 [보도자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및 장애인자립생활지원시설 운영 기준 개발 연구 보고회 개최 한자협 07-10 2,137
487 보도&성명 [보도자료] “자립생활권리는 쟁취하는 것이다!” 장애인자립생활운동 총궐기대회 (2024.7.1.(월) 14:… 한자협 07-01 1,239
486 보도&성명 [보도자료] 노인장기요양 수급 장애인의 장애인일자리사업 참여 기회 박탈에 대한 국가인권위원회 차별 진정 기자… 한자협 05-22 1,256
485 보도&성명 [성명] 서울시 ‘활동지원기관 (재)지정 심사’는 법도 원칙도 없는 ‘장애인 단체 길들이기’, ‘적반하장’의… 한자협 04-26 1,991
484 보도&성명 [보도자료] 만 65세 이상 탈시설 장애인 활동지원 보장을 위한 국가인권위원회 진정 기자회견 한자협 03-20 1,573
483 보도&성명 [성명서] 더불어민주연합 비례대표 국민후보 선출은 유엔장애인권리협약을 위반한, 기울어진 운동장의 결과물이었다… 한자협 03-12 1,433
482 기타 ? 진보적 장애인 운동 재정 마련을 위한 2024년 설 선물 특별 판매 ? 한자협 01-08 1,7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