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자

210607_[성명서] 세종도시교통공사는 발달장애여성 성추행 혐의자 박○○의 채용을 즉각 중단하라!

  • [보도&성명]
  • 한자협
  • 04-11
  • https://www.kcil.or.kr/post/233

세종장애인차별철폐연대

성명서

·주소 세종특별자치시 한누리대로 2144 스마트허브2 310 ·이메일 : sadd@sjsadd.com

·전화 : 044-863-0326 ·전송 : 044-863-1326 ·담당 공동대표 문경희 010-5732-0364

2021년 6월 7

 

세종도시교통공사는 발달장애여성 성추행 혐의자 

 

 

2020년 6월 누리콜 운전원 2명이 발달장애인 여성을 성추행하는 사건이 벌어졌다.

이 사실은 피해 여성이 누리콜 여성 운전원에게 도움을 요청하면서 2020년 9월 세상에 알려졌다신체접촉과 사진 촬영수치심을 느끼게 만드는 성희롱 발언은 피해자에게 회복할 수 없는 피해를 줬으나 세종시와 지체장애인협회는 실질적 조사는 하지 않고 가해자가 혐의를 부인한다는 이유로 징계 등 인사 조처를 취하지 않았다.

성추행 사건을 알게 된 누리콜 노조는 세종시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 및 공공성 강화를 위한 시민사회단체 대책위원회(이하 공대위)와 함께 누리콜 수탁업체인 세종지체장애인협회(이하 지장협)와 위탁기관인 세종시 건설교통국 교통과(이하 교통과)에 이 사실을 알렸으나 교통과는 민간위탁 사무에 관여할 수 없다는 이유로지장협은 경찰 수사 결론이 나와야 조치할 수 있다는 이유로 조사 및 조처를 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공식화했다.

사건이 공론화되자 가해자 서○○은 무단결근하며 사표를 제출하였고 교통과는 한 달 후 징계 없이 사표를 수리해 주었다다른 가해자 박○○은 현재까지 누리콜 운전원으로 근무 중이다.

가해자 서○○은 무단결근하면서 피해자 부모를 만나서 설득한 정황이 있고가해자 박○○은 측근을 동원해서 피해 여성을 따로 만나 설득한 사실이 있다이는 설득한 과정을 녹음했다고 자백한 측근에 의해 확인된 사실이다.

 

성폭력 피해 발달장애여성은 장애의 특성상 자신이 경험하지 않은 일에 대해 구체적으로 진술할 수 없는 특성이 있다최초로 자신의 성폭력 피해사실을 진술한 내용을 확인한 결과 피해자는 경험하지 않고 할 수 없는 표현을 하지 못하는 구체적인 진술이 있었다비록 현재 피해자가 주변의 회유로 진술을 하지 못하는 상황이지만 피해사실이 없다고 단정할 수 없다

 

하지만 이 사건은 광역수사대가 내사를 진행했으나 피해자 부모의 완강한 반대와 피해 여성이 갑자기 진술을 거부하여 수사가 중단된 상태다.

가해자 서○○은 누리콜 운전원으로는 유일하게 과장직급을 부여받았고 지장협회장의 측근으로 알려져 있다이런 자가 아무런 이유 없이 무단결근하며 사표를 제출한 행위는 혐의에 대해 충분히 합리적 의심이 되는 점이다

 

누리콜은’ 10년간의 민간위탁을 끝내고 2021년 7월 1일부터 세종 도시교통공사에서 공공운영하게 되었다공공운영은 서비스 질 향상안전하고 편리한 이용체계 구축지속 가능한 서비스 개발 등을 목적으로 한다.

그런데 세종 도시교통공사는 채용 절차에 성추행 혐의자 박○○이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세종 도시교통공사에 입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었고 또다시 누리콜 이용객을 불안하게 하고 세종시가 교통약자 이동 서비스를 개선할 의지가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별교통수단 누리콜은 교통약자의 대중교통수단이며 100% 시비가 투입되는 공공재이다주 이용객은 장애인과 노약자다

세종 도시교통공사와 세종시는 성범죄 혐의자 박○○의 채용 절차를 즉각 중단하고 안전하고 편리한 누리콜 운영에 나설 것을 촉구한다.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카드뉴스 [소송원고인단 모집 글] 대한민국의 접근권 침해에 대한 국가배상청구 소송 원고인단, '김순석들'을 모집합니다… 한자협 04-29 72
공지 보도&성명 [성명] 장애인활동지원 ‘가족 급여’ 확대 정책은 기만이다. 보건복지부는 ‘권리 기반 지원’에 투자하라! 한자협 11-18 1,035
공지 보도&성명 ‘장애인자립생활권리보장법’은 ‘검토’가 아니라 ‘협조’해야 하는 법안이다 한자협 10-28 1,188
공지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자협 창립 21주년 자립생활운동 총궐기 대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권리-중심 한자협 10-15 923
공지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자협 창립 21주년 자립생활운동 총궐기 대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권리-중심 한자협 10-15 952
공지 기타 ⭐️ 교육 신청은 여기로 ⭐️ 한자협 09-13 2,667
501 카드뉴스 [소송원고인단 모집 글] 대한민국의 접근권 침해에 대한 국가배상청구 소송 원고인단, '김순석들'을 모집합니다… 한자협 04-29 72
500 보도&성명 [성명] 중증장애인의 노동권 침해를 정당화한 차별적 결정을 규탄한다 한자협 12-26 572
499 보도&성명 [성명] 장애인활동지원 ‘가족 급여’ 확대 정책은 기만이다. 보건복지부는 ‘권리 기반 지원’에 투자하라! 한자협 11-18 1,035
498 보도&성명 [취재요청서] 장애인자립생활권리보장법 정기국회 내 통과 촉구 기자회견 (2024.11.14.(목) 11:00… 한자협 11-13 842
497 보도&성명 [보도자료-사후] 4대 장애인권리입법 연내 제정 촉구! 11.04. 자립생활위기 비상행동 전국동시다발 다이인… 한자협 11-04 833
496 보도&성명 ‘장애인자립생활권리보장법’은 ‘검토’가 아니라 ‘협조’해야 하는 법안이다 한자협 10-28 1,188
495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자협 창립 21주년 자립생활운동 총궐기 대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권리-중심 한자협 10-15 923
494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자협 창립 21주년 자립생활운동 총궐기 대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권리-중심 한자협 10-15 952
493 보도&성명 [보도자료-사후] 장애인자립생활권리약탈 정부예산안 규탄! 자립생활 예산 요구안 발표 온라인 기자회견 (202… 한자협 09-10 889
492 보도&성명 [취재요청서] 장애인자립생활권리약탈 정부예산안 규탄! 자립생활 예산 요구안 발표 온라인 기자회견 (2024.… 한자협 09-09 759
491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및 장애인자립생활지원시설 운영기준 개발 연구 보고… 한자협 08-27 1,433
490 자료 [연구보고서] 장애인자립생활센터 및 장애인자립생활지원시설 운영기준 개발 연구 한자협 08-27 1,388
489 보도&성명 [보도자료] 대한민국의 장애노인 차별 행정 및 자립생활 권리 침해에 대한 행정/장애차별구제 소송 기자회견 한자협 08-19 804
488 [보도자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및 장애인자립생활지원시설 운영 기준 개발 연구 보고회 개최 한자협 07-10 2,137
487 보도&성명 [보도자료] “자립생활권리는 쟁취하는 것이다!” 장애인자립생활운동 총궐기대회 (2024.7.1.(월) 14:… 한자협 07-01 1,239
486 보도&성명 [보도자료] 노인장기요양 수급 장애인의 장애인일자리사업 참여 기회 박탈에 대한 국가인권위원회 차별 진정 기자… 한자협 05-22 1,256
485 보도&성명 [성명] 서울시 ‘활동지원기관 (재)지정 심사’는 법도 원칙도 없는 ‘장애인 단체 길들이기’, ‘적반하장’의… 한자협 04-26 1,991
484 보도&성명 [보도자료] 만 65세 이상 탈시설 장애인 활동지원 보장을 위한 국가인권위원회 진정 기자회견 한자협 03-20 1,573
483 보도&성명 [성명서] 더불어민주연합 비례대표 국민후보 선출은 유엔장애인권리협약을 위반한, 기울어진 운동장의 결과물이었다… 한자협 03-12 1,433
482 기타 ? 진보적 장애인 운동 재정 마련을 위한 2024년 설 선물 특별 판매 ? 한자협 01-08 1,7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