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자

211022_[보도자료] 2022년 서울시 장애인이동권예산 쟁취 직접행동 및 장애인권리예산 투쟁 결의대회_211022

  • [보도&성명]
  • 한자협
  • 04-11
  • https://www.kcil.or.kr/post/280


[보도자료]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Seoul Solidarity Against Disability Discrimination)

주소 서울 종로구 동숭길25 유리빌딩 502호 전화 : 02)739-1420 / 전송: 02)6008-5101 전자우편 : slsadd420@gmail.com홈페이지 www.sadd.or.kr

 

수 신

각 언론사(사회부 기자)

제 목

2022년 서울시 장애인이동권예산 쟁취 직접행동 및 장애인권리예산 투쟁 결의대회

보도일자

2021. 10. 22. ()

담 당

박미주 (010-2060-5786)

분 량

7

<본 자료는 http://www.sadd.or.kr [자료실보도자료]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20년을 기다렸다서울시는 약속을 지켜라!

서울시 장애인이동권예산 쟁취

지하철 ·버스타기 직접행동

지하철 이동

혜화역 → 서울역

버스 이동

서울역 → 서울시청

□ 일 시 : 2021년 10월 22(오후 2

□ 장 소 :

 

□ 주 관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2]

오세훈 시장은 들어라예산없이 권리없다!” 2022년 서울시 장애인권리예산 쟁취

투쟁 결의대회

□ 일 시 : 2021년 10월 22(오후 2

□ 장 소 서울시청 정문

□ 주 관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1. 공정 보도를 위해 노력하시는 귀 언론사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2.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이하 서울장차연)은 비장애인중심의 지역사회 환경을 변화시키 위해 장애인에 대한 차별철폐와 장애인권리협약에 명시된 기본적 권리를 쟁취하기 위해 활동하는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의 서울지역 조직입니다.

 

 

3. 2001년 오이도역 장애인 리프트 추락 참사를 계기로 전국적으로 전개된 장애인 이동권’ 투쟁에서부터 서울장차연은 서울시 장애인 이동권 투쟁을 이끌어왔습니다이후 서울시는 2015년 2025년까지 시내 저상버스 100% 도입 2022년까지 서울시 지하철 1역사 1동선 엘리베이터 100% 설치 등의 내용을 담은 장애인 이동권 증진을 위한 서울시 선언(이하 장애인 이동권 선언)을 발표하였고, 2017년 9월 <서울시 장애인 이동권 증진을 위한 실천계획>을 발표했습니다.

 

 

4. 세훈 서울시장은 올해 6월 28서울장차연과의 면담에서 서울장차연의 요구안에 대해 전체적으로 서울시가 의지를 갖고 목표 기한 내에 될 수 있도록 법령조례예산하나하나 목표를 향해 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답하며 서울시 장애인권리예산 보장에 대한 분명한 의지를 밝힌 바 있습니다.

 

 

5. 하지만 2022년 서울시 예산안이 수립되고 있는 현재 확인된 예산에서는 장애인 권리 보장을 위한 서울시의 노력과 의지는 전혀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20년 넘게 장애인 시민들이 염원하고서울시가 장애인 이동권 선언을 통해 약속한 장애인 이동권 예산은 우선순위에서 밀려나 2022년 본 예산에서 전부 삭감되고 있습니다.

 

 

6. 2022년까지 100% 설치하겠다고 약속한 지하철 1역사 1동선(출구에서 승강장까지 최소 하나 이상의 연결된 경로엘리베이터는 2021년 10월 현재까지 22개 역사가 여전히 1동선 엘리베이터 미설치 역사로 남아있으며설계비조차 제대로 반영되지 않고 있습니다.

 

[1] 지하철 엘리베이터 역사 2022년 예산 현황

(단위 백만원)

구분

대상역

총 사업비

사업비 구분

2022년 필요예산

반영

설계 완료 (8개역)

종로3강동새절,

상월곡수락산청담광명사거리

9,637

공사비

6,960

(2,677_21년 추경 반영 완료)

전액 반영

설계 중

(5개역)

21년 (설계 완료)

고속터미널상일동

3,396

공사비

848

전액 삭감

22년 (설계 완료)

구산남구로,복정

13,991

공사비

3,497

전액 삭감

지속검토

(3개역)

신설동까치산(내부), 대흥

37,970

설계비

650

전액 삭감

 

7. 서울시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 조례」 9조에도 명시되어 있는2025년까지 저상버스 100% 도입 목표 또한 지금의 도입 추세로 무사히 이행될 수 있을지 심히 염려되는 실정입니다. 3차 서울시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계획에 따르면 2021년 저상버스 도입률은 75%(5,345)에 이르러야 하지만, 2021년을 두 달 남겨둔 현재까지 도입률은 65.6%(4,307)에 불과합니다(시내버스 총 7,393대 중 저상버스 운행 가능 노선 차량 6,564대 기준)

 

[2] 3차 서울시 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계획 저상버스 도입 계획

0f72b0d3386210ec43687ca18a3e6c0b_1649665

 

 

8. 서울 시내에는 여전히 3,086대의 차별버스(계단버스)가 운행되고 있어 전폭적인 확대 도입이 시급히 필요함에도 2022년 시내 저상버스 도입 예산마저 467대로 삭감되었습니다.

 

 

9. 특별교통수단(장애인콜택시)의 상황도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서울시 장애인콜택시 이용자 수는 37,151명에 달하지만고작 620대만 운행하고 있어 이용 시에 긴 대기시간을 감내해야만 합니다또한 13개의 예외지역(부천김포양주고양하남성남과천안양인천공항 등)을 제외하고는 타 지역 이동의 제한을 두고 있습니다별도의 시외 이동수단이 없는 장애인들은 이동 자체가 불가하여특별교통수단 수도권 전역 운행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입니다.

 

 

10. 이와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장애인콜택시를 대폭 증차하여야 마땅하지만2022년 장애인콜택시 증차예산은 120(·폐차 80신규30)로 수요를 감당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수준입니다.

 

11. 장애인 이동권 예산뿐만 아니라장애인들의 최소한의 인간다운 삶을 위한 장애인 평생교육 권리 장애인 탈시설 권리 장애인 자립생활 권리 장애인 노동권(서울형권리중심중증장애인맞춤형공공일자리발달장애인 권리 장애인 문화예술 권리 의사소통·보조기기 권리 장애인 건강권 보장 정책을 실현할 충분한 예산도 반영되지 않고 있습니다.

 

 

12. 예산 반영 없는 정책은 기만입니다서울시는 20그 이상을 차별과 배제에 맞서고 있는 장애인 시민들을 더 이상 외면하지 말고 권리는 권리답게 보장될 수 있도록 책임과 의무를 다해야 할 것입니다.

 

 

13. 이에 서울장차연은 2022년 서울시 장애인권리예산 반영을 위한 오세훈 서울시장 및 기획조정실장과의 면담을 요구하며2021년 10월 22(오후2시 혜화역에서 지하철과 저상버스를 타고 서울시청으로 이동하여 결의대회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14. 귀 언론사의 많은 관심과 취재를 요청드립니다.

 

[결의대회 순서]

오세훈 시장은 들어라예산없이 권리없다!” 2022년 서울시 장애인권리예산 쟁취

투쟁 결의대회

□ 일시 : 2021년 10월 22(오후 4시 

□ 장소 서울시청 정문 앞

□ 주최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사회 김수경(서울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활동가

순서

내 용

발 언 자

1

여는 발언

이규식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상임대표)

2

투쟁 발언

이지숙 (중랑장애인자립생활센터 권리중심공공일자리 노동자)

3

투쟁 발언

정민구 (장애와인권발바닥행동 활동가)

4

투쟁 발언

서기현 (장애인자립생활센터판 소장)

5

투쟁 발언

김주현 (서울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 회장)

6

닫는 발언

김수정 (전국장애인부모연대 서울지부 대표)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카드뉴스 [소송원고인단 모집 글] 대한민국의 접근권 침해에 대한 국가배상청구 소송 원고인단, '김순석들'을 모집합니다… 한자협 04-29 72
공지 보도&성명 [성명] 장애인활동지원 ‘가족 급여’ 확대 정책은 기만이다. 보건복지부는 ‘권리 기반 지원’에 투자하라! 한자협 11-18 1,035
공지 보도&성명 ‘장애인자립생활권리보장법’은 ‘검토’가 아니라 ‘협조’해야 하는 법안이다 한자협 10-28 1,188
공지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자협 창립 21주년 자립생활운동 총궐기 대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권리-중심 한자협 10-15 923
공지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자협 창립 21주년 자립생활운동 총궐기 대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권리-중심 한자협 10-15 952
공지 기타 ⭐️ 교육 신청은 여기로 ⭐️ 한자협 09-13 2,667
501 카드뉴스 [소송원고인단 모집 글] 대한민국의 접근권 침해에 대한 국가배상청구 소송 원고인단, '김순석들'을 모집합니다… 한자협 04-29 72
500 보도&성명 [성명] 중증장애인의 노동권 침해를 정당화한 차별적 결정을 규탄한다 한자협 12-26 572
499 보도&성명 [성명] 장애인활동지원 ‘가족 급여’ 확대 정책은 기만이다. 보건복지부는 ‘권리 기반 지원’에 투자하라! 한자협 11-18 1,035
498 보도&성명 [취재요청서] 장애인자립생활권리보장법 정기국회 내 통과 촉구 기자회견 (2024.11.14.(목) 11:00… 한자협 11-13 842
497 보도&성명 [보도자료-사후] 4대 장애인권리입법 연내 제정 촉구! 11.04. 자립생활위기 비상행동 전국동시다발 다이인… 한자협 11-04 833
496 보도&성명 ‘장애인자립생활권리보장법’은 ‘검토’가 아니라 ‘협조’해야 하는 법안이다 한자협 10-28 1,188
495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자협 창립 21주년 자립생활운동 총궐기 대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권리-중심 한자협 10-15 923
494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자협 창립 21주년 자립생활운동 총궐기 대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권리-중심 한자협 10-15 952
493 보도&성명 [보도자료-사후] 장애인자립생활권리약탈 정부예산안 규탄! 자립생활 예산 요구안 발표 온라인 기자회견 (202… 한자협 09-10 889
492 보도&성명 [취재요청서] 장애인자립생활권리약탈 정부예산안 규탄! 자립생활 예산 요구안 발표 온라인 기자회견 (2024.… 한자협 09-09 759
491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및 장애인자립생활지원시설 운영기준 개발 연구 보고… 한자협 08-27 1,434
490 자료 [연구보고서] 장애인자립생활센터 및 장애인자립생활지원시설 운영기준 개발 연구 한자협 08-27 1,388
489 보도&성명 [보도자료] 대한민국의 장애노인 차별 행정 및 자립생활 권리 침해에 대한 행정/장애차별구제 소송 기자회견 한자협 08-19 804
488 [보도자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및 장애인자립생활지원시설 운영 기준 개발 연구 보고회 개최 한자협 07-10 2,137
487 보도&성명 [보도자료] “자립생활권리는 쟁취하는 것이다!” 장애인자립생활운동 총궐기대회 (2024.7.1.(월) 14:… 한자협 07-01 1,239
486 보도&성명 [보도자료] 노인장기요양 수급 장애인의 장애인일자리사업 참여 기회 박탈에 대한 국가인권위원회 차별 진정 기자… 한자협 05-22 1,256
485 보도&성명 [성명] 서울시 ‘활동지원기관 (재)지정 심사’는 법도 원칙도 없는 ‘장애인 단체 길들이기’, ‘적반하장’의… 한자협 04-26 1,991
484 보도&성명 [보도자료] 만 65세 이상 탈시설 장애인 활동지원 보장을 위한 국가인권위원회 진정 기자회견 한자협 03-20 1,573
483 보도&성명 [성명서] 더불어민주연합 비례대표 국민후보 선출은 유엔장애인권리협약을 위반한, 기울어진 운동장의 결과물이었다… 한자협 03-12 1,433
482 기타 ? 진보적 장애인 운동 재정 마련을 위한 2024년 설 선물 특별 판매 ? 한자협 01-08 1,7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