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자

220204_[장애계 공동 성명] 조해진 국회의원의 「장애인평생교육법안」 발의를 환영하며 조속한 제정을 촉구한다!

  • [보도&성명]
  • 한자협
  • 04-11
  • https://www.kcil.or.kr/post/319

SNS이미지.jpg

 

[장애계 공동 성명]

조해진 국회의원의 장애인평생교육법안」 발의를 환영하며 조속한 제정을 촉구한다!

 

오늘 2월 4일 조해진 국회의원이 장애인평생교육법안을 발의하였다우리는 조해진 국회의원의 장애인평생교육법안」 발의를 적극 환영하며 그 노고에 감사를 표한다이번 발의는 국회 교육위원회의 위원장인 조해진 국회의원이 직접 발의했다는 점에서 더욱 반가운 일이다.

 

조해진 국회의원이 발의한 장애인평생교육법안은 단순한 포함이 아닌 진정한 통합적인 장애인평생교육의 기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매우 뜻 깊다현행 평생교육법」 체계에서는 명목적으로 장애인을 포함하고 있었으나 장애인평생교육권리를 실질적인 보장하지 못하고 있다장애인의 평생교육 참가율은 0.2%~1.6%로 장애인 중 평생교육 참가하지 못한 비율은 무려 99%에 달한다전체성인의 평생학습 참여율 43.4%에 비하여 장애인 대부분이 평생교육에 참가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헌법은 국가는 평생교육을 진흥하여야 하며모든 국민은 능력에 따라 균등하게 교육을 받을 권리를 가지고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하지만 장애인은 비장애인과 달리 동등한 평생교육을 전혀 보장받지 못하고 있으며현행 평생교육법」 체계는 비장애인 중심으로 짜여져 있어 장애인을 배제해 왔다.

 

비장애인 중심의 평생교육법」 체계는 장애인에게 그 자체로 차별이다비장애인과 달리 장애성인에 대한 평생교육은 장애의 특수성으로 인해 그 목적과 교육과정 및 지원내용이 달라야 한다사회참여가 극히 제한되어있는 장애인에게 자립생활을 증진하고 지역사회 통합을 위한 평생교육이 제공되어야 한다이것이 장애인평생교육법안」 제정이 매우 시급한 이유이다.

 

우리나라도 2008년 비준한 유엔장애인권리협약은 통합적인 교육제도와 평생교육을 보장을 규정하고 있다통합적인 평생교육은 단지 기존 교육기관에 장애인을 포함한다고 가능한 것이 아니다. ‘포함을 넘어선 통합적인 평생교육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장애인의 요구사항와 선호에 맞는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고 이를 위한 교육전반의 내용·방식·접근법·구조·전략을 변화시킬 때 비로소 가능하다우리는 장애인평생교육법안」 제정이 국제사회와 유엔장애인권리협약이 말하고 있는 통합적인 평생교육의 실현의 단초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조해진 국회의원의 장애인평생교육법안은 장애인평생교육권리 명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책무성을 강화 장애인평생교육 전달체계 구축 고용과 복지와의 연계 내용을 담고 있다만일 법안이 제정된다면 장애인의 삶과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평생교육이 실현되고 장애인의 자립생활과 사회참여를 증대할 것이다장애인의 삶과 인권이 실질적으로 나아질 것이다.

 

조해진 국회의원이 장애인평생교육법안을 발의함으로서 21대 국회에는 유기홍 국회의원 발의안을 포함하여 2개의 장애인평생교육법안이 발의되게 되었다두 법안은 여야의 전현직 국회 교육위원회 위원장의 발의라는 점에서 장애인평생교육에 관한 중요성을 말해주고 있다

 

장애인평생교육법안」 제정은 장애계 공동의 요구이며 21대 국회의 시급한 과제이다우리는 국회 교육위원회에 장애인평생교육법안의 조속한 제정을 촉구한다.

 

2022. 2. 4.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국장애인부모연대)한국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장애와인권발바닥행동한국장애포럼장애인권대학생네트워크함께하는장애인교원노동조합)전국장애인야학협의회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카드뉴스 [소송원고인단 모집 글] 대한민국의 접근권 침해에 대한 국가배상청구 소송 원고인단, '김순석들'을 모집합니다… 한자협 04-29 72
공지 보도&성명 [성명] 장애인활동지원 ‘가족 급여’ 확대 정책은 기만이다. 보건복지부는 ‘권리 기반 지원’에 투자하라! 한자협 11-18 1,035
공지 보도&성명 ‘장애인자립생활권리보장법’은 ‘검토’가 아니라 ‘협조’해야 하는 법안이다 한자협 10-28 1,188
공지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자협 창립 21주년 자립생활운동 총궐기 대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권리-중심 한자협 10-15 923
공지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자협 창립 21주년 자립생활운동 총궐기 대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권리-중심 한자협 10-15 952
공지 기타 ⭐️ 교육 신청은 여기로 ⭐️ 한자협 09-13 2,667
501 카드뉴스 [소송원고인단 모집 글] 대한민국의 접근권 침해에 대한 국가배상청구 소송 원고인단, '김순석들'을 모집합니다… 한자협 04-29 72
500 보도&성명 [성명] 중증장애인의 노동권 침해를 정당화한 차별적 결정을 규탄한다 한자협 12-26 572
499 보도&성명 [성명] 장애인활동지원 ‘가족 급여’ 확대 정책은 기만이다. 보건복지부는 ‘권리 기반 지원’에 투자하라! 한자협 11-18 1,035
498 보도&성명 [취재요청서] 장애인자립생활권리보장법 정기국회 내 통과 촉구 기자회견 (2024.11.14.(목) 11:00… 한자협 11-13 842
497 보도&성명 [보도자료-사후] 4대 장애인권리입법 연내 제정 촉구! 11.04. 자립생활위기 비상행동 전국동시다발 다이인… 한자협 11-04 833
496 보도&성명 ‘장애인자립생활권리보장법’은 ‘검토’가 아니라 ‘협조’해야 하는 법안이다 한자협 10-28 1,188
495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자협 창립 21주년 자립생활운동 총궐기 대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권리-중심 한자협 10-15 923
494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자협 창립 21주년 자립생활운동 총궐기 대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권리-중심 한자협 10-15 952
493 보도&성명 [보도자료-사후] 장애인자립생활권리약탈 정부예산안 규탄! 자립생활 예산 요구안 발표 온라인 기자회견 (202… 한자협 09-10 889
492 보도&성명 [취재요청서] 장애인자립생활권리약탈 정부예산안 규탄! 자립생활 예산 요구안 발표 온라인 기자회견 (2024.… 한자협 09-09 759
491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및 장애인자립생활지원시설 운영기준 개발 연구 보고… 한자협 08-27 1,433
490 자료 [연구보고서] 장애인자립생활센터 및 장애인자립생활지원시설 운영기준 개발 연구 한자협 08-27 1,388
489 보도&성명 [보도자료] 대한민국의 장애노인 차별 행정 및 자립생활 권리 침해에 대한 행정/장애차별구제 소송 기자회견 한자협 08-19 804
488 [보도자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및 장애인자립생활지원시설 운영 기준 개발 연구 보고회 개최 한자협 07-10 2,137
487 보도&성명 [보도자료] “자립생활권리는 쟁취하는 것이다!” 장애인자립생활운동 총궐기대회 (2024.7.1.(월) 14:… 한자협 07-01 1,239
486 보도&성명 [보도자료] 노인장기요양 수급 장애인의 장애인일자리사업 참여 기회 박탈에 대한 국가인권위원회 차별 진정 기자… 한자협 05-22 1,256
485 보도&성명 [성명] 서울시 ‘활동지원기관 (재)지정 심사’는 법도 원칙도 없는 ‘장애인 단체 길들이기’, ‘적반하장’의… 한자협 04-26 1,991
484 보도&성명 [보도자료] 만 65세 이상 탈시설 장애인 활동지원 보장을 위한 국가인권위원회 진정 기자회견 한자협 03-20 1,573
483 보도&성명 [성명서] 더불어민주연합 비례대표 국민후보 선출은 유엔장애인권리협약을 위반한, 기울어진 운동장의 결과물이었다… 한자협 03-12 1,433
482 기타 ? 진보적 장애인 운동 재정 마련을 위한 2024년 설 선물 특별 판매 ? 한자협 01-08 1,7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