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자

220324_[보도자료] 23차 ‘출근길 지하철 탑니다’를 재개하는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입장(3월24일)

  • [보도&성명]
  • 한자협
  • 04-12
  • https://www.kcil.or.kr/post/351


보도자료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상임공동대표

권달주박경석이원교윤종술최용기

전화_02-739-1420 /팩스_02-6008-5101 /메일_sadd@daum.net /홈페이지_sadd.or.kr

수신

언론사 사회부 담당

배포일자

2022년 3월 23()

담당

정책실 (02-739-1420)

페이지

2 page

제목

[보도자료]

23차 출근길 지하철 탑니다를 재개하는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입장(324)

 

 

※ 공지사항 링크

 

1.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입니다.

 

2. 2001년 1월 22경기도 시흥시 오이도역 지하철리프트 추락참사 이후전장연은 21년 동안 장애인의 이동할 권리를 권리답게 보장할 것을 촉구하였습니다. 2005년 교통약자법이 제정되었지만법이 제정된 후 16년 동안 대한민국 정부는 법에 명시된 장애인 이동권을 권리로 보장하지 않았습니다

 

3. 우리는 그동안 법에 명시된 장애인의 권리 조차 보장하지 않은 대한민국 정부(기획재정부)를 온몸으로 고발하였습니다그리고 이재명윤석열심상정안철수 대통령 후보들에게 권리를 권리답게’ ‘장애인권리예산으로 책임지겠다는 약속을 대통령 후보 TV토론회에서 책임있게 발표해 줄 것을 촉구했습니다이재명심상정 후보는 국민들 앞에서 장애인 이동권 보장 약속을 언급했고전장연은 22번째 출근길 지하철 탑니다.’ 행동을 멈추었습니다. (참고 : [[보도자료]‘출근길 지하철탑니다에 대한 입장]())

 

4. 22번째 출근길 지하철 탑니다.’ 행동을 중단하면서전장연은 누가 대통령이 되더라도 차기 대통령이 인수위에서 기획재정부를 통한 장애인권리예산 반영에 대한 구체적 계획을 수립하여 3월 23일까지 면담을 통해 밝혀주시기를 요청했습니다그동안 전장연은 혜화역 지하철 승강장에서 장애인이동권교육권노동권탈시설권리보장을 위한 장애인권리예산 선전을 지속하면서 인수위의 답변을 기다렸습니다.

 

5. 오늘(23인수위의 정례 브리핑에 따르면원일희 수석부대변인은 장애인차별철폐연대에서 권리예산 요구안을 인수위 관계자에게 전달했고 답을 좀 달라라는 요청이 있었습니다사회복지문화분과의 답변입니다장애인차별철폐는 장애인 인권 향상을 위한 당연한 과제고 인수위에서 당연히 중점 과제로 다루고 추진할 예정이다.”라고 장애인권리예산을 언급했습니다.

 

6. 그 어떤 정부도 21년 동안 장애인차별철폐장애인권리보장이 중점 과제가 아니라고 대놓고 부정하지는 않았습니다말만 중점 과제일 뿐 책임있게 예산 반영을 하지 않았던 것입니다오늘 인수위 브리핑에서의 언급은 이전과 별 다르지 않은 원론적인립서비스 답변에 불과합니다.

 

7. 전장연은 인수위가 기획재정부를 통한 장애인권리예산 반영에 대한 구체적 계획을 면담을 통해 밝혀주길 다시금 요청합니다오전8시 경복궁역(3호선승강장에 집결하여 혜화역(4호선)으로 이동한 뒤오전9시부터 혜화역(4호선동대문역 방향 승강장에서 출근 선전전을 진행합니다.

 

8. 대한민국 5년의 미래를 책임지게 될 대통령은 장애인이동권 보장을 위한 21년의 외침과 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법에 명시된 권리에도 대한민국 정부는 16년 동안 장애인 권리를 보장하지 않았다는 것을 꼭 명심하시기 바립니다장애인 권리를 보장할 정책 실현의 구체적 내용과 예산 기준은 인수위에 직접적으로간접적으로공개적으로 모든 절차를 통해 이미 수없이 전달했음도 밝힙니다더 이상 무책임한 방식으로 시간을 지체하지 말 것을 요청드립니다.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카드뉴스 [소송원고인단 모집 글] 대한민국의 접근권 침해에 대한 국가배상청구 소송 원고인단, '김순석들'을 모집합니다… 한자협 04-29 50
공지 보도&성명 [성명] 장애인활동지원 ‘가족 급여’ 확대 정책은 기만이다. 보건복지부는 ‘권리 기반 지원’에 투자하라! 한자협 11-18 1,013
공지 보도&성명 ‘장애인자립생활권리보장법’은 ‘검토’가 아니라 ‘협조’해야 하는 법안이다 한자협 10-28 1,164
공지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자협 창립 21주년 자립생활운동 총궐기 대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권리-중심 한자협 10-15 902
공지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자협 창립 21주년 자립생활운동 총궐기 대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권리-중심 한자협 10-15 930
공지 기타 ⭐️ 교육 신청은 여기로 ⭐️ 한자협 09-13 2,646
501 카드뉴스 [소송원고인단 모집 글] 대한민국의 접근권 침해에 대한 국가배상청구 소송 원고인단, '김순석들'을 모집합니다… 한자협 04-29 50
500 보도&성명 [성명] 중증장애인의 노동권 침해를 정당화한 차별적 결정을 규탄한다 한자협 12-26 556
499 보도&성명 [성명] 장애인활동지원 ‘가족 급여’ 확대 정책은 기만이다. 보건복지부는 ‘권리 기반 지원’에 투자하라! 한자협 11-18 1,013
498 보도&성명 [취재요청서] 장애인자립생활권리보장법 정기국회 내 통과 촉구 기자회견 (2024.11.14.(목) 11:00… 한자협 11-13 825
497 보도&성명 [보도자료-사후] 4대 장애인권리입법 연내 제정 촉구! 11.04. 자립생활위기 비상행동 전국동시다발 다이인… 한자협 11-04 830
496 보도&성명 ‘장애인자립생활권리보장법’은 ‘검토’가 아니라 ‘협조’해야 하는 법안이다 한자협 10-28 1,164
495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자협 창립 21주년 자립생활운동 총궐기 대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권리-중심 한자협 10-15 902
494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자협 창립 21주년 자립생활운동 총궐기 대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권리-중심 한자협 10-15 930
493 보도&성명 [보도자료-사후] 장애인자립생활권리약탈 정부예산안 규탄! 자립생활 예산 요구안 발표 온라인 기자회견 (202… 한자협 09-10 887
492 보도&성명 [취재요청서] 장애인자립생활권리약탈 정부예산안 규탄! 자립생활 예산 요구안 발표 온라인 기자회견 (2024.… 한자협 09-09 757
491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및 장애인자립생활지원시설 운영기준 개발 연구 보고… 한자협 08-27 1,433
490 자료 [연구보고서] 장애인자립생활센터 및 장애인자립생활지원시설 운영기준 개발 연구 한자협 08-27 1,388
489 보도&성명 [보도자료] 대한민국의 장애노인 차별 행정 및 자립생활 권리 침해에 대한 행정/장애차별구제 소송 기자회견 한자협 08-19 804
488 [보도자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및 장애인자립생활지원시설 운영 기준 개발 연구 보고회 개최 한자협 07-10 2,137
487 보도&성명 [보도자료] “자립생활권리는 쟁취하는 것이다!” 장애인자립생활운동 총궐기대회 (2024.7.1.(월) 14:… 한자협 07-01 1,239
486 보도&성명 [보도자료] 노인장기요양 수급 장애인의 장애인일자리사업 참여 기회 박탈에 대한 국가인권위원회 차별 진정 기자… 한자협 05-22 1,256
485 보도&성명 [성명] 서울시 ‘활동지원기관 (재)지정 심사’는 법도 원칙도 없는 ‘장애인 단체 길들이기’, ‘적반하장’의… 한자협 04-26 1,991
484 보도&성명 [보도자료] 만 65세 이상 탈시설 장애인 활동지원 보장을 위한 국가인권위원회 진정 기자회견 한자협 03-20 1,572
483 보도&성명 [성명서] 더불어민주연합 비례대표 국민후보 선출은 유엔장애인권리협약을 위반한, 기울어진 운동장의 결과물이었다… 한자협 03-12 1,432
482 기타 ? 진보적 장애인 운동 재정 마련을 위한 2024년 설 선물 특별 판매 ? 한자협 01-08 1,7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