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자

220819_[삭발투쟁결의문]_93일차, 주상은(경남정신장애인자립생활센터)

  • [결의문&발언문]
  • 한자협
  • 08-21
  • https://www.kcil.or.kr/post/500

e4e82e44f2aa4dc49fbf7a449cfc838f.jpg

? 장애인권리예산 촉구 93일차 삭발투쟁 결의문

경남정신장애인자립생활센터에서 활동하고 있는 주상은입니다.

2002년부터 불안한 삶의 시작이었습니다. 고등학교 시절 몸이 안 좋고 피곤해서 자고 있는데 과학 선생님이 저의 이름을 불러 깜짝 놀라며 일어났습니다. 그 순간 가슴이 두근거리고 얼굴이 화끈거렸습니다. 그 이후로 갑자기 뭔가 불안하고 시선을 자꾸 어디다 둘지 몰랐습니다. 그 이후로 주위의 친구들이 다 떠나고 남은 건 저 혼자였습니다. 항상 불안한 삶의 연속이었습니다. 그 이후로 6년 동안 저는 집에만 있고 밖을 나가지 않았습니다.

26살 때 어머니께서 대학교를 다시 다녀보지 않겠냐고 했을 때 솔직히 불안과 시선 불안도 있어 자신 없었지만 그래도 한번 가보자고 생각해서 안경광학과를 다니게 되었습니다. 대학교를 다니면서 시선불안증이 차츰 없어졌습니다. 새로운 사람들을 만날 때 그 시선은 제가 보는 것 같았지만 그것을 인식하는 건 나뿐이었습니다. 졸업하고 나서 안경사 국가고시에 합격해 면허증을 따려고 했지만, 항정신 약물을 복용하면 면허증이 나오지 않았습니다. 그 이후로 2주 동안 약을 끊어서 약물이 검출되지 않았고 면허증을 따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그 이후 약을 안 먹고 생활하니 급성 증상이 와서 갑자기 폭력적으로 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너무 우울해졌습니다. 그래서 결국 정신병원에 입원하게 되었습니다. 병원에 입원할 때 든 생각은 ‘이건 시설과도 똑같고 마치 감옥 같은 곳이구나’였습니다. 겉으로는 깨끗하고 좋아 보였지만 실상 거기서 할 수 있는 건 없었습니다. 병동 출입문엔 도어락이 설치되어 있고, 같은 옷을 입고 매번 같은 음식이 나오고, 음식 먹고 나면 자고 일어나서 또 음식 먹고 자고 약 먹고 자고⋯. 외출과 외박은 주치의의 허락이 있어야 되고. 이렇게 살게 만드는 병원은 정신장애인인 저의 주체성을 매우 훼손하고 수동적으로 만들며 사회에 대한 두려움을 더 키우는 곳이었습니다. 지금 코로나로 외출과 외박은 물론 산책도 제한된 상황에서만 할 수 있는 정신병원의 정신장애인들은 하루하루 고통 속에 살고 있습니다. 정신장애인이 병원에서 외출이나 외박, 퇴원을 했을 때 ‘왜 그렇게 날뛰고 돌아다니냐’ 물으시기 전에, 그 병원에서의 생활이 얼마나 억압적이고 하고 싶은 것들을 못 하는지를 생각해주셨으면 합니다.

저는 2019년 합천 고려병원 정신장애인 당사자 사망 사건을 계기로 창원시청에서 당사자로서 결의문 낭독도 하고 행진도 했습니다. 장애 유형의 구분 없이 모든 장애인분들이 같이 외치고 함께하는 모습이 정말 저에게는 감동이었고 한편으로는 고마웠습니다. 그리고 그 경험이 내가 주체성을 가지고 활동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저는 2021년부터 부모님의 집에서 나와 경남 진해장애인자립생활센터에서 하는 자립홈에 들어와 있습니다. 자립홈에 들어와 제가 느낀 건 주위에 자립하고 계시는 분들도 생각보다 많다는 것입니다. 지금의 저는 완전히 다른 삶을 살고 있습니다. 지역사회에 나와 당당히 살아가고, 차별과 편견에 맞서 싸우고 있습니다. 이전엔 장애인 마크가 무엇인지도 몰랐고 저상버스는 그냥 만들어지는 줄 알았습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이번 삭발 결의를 통해 앞으로 활동하는 데 있어 장애인 당사자로서의 삶의 주체성과 활동의 의미를 더욱 새기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시설과 폐쇄 정신병원은 다르지 않다고 봅니다. 지금도 시설과 병원에서 하루하루 힘겹고 고통 속에 사시는 분들을 위해, 지역사회에서 함께 어울리고 당당한 한 시민으로서 살 수 있도록 오늘 삭발투쟁을 합니다. 투쟁!


? 결의문 모아 보기: https://bit.ly/삭발결의문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기타 ⭐️ 교육 신청은 여기로 ⭐️ 한자협 09-13 4,270
353 보도&성명 220824_[보도자료]_건강보험심사평가원 스핀라자 급여 중단 기준 폐지 및 에브리스디 급여 보장 촉구 기자… 한자협 08-23 1,392
352 보도&성명 220808_[보도자료]_서울시 장애인·홈리스 등 취약계층 코로나19 대응 방안 마련 촉구 기자회견 한자협 08-08 1,377
351 보도&성명 220804_[보도자료]_2023 경기도 장애인권리예산 보장 촉구 겨… 한자협 08-04 1,206
350 보도&성명 220803_[보도자료]_2022년 국민연금공단 장애인 서비스지원종합조사 이의신청 기각결정에 대한 규탄 기자… 한자협 08-02 1,525
349 보도&성명 220801_[성명서]_효율의 잣대로 희귀질환자의 삶을 재단하지 말라! 한자협 08-01 1,230
348 보도&성명 220729_[보도자료]_「장애인 탈시설 로드맵」 1주년 기념 토론회 “국가 탈시설 시범사업 현황과 과제” … 한자협 07-27 1,339
347 보도&성명 220722_[공동성명]_장애인 서비스지원종합조사 결과에 대한 당사자의 알 권리는 정당하다! 한자협 07-22 1,356
346 보도&성명 220720_[보도자료]_장애인권리예산 설명회 <기획재정부 한국판T4프로그램 고발한다> 한자협 07-20 1,308
345 보도&성명 220714_[보도자료]_국민연금공단 은평지사 비대면 서비스지원 종합조사 규탄 및 대책마련 촉구 기자회견 한자협 07-14 1,640
344 보도&성명 220629_[성명서]_천준호 의원의「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법」개정안 발의를 환영하며 원안의 9월 내 제정을 촉… 한자협 06-29 1,208
343 보도&성명 220628_[보도자료]_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 전국장애인이동권연대 · 더불어민주당 민생우선실천단 장애인권… 한자협 06-29 1,196
342 보도&성명 220628_[보도자료]_6.28(화) 장애인 차별하는 선일초교 규ᄐ… 한자협 06-29 1,111
341 보도&성명 220628_[성명]_서울시 장애인 탈시설 지원에 관한 조례 제정을 환영하며 한자협 06-28 1,514
340 보도&성명 220623_[보도자료]_서비스 지원 종합조사 정보공개 거부 처분 취소 행정소송 선고 및 기자회견 (2022… 한자협 06-22 1,203
339 보도&성명 220620_[성명서]_김광호 신임 서울경찰청장님 전상서 한자협 06-21 1,148
338 보도&성명 220620_[보도자료]_탈시설 권리 부정하는 서울시장애인복지시실협회 규탄 결의대회 (2022.06.20) 한자협 06-20 1,187
337 보도&성명 220619_[보도자료]_제30차 ‘출근길 지하철탑니다’ 진행 기자회견 한자협 06-19 1,159
336 보도&성명 220616_[보도자료]_장애인거주시설이용자부모회 탈시설 권리 공개토론 제안 기자회견 (2022.06.16) 한자협 06-16 1,217
335 보도&성명 220614_[보도자료]_서울시장애인복지시설협회 UN장애인권리협약 탈시설 권리 부정 규탄 결의대회 (22.0… 한자협 06-16 1,105
334 보도&성명 220614_[보도자료]_서울시&서울시의회 UN장애인권리협약 탈시설권리 이행 촉구 결의대회(22.06.14) 한자협 06-16 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