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하고

220824_[기자회견]_건강보험심사평가원 스핀라자 급여 중단 기준 폐지 및 에브리스디 급여 보장 촉구 기자회견

  • 한자협
  • 08-22
  • https://www.kcil.or.kr/post/502

e2f7eeddfd97fdadd0f5ac8d1de11870.png
 

스핀라자 급여 중단 기준 폐지 및 에브리스디 급여 논의 촉구를 위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투쟁

 

가. 배경

  • 7월 20일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서 졸겐스마에 대한 급여 여부·급여 기준, 고가 중증질환 치료제에 대한 환자 접근성 제고 및 급여관리 강화 방안이 통과됨. 8월 1일부터 건강보험에 즐겐스마의 급여가 신규 적용되어 SMA공대위는 이에 맞추어 성명을 발표.
    *[성명] 효율의 잣대로 희귀질환자의 삶을 재단하지 말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스핀라자 급여 중단 기준 폐지하고, 에브리스디 급여 논의를 즉각 시작하라!
  • http://sadd.or.kr/data/23808
  • 졸겐스마 급여 기준이 협소하며, 효과가 없다고 할지라도 다른 치료제에 대한 급여 적용이 불가능하다는 단서 조항이 있음. 또한, 졸겐스마 통과로 인한 추가 재정 소모에 따른 스핀라자 급여 중단 기준 강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음. 스핀라자는 1년에 4번 투여해야 함. 투여 때마다 평가를 진행하여 상태가 개선 혹은 유지되지 않으면 급여 적용을 중단. 현재 진행되고 있는 강화 방안은 이 기준은 “개선 혹은 유지”에서 “개선”으로 변경하는 안.
  • SMA는 퇴행성 질환으로 몸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 곧 효과가 있다는 뜻. 또한 현재 평가 도구인 HFSM의 점수 간격은 0점에서 2점으로, 1점 차이가 굉장히 큼. 4개월마다 이 정도의 기능 개선을 입증할 수 없음. 또한 스핀라자의 급여 중단 기준 조정에 따라 후속 약제인 에브리스디의 급여 결정 논의도 늦추어지고 있음.
  • 가장 큰 문제는 희귀질환자가 주로 이용하는 고가 약재에 대한 관리 방안이 스핀라자를 시작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윤석열 정부는 국정과제로 고가의 항암제, 중증·희귀질환 신약에 대해 신속등재제도를 도입하겠다고 밝혔음. 실제로 등재과정을 단축하고, 위험분담제도를 활용하고 있으나 예산이 보장되지 않으면 신약의 신속등재는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큼. 현재도 심평원의 결정에 따라 법적으로 지정된 등재과정을 넘어서 논의 과정이 길어짐. 식약처에서 의약품 사용이 허가가 나는 과정은 과학적이라고 할지라도, 심평원의 급여 결정은 굉장히 정치적. 희귀질환자의 의약품 접근권 보장를 위해 정치적으로 압박할 필요가 있음. 지난 심평원 서울지부 농성 이후 여전히 심평원장과의 면담은 잡히지 않고 있음. 이에 본부에서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면담을 추진하고자 함.
  • 우리나라의 전체 의약품 대비 희귀의약품의 지출 비율은 2018년 기준 2.1%로 10%대인 다른 나라에 비교하면 상당히 낮음. 일본의 경우, 희귀질환자들에 대한 의료비 지원을 별도 기금을 조성하여 제공하는 한편, 생활비도 지원함. 우리나라 사회보장제도의 이름은 의료보험이 아닌 건강보험. 건강보험의 취지에 맞게 의료비 뿐만 아니라 생활비도 지원되어야 함.

 

나. 목적

  • 스핀라자 3세 이하 증상 발현 급여 기준 및 급여 중단 제도 폐지
  • 에브리스디 급여 도입 논의 즉각 시작
  • 희귀질환자에 대한 의료비 지원 강화 및 생활 지원

 

다. 상세 내용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보도자료] 입법사안이라며 차별 판단마저 거부한 국가인권위원회의 무책임함을 규탄한다. 탈시설 장애노인의 기본… 한자협 09-29 263
공지 (25. 9. 9.) 유엔 긴급탈시설가이드라인 발표 3주년, 22대 국회 장애인탈시설지원법 제정 촉구 기자회… 한자협 09-08 150
공지 [후원 요청] 2025 대항로사람들 : 장애인도 시민으로 이동하는 민주주의 한자협 08-27 202
공지 (25. 9. 9.) 장애인탈시설지원법 제정을 위한 토론회 한자협 08-27 264
86 한자협 9-10월 교육 일정을 안내합니다. 한자협 09-07 693
85 220902_장애인활동지원기관 주민세종업원분 세금폭… 한자협 09-01 989
84 220830_[기자회견]_장애인권리예산 보장 촉구 삭발결의식 100일 맞이 기자회견 한자협 08-27 450
83 220824_[기자회견]_건강보험심사평가원 스핀라자 급여 중단 기준 폐지 및 에브리스디 급여 보장 촉구 기자… 한자협 08-22 513
82 220809_[기자회견]_서울시 장애인・홈리스 등 취약계층 코로나19 대응 방안 마련 촉구 기자회견 한자협 08-09 469
81 220804_경기도 장애인권리 보장을 위한 2023년 정책・예산 촉구 결의대회 한자협 08-02 382
80 220803_국민연금공단 서비스지원종합조사 이의신청 기각에 대한 규탄 기자회견 한자협 08-02 515
79 220723_[피플퍼스트 서울센터 고 김동호 활동가 추모식] 한자협 07-23 654
78 7.28 충주시 장애인 이동권 대응 전국 집중 행동! 한자협 07-20 743
77 한국판 T4 철폐 여의도 농성장 안내 한자협 07-09 1,555
76 2022년 전동행진 Q&A 한자협 06-29 903
75 제2차 서울시 장애인자립생활지원 정책제안 토론회: 문명도시의 전제조건을 묻다 한자협 06-24 608
74 220623_장애인 서비스종합조사 결과 정보공개 거부 처분 취소 행정소송 선고 기자회견 한자협 06-22 1,140
73 서울시 장애인탈시설지원 조례 제정을 위한 결의대회? 한자협 06-20 397
72 220701_'장애등급제 진짜 폐지! 장애인권리예산 쟁취를 위한 전동행진 한자협 06-17 694
71 발달・중증장애인 참사 T4장례식(7.1) 장례위원이 되어 주세요. 한자협 06-17 550
70 서울시 장애인탈시설지원조례 제정 촉구 직접 행동! ? 한자협 06-13 459
69 6월 17일, <활동지원 정책 바로 알기> 교육이 진행됩니다! 한자협 06-07 443
68 [카드뉴스] 말 없이 사라지는 산정 특례?! 한자협 05-25 549
67 ✊장애등급제 진짜 폐지! 장애인권리예산 반영! 5.26(목) 집중 결의대회? 한자협 05-23 6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