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자

[성명] 장애인활동지원 ‘가족 급여’ 확대 정책은 기만이다. 보건복지부는 ‘권리 기반 지원’에 투자하라!

  • [보도&성명]
  • 한자협
  • 11-18
  • https://www.kcil.or.kr/post/632

[성 명] 장애인활동지원 ‘가족 급여’ 확대 정책은 기만이다. 보건복지부는 ‘권리 기반 지원’에 투자하라!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활동보조위원회

회 장 : 최용기

위원장 : 서기현

전화 02-738-0420 | 팩스02-6008-2973 | 메일 kc-cil@hanmail.net | 홈페이지


 배포일자

 2024.11.18

 담  당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활동보조위원회 간사 백인혁(010-3928-1780)

 제  목

 [성 명] 장애인활동지원 ‘가족 급여’ 확대 정책은 기만이다. 보건복지부는 ‘권리 기반 지원’에 투자하라!


40556c3f4628818b09d71d48867219d0.png
 

2024년 11월 1일부터 보건복지부는 장애인활동지원 가족급여 허용을 전격적으로 확대했다. 그동안 활동지원기관과 인력이 없는 섬과 벽지, 천재지변이나 감염병 같은 피치 못 할 조건에서 제한적으로 허용하던 가족급여 대상자를 희귀질환자까지 확대하고, 가족급여의 대상이 되는 최중증발달장애인의 기준을 정하여 발표한 것이다.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활동보조위원회는 보건복지부의 가족급여 시행이 장애인활동지원의 목적과 취지를 훼손하고, 지원에 대한 국가적 책무를 은폐시켜버리는 조치임을 분명히 밝히며, 가족 급여 같은 미봉적이고 기만적인 조치가 아닌 예산의 획기적 확대를 통한 ‘권리 기반 지원’의 책임을 촉구하는 바이다.


장애인활동지원은 중증장애인 자립생활의 초석과 다름없다. 비가족 인력에 의한 지원과 반대급부 지급을 통해, ‘자선 행위’는 ‘노동’으로, ‘사적 돌봄’은 ‘공적 지원’으로 변화함으로써 중증장애인의 사회권은 비로소 윤곽을 잡을 수 있었다. 가족의 돌봄에 예속될 수 밖에 없었던 삶, 거주시설에 감금될 수 밖에 없었던 삶의 조건을 변혁하기 위한 중증장애인들의 치열한 투쟁으로부터 장애인활동지원은 만들어졌고 발전되어 왔다.


이번 보건복지부의 가족급여 확대 시행은 이 같은 제도의 취지와 역사성을 정면으로 위반함으로써 공적 지원의 국가적 책무를 ‘가족의 돌봄 인정’이라는 시혜성 조치로 은폐시키는 역행적 조치에 다름 아니다.


대한민국은 유엔장애인권리협약 비준 국가로써 장애인의 완전한 지역사회 참여와 통합을 위해, 중증장애인이 비장애인과 동등한 권리의 주체로 자신의 삶을 선택하고 통제하는데 필요한 모든 지원을 제공해야 할 책임이 있다. 그 책임이란 중증장애인에 대한 모든 지원을 ‘권리 기반’으로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인프라의 확충과 예산의 획기적 증액을 의미한다.


지원 공백 속 중증장애인의 사망, 가족에 의한 장애인의 살인과 그 가족의 자살이라는 비극이 지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이 비극을 막기 위한 최소한의 노력마저 방기하고 외면해왔다. 최중증장애인 24시간 활동지원, 지원 인력의 처우 개선 및 중증장애인 기피 문제 해소를 위한 가산 체계 확립 등, 최소한 ‘이것만이라도 해달라’는 현장의 절규는 언제나 예산과 효율성의 논리, 동등한 분배라는 헛된 핑계 앞에 좌절되고 또 좌절되어 왔다.


장애등급제 가짜 폐지, 서비스지원 종합조작, 권리 삭감 개인예산제와 같은 국가의 기만 가운데 ‘필요한 사람에게 필요한 만큼!’이라는 장애인활동지원의 원칙은 제도권 밖에서 공허히 울려펴졌다. 이제 그 반열에 화룡정점으로써 ‘가족 급여’가 합류하게 되었다. 지원 노동의 가치 폄하, ‘가족 돌봄’을 통한 ‘공적 지원’의 예산 절감, 최중증 독거장애인의 유기 등 이번 조치로 인해 ‘권리 기반 지원’을 향한 중증장애인들의 염원은 한 걸음 더 멀어진 것이다.


탈시설 자립생활의 권리를 총체적으로 부정하며, 기어이 장애인과 가족의 관계를 또 다시 돌봄으로 예속시키고자 하는 이 퇴행을 목도하며 하나의 문구를 상기하지 않을 수 없다.

역사적으로 장애인은 삶의 모든 영역에 걸쳐 개인의 선택과 통제의 권리를 부정당해 왔다. 많은 장애인이 스스로 선택한 지역사회에서 자립적으로 살 수 없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지원 제도는 이용할 수 없거나 특정 거주 조건에 묶여 있고, 지역사회 인프라는 보편적으로 설계되지 않는다. 자원은 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자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는 가능성의 개발이 아니라 시설에 투자된다. 이는 유기, 가족에의 의존, 시설화, 고립, 분리로 이어졌다.

<유엔장애인권리협약 일반논평 제5호(2017) - 협약 제19조 : 자립적 생활과 지역사회 포용>


여전히 대한민국의 중증장애인은 ‘유기, 가족에의 의존, 시설화, 고립, 분리’의 역사를 살아가고 있다. 암담한 역사에 종지부를 찍고자 했던 분투의 역사를 되새기며, 무책임과 기만으로 점철되어 값싸고 손쉬운 해결책을 앞세우는 이 정부를 향해 자립생활의 권리를 다시 한 번 천명하며 요구한다.


장애인은 ‘돌봄’과 ‘시혜’의 수혜자가 아니다. 국가는 중증장애인과 가족의 완전한 사회 참여와 통합을 위해 ‘필요한 모든 지원’에 투자하라. ‘필요한 사람에게 필요한 만큼’, 최중증장애인 24시간 활동지원과 중증장애인 지원을 위한 인프라 확충에 예산을 투입하라.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활동보조위원회는 지원에 대한 ‘국가적 책임’을 촉구하며, 국가가 그 책임을 ‘의무’로 이행하도록 만드는 것에 어떠한 노력도 마다하지 않을 것이다.

2024년 11월 18일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활동보조위원회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카드뉴스 [소송원고인단 모집 글] 대한민국의 접근권 침해에 대한 국가배상청구 소송 원고인단, '김순석들'을 모집합니다… 한자협 04-29 61
공지 보도&성명 [성명] 장애인활동지원 ‘가족 급여’ 확대 정책은 기만이다. 보건복지부는 ‘권리 기반 지원’에 투자하라! 한자협 11-18 1,030
공지 보도&성명 ‘장애인자립생활권리보장법’은 ‘검토’가 아니라 ‘협조’해야 하는 법안이다 한자협 10-28 1,164
공지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자협 창립 21주년 자립생활운동 총궐기 대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권리-중심 한자협 10-15 917
공지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자협 창립 21주년 자립생활운동 총궐기 대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권리-중심 한자협 10-15 930
공지 기타 ⭐️ 교육 신청은 여기로 ⭐️ 한자협 09-13 2,661
68 보도&성명 200805_[성명서] 절름발이는 논쟁의 여지조차 없는 명백한 장애인 혐오 표현이다. - 21대 국회는 장애… kcil 08-06 2,891
67 보도&성명 200717_[성명]서철모 화성시장의 '화성시 장애인 활동지원사업과 관련한 입장'에 대한 경기장애인차별철폐연… kcil 08-03 2,940
66 보도&성명 200716_[성명]시설운영자가 인권침해를 감시한다?!-권익옹호기관의 역할도 제대로 모르는 울산광역시는 장애… kcil 08-03 2,918
65 보도&성명 200716_[보도자료] “장애인 생존권인 활동지원서비스를 필요한만큼 보장하라!” 중증장애인 활동지원권리 무… kcil 08-03 2,958
64 보도&성명 200715_[보도자료] 장애등급제 진짜 폐지! 부양의무자기준 완전 폐지! kcil 08-03 2,896
63 보도&성명 200714_[성명]생계급여 부양의무자기준 폐지 계획 환영, 부양의무자기준 완전 폐지 계획을 기다린다! kcil 08-03 2,875
62 보도&성명 200706_[성명]모든 차별에 저항하는 차별금지법 발의를 환영합니다. kcil 07-13 3,257
61 보도&성명 200701_[보도자료]‘장애인 목숨도 소중하다!’ 장애등급제 가짜 폐지 1년 규탄 및 전동(前動)행진 kcil 07-06 3,207
60 보도&성명 200629_[성명서] 장애인 예산 감액 편성한 3차 추경 예산안 벼룩의 간까지 빼먹으려는 정부를 규탄한다! kcil 07-06 3,403
59 보도&성명 200619_[보도자료]_서울시 장애인 평생교육 권리보장 촉구 기자회견 kcil 06-19 3,770
58 보도&성명 200618_[보도자료]_"장애인거주시설 기능개편은 탈시설이 아니다!" 장애인의 완전한 통합과 참여를 보장하… kcil 06-17 4,302
57 보도&성명 200611_[보도자료]_故 김재순 장애인노동자 사회적 타살 30년 장애인일자리 정책 사망 규탄 중대재해기업… kcil 06-11 4,026
56 보도&성명 200604_[보도자료]_국무조정실 장애인 고용장려금 고시개정 지시 규탄 기자회견 kcil 06-11 3,988
55 보도&성명 200602_[성명]_고용노동부는 중증지적장애인 노동자 김재순 죽음에 대하여 사과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 kcil 06-02 4,160
54 보도&성명 200524_[성명서]_<나눔의 집>은 각종 의혹을 투명하게 밝히고 당국은 책임있게 문제 해결에 나서라! kcil 05-25 4,266
53 보도&성명 200519_[성명서]_반복되는 발달장애인에 대한 가족 살해 비극은 ‘사회적 타살’이다. kcil 05-25 4,107
52 보도&성명 200518_[성명]_"'합천 정신장애인 구타 사망사건' 경상남도는 즉각 진상규명에 나서라!" "경상남도는 … kcil 05-18 4,488
51 보도&성명 200430_[보도자료]_130주년 세계노동절, 장애인고용촉진법 제정 30년 중증장애인 노동권 쟁취 결의대회… kcil 05-13 4,628
50 보도&성명 200423_[서울장차연성명서]_서울동부준법지원센터는 코로나19 핑계대지 말고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김준우 … kcil 05-13 4,495
49 보도&성명 200423_[성명]_선한목자재단 법인설립허가 취소와 법인 청산의 권한은 서울시에 온전하게 넘어왔다! 서울시… kcil 05-13 4,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