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자

200101_보도자료_우동민열사 9주기

  • [보도&성명]
  • kcil
  • 03-12
  • https://www.kcil.or.kr/post/79

 

장애해방운동가 우동민 열사 9주기 추모제 및

국가인권위 우동민 열사 동판 제막식

: 202012() 늦은 430

: 국가인권위원회 1층 로비 및 10

 

1. 귀 언론사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2. 우동민열사추모사업회는 장애해방운동가 우동민 열사의 정신을 계승하고 추모하기 위해 활동하는 단체입니다.

 

3. 우동민 열사는 19681024일 서울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 고열로 뇌성마비 장애를 입었습니다. 열사는 20대 중반까지 재가장애인으로 생활하다가 1991년 장애인 시설에 입소해 이후 10여 년 동안 장애인 생활시설과 그룹홈에서 살았습니다. 20051월 지역사회에서 자립생활을 시작한 뒤 성북장애인자립생활센터에서 대외협력간사로 활동하며 장애인운동에 본격적으로 투신했습니다. 이후 2006년 정립회관 민주화 투쟁, 장애인활동보조제도화 투쟁, 성람재단 비리척결 투쟁, 2007년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 투쟁, 2008년 석암재단 비리척결 및 탈시설권리쟁취 투쟁, 2009년 장애인 예산확보 투쟁 등에 앞장서며 헌신했습니다.

 

4. 특히 열사는 지난 2010년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를 비롯한 단체들이 장애인활동지원법의 올바른 제정(MB가짜복지규탄투쟁)과 현병철 국가인권위원장 퇴진을 촉구하며 인권위 점거농성에 참여했습니다. 그러나 국가인권위원회(아래 인권위)는 전기와 난방, 엘리베이터 등을 중단하고 음식 반입을 제한하는 등 당시 농성에 참여한 장애인들에게 심각한 인권침해를 자행했습니다. 당시 열사는 인권위 점거 농성 3일 만에 폐렴 증세로 응급호송 되었습니다. 이후 열사는 201112일 급성폐렴 등의 증세로 사망했습니다. 그러나 당시 인권위는 현병철 전 위원장 시절 국회 인사청문회와 유엔인권이사회 등 모든 공식적인 곳에서 이러한 인권침해 행위에 대해 부인해왔습니다.

 

5. 지난 201710월말 꾸려진 국가인권위원회 혁신위원회(위원장 하태훈) 우동민 열사 및 장애인운동 활동가의 인권침해사건에 대해 인권침해 행위와 은폐에 대해 직접 사과하고, 이에 관여한 고위 간부들의 책임을 묻기 위한 진상조사와 재발방지대책을 권고했습니다. 이에 지난 20187~10월 국가인권위원회는 인권위 혁신위원회의 권고사항을 이행하기 위한 진상조사단을 구성해 우동민 열사 및 장애인운동 활동가들에 행한 인권침해사건에 대해 각 사안별로 사실관계를 규명하고, 인권침해행위 여부를 조사했습니다.

 

6. 진상조사단의 조사 결과 우동민 열사 및 장애인운동 활동가들에 대한 당시 인권위의 대응을 인권침해 행위로 인정하고 진정한 사과의 입장을 밝히며 우동민 열사의 명예회복을 위한 활동을 권고했습니다. 이에 인권위는 우동민 열사 및 장애인운동 활동가들에 대한 인권침해 행위를 인정하는 공식적인 발표, 위원장의 진심어린 공개 사과, 그리고 인권위 내부에 위 사건에 대한 내용을 담은 상징물을 설치해 인권위의 책임을 인정할 수 있도록 함을 담았습니다.

 

7. 이에 2018, 2019, 우동민 열사 추모제에 이성호 전 위원장과 최영애 현 위원장이 직접 방문해 우동민 열사와 유족, 그리고 장애인운동 활동가들에게 공식 사과를 진행했고, 또한 진상조사와 관련한 보고서를 발행해 인권침해행위에 대해 시인했습니다. 또한 지난 12월 말, 인권위 10층 로비에 우동민 열사를 기리는 동판을 설치했습니다.

 

7. 우동민열사추모사업회는 중증장애인 당사자로서 장애인의 탈시설 자립생활과 국가인권위의 독립적, 민주적 운영을 위해 애쓰다 돌아가신 열사의 뜻을 기리고 장애해방, 빈민해방, 민중해방의 새 세상을 열어나가기 위해 투쟁의 결의를 다지는 9주기 추모제로 만들어가고자 합니다. 202012() 늦은 430,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열리는 자립생활운동가 우동민 열사 9주기 추모제에 적극적인 관심과 취재를 바랍니다. 이후 오후 530, 인권위 10층 로비에서 우동민 열사를 기리는 동판 제막식을 진행합니다. 귀 언론의 많은 취재 바랍니다. .

 

자립생활운동가 우동민 열사 9주기 추모제

사회 : 박현(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활동가)

 

 

- 민중의례

- 약력소개 : 이태규 소장(강동장애인자립생활센터)

- 여는발언 : 이원교 회장(우동민열사추모사업회)

- 유가족발언 : 권순자 님(우동민 열사 어머니)

- 추모발언 : 신인기 활동가(성북장애인자립생활센터)

- 추모발언 : 최진영 활동가(장애해방열사_)

- 추모발언 : 명숙 상임활동가(인권운동네트워크 바람)

- 추모발언 : 최용기 회장(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 추모공연 : 박준(문화노동자)

- 마무리발언 : 박김영희 대표(장애해방열사_)

 

우동민 열사 동판 제막식

 

- 동판제작 경과보고(인권위)

- 최영애 위원장국가인권위원회

- 박경석 상임공동대표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 이원교 회장(우동민열사추모사업회)

- 권순자 님(우동민 열사 어머님)

- 동판 내용 낭독(문애린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공동대표)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카드뉴스 [소송원고인단 모집 글] 대한민국의 접근권 침해에 대한 국가배상청구 소송 원고인단, '김순석들'을 모집합니다… 한자협 04-29 50
공지 보도&성명 [성명] 장애인활동지원 ‘가족 급여’ 확대 정책은 기만이다. 보건복지부는 ‘권리 기반 지원’에 투자하라! 한자협 11-18 1,013
공지 보도&성명 ‘장애인자립생활권리보장법’은 ‘검토’가 아니라 ‘협조’해야 하는 법안이다 한자협 10-28 1,164
공지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자협 창립 21주년 자립생활운동 총궐기 대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권리-중심 한자협 10-15 902
공지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자협 창립 21주년 자립생활운동 총궐기 대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권리-중심 한자협 10-15 930
공지 기타 ⭐️ 교육 신청은 여기로 ⭐️ 한자협 09-13 2,646
21 보도&성명 200102_보도자료_인권위_장애인비하발언_진정각하_기자회견 kcil 03-12 4,806
20 보도&성명 200102_보도자료_고_설요한_동료지원가_살려내라_서울고용노동청점거 kcil 03-12 4,932
19 보도&성명 200101_보도자료_우동민열사 9주기 kcil 03-12 5,185
18 보도&성명 200101_보도자료_2020장애인차별철폐투쟁선포_신년음악회및행진 kcil 03-12 5,047
17 기타 활동보조수가 현실화를 위한 기자회견 kcil 07-24 9,949
16 기타 [abolition] [1000+참여요청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 폐지 광화문공동행동입니다 :] kcil 05-15 12,159
15 기타 [한자협] 소장단, 사무국장 역량강화 워크샵 참가 안내 kcil 05-07 33,761
14 기타 중개기관 평가대비교육 무사히 마쳤습니다. kcil 04-29 12,565
13 보도&성명 활동지원토론회 보도자료 kcil 09-17 12,608
12 기타 더 이상 죽이지마라! 중증장애인 활동보조 24시간 보장 촉구 기자회견 kcil 04-25 37,244
11 기타 한자협, 2/14 동료상담 최고과정 수료식 개최 kcil 02-14 15,325
10 보도&성명 비마이너 보도기사)국제협력인턴십- 결과보고대회 kcil 02-10 14,526
9 보도&성명 비마이너 보도기사) 국제인턴십연수-장애인에 대한 사회적보호/사회적기업 kcil 02-10 14,102
8 보도&성명 비마이너 보도기사) 국제인턴십연수-시설 관련 kcil 02-10 14,387
7 기타 외국사례) 휠체어 이용자의 영화관 좌석 선택 관련 캐나다 판례 kcil 02-10 14,727
6 보도&성명 장애인노동권공대위 공동성명-중증장애인 노동권 쟁취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kcil 02-07 13,716
5 기타 2013년 7월 9일- 장애인활동지원 자부담폐지 및 취약가구 확대 요구 기자회견 kcil 02-07 13,981
4 보도&성명 2013년 10월 10일, 한자협 10주년 기념 기자회견 및 문화제 보도자료 kcil 02-07 14,568
3 보도&성명 장애인노동권 보도자료 kcil 02-05 14,721
2 기타 한자협, 국제인턴십 결과보고서 kcil 02-05 13,8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