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자

200227_성명서_더불어민주당 인재 1호 장애여성 최혜영 교수 부정수급 의혹 보도 및 활동지원서비스에 대한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의 입장

  • [보도&성명]
  • kcil
  • 03-12
  • https://www.kcil.or.kr/post/99

최혜영성명서SNS결개.jpg

성명서

더불어민주당 인재 1호 장애여성

최혜영 교수 부정수급 의혹 보도 및 활동지원서비스에 대한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의 입장

 

더불어민주당이 총선을 앞두고 영입한 인재 1호 장애여성 최혜영 교수에 대한 활동지원서비스 부정수급 보도는 활동지원서비스에 대한 의미와 현재 제도에 대한 최소한의 이해도 없는 마녀사냥식의 의혹보도이다.

 

보도에 의하면 최혜영 교수는 남편과 같이 살면서도 주소를 다르게 등록해 최중증 독거장애인으로 분류됐고, 활동지원 서비스를 최대로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혼인신고를 했을 때와 비교하면 매달 193시간, 260만원 가량 많다라는 내용이다.

 

최혜영 교수가 사실혼 관계에서 혼인신고를 하지 않고 매달 193시간(현금 환산 260만원 가령) 활동지원서비스를 더 많이 받아썼다는 것이다.

 

혼인신고 전()과 후()의 급여량 변동을 두고 부정수급으로 추정한 것은 당사자 개인에게 큰 상처를 주는 보도이다.

 

이 보도는 개인을 넘어 활동지원서비스를 필요한 중증장애인들에게 필요한 만큼 제공하려 했던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의 투쟁을 왜곡시키고 무시하는 결과로 귀착될 우려가 있어 입장을 밝힌다.

 

보건복지부는 활동지원서비스 급여량을 결정할 때 최중증 독거장애인취약가구’(가구 구성원이 1~3급 장애인 또는 만18세 이하 또는 65세 이상인 경우)를 같은 조건으로 판단한다.

 

장애여성인 최혜영 교수의 남편 역시 지체장애인(척수장애)으로 이들이 혼인신고를 했더라도 취약가구의 조건에 해당한다. 취약가구는 1인 최중증 독거장애인과 동일한 수준으로 활동지원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최혜영 교수가 혼인신고 이전에 활동지원서비스를 받았다면 최중증 독거장애인의 조건으로 급여량이 결정되었을 것이다. 혼인신고 이후이면 취약가구(남편 척수장애인) 조건에서 급여량이 결정될 것이기에 혼인신고 여부가 급여량 결정에 영향을 줄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런데 언론 보도는 혼인신고를 하지 않는 방법으로 여러 복지혜택을 과다하게 받았다며, 그 중 하나로 활동지원서비스를 언급한 것이다.

 

만약 최 교수가 혼인신고를 통해 급여량이 매월 193시간씩 하락되는 상황을 맞았다면, 이것은 최 교수가 일상생활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시간이 삭감된 경우로 파악될 수 있는 상황이다.

 

중증장애인이 하루 3시간 이상 활동지원서비스를 삭감당하는 상황인데 이것은 오히려 국가를 상대로 저항했어야 할 상황으로 추측된다.

 

대한민국의 활동지원서비스는 2007년 제도화되었다. 우리는 그 과정에서 중증장애인 동료들과 한강대교를 6시간 이상 온몸으로 기며 투쟁했다.

 

1가구 1인 독거장애인에게만 추가 급여를 줄 것이 아니라, 한 집에 2명 이상 살지라도 취약가구에 해당할 때 독거장애인과 같은 자격으로 보고 동등하게 급여량이 결정되어야 한다는 것은 제도가 정착되는 과정에서 우리의 피눈물로 쟁취한 성과인 것이다.

 

활동지원서비스를 권리로 인정하라는 우리의 투쟁은 여전히 진행형이다. 65세 연령제한, 자부담 증가, 24시간 보장 거부 등은 여전히 중증장애인들에게 피멍을 들게 하면서 생존권을 위협하고 있는 상황이다.

 

 

총선과 관련된 민감한 상황에서 중증장애인들이 목숨 걸고 쟁취한 활동지원서비스 문제를 가지고 부정수급 의혹이라는 식의, 아니면 말고 식의 보도로 장애인의 권리를 도마에 올려 불장난치지 말기를 언론에 엄중히 요청한다.

 

더불어민주당에게도 요청한다.

 

장애여성 최혜영 교수를 1호로 영입한 것이 선거용 보여주기가 아니라면, 문재인 대통령이 약속한 장애등급제 폐지를 진짜폐지하는 정책과 예산을 발표하기를 기대한다.

 

2019.7.1.부터 보건복지부가 단계적으로 폐지되기 시작한 장애등급제 단계적 폐지는 기획재정부의 예산논리에 갇혀 가짜로 폐지되고 있다는 것을 명심하기 바란다.

 

활동지원서비스 만65세 연령제한, 자부담 폐지, 하루24시간 보장은 권리의 문제이다.

장애인이 수용중심의 거주시설이 아니라 지역사회에 살아갈 탈시설은 권리의 문제이다.

활동지원서비스는 유일하게 존재하는 개인별지원서비스이다.

권리의 문제를 정책변화와 예산으로 책임질 것을 요청한다.

 

 

장애인의 권리는 시혜와 동정의 문제가 아니다.

 

2020. 2.27.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는 최혜영교수의 생계급여 부정의혹 언론 보도에 대해서 추후 입장으로 밝힐 예정이다.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카드뉴스 [소송원고인단 모집 글] 대한민국의 접근권 침해에 대한 국가배상청구 소송 원고인단, '김순석들'을 모집합니다… 한자협 04-29 72
공지 보도&성명 [성명] 장애인활동지원 ‘가족 급여’ 확대 정책은 기만이다. 보건복지부는 ‘권리 기반 지원’에 투자하라! 한자협 11-18 1,035
공지 보도&성명 ‘장애인자립생활권리보장법’은 ‘검토’가 아니라 ‘협조’해야 하는 법안이다 한자협 10-28 1,188
공지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자협 창립 21주년 자립생활운동 총궐기 대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권리-중심 한자협 10-15 923
공지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자협 창립 21주년 자립생활운동 총궐기 대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권리-중심 한자협 10-15 952
공지 기타 ⭐️ 교육 신청은 여기로 ⭐️ 한자협 09-13 2,667
501 카드뉴스 [소송원고인단 모집 글] 대한민국의 접근권 침해에 대한 국가배상청구 소송 원고인단, '김순석들'을 모집합니다… 한자협 04-29 72
500 보도&성명 [성명] 중증장애인의 노동권 침해를 정당화한 차별적 결정을 규탄한다 한자협 12-26 572
499 보도&성명 [성명] 장애인활동지원 ‘가족 급여’ 확대 정책은 기만이다. 보건복지부는 ‘권리 기반 지원’에 투자하라! 한자협 11-18 1,035
498 보도&성명 [취재요청서] 장애인자립생활권리보장법 정기국회 내 통과 촉구 기자회견 (2024.11.14.(목) 11:00… 한자협 11-13 842
497 보도&성명 [보도자료-사후] 4대 장애인권리입법 연내 제정 촉구! 11.04. 자립생활위기 비상행동 전국동시다발 다이인… 한자협 11-04 833
496 보도&성명 ‘장애인자립생활권리보장법’은 ‘검토’가 아니라 ‘협조’해야 하는 법안이다 한자협 10-28 1,188
495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자협 창립 21주년 자립생활운동 총궐기 대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권리-중심 한자협 10-15 923
494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자협 창립 21주년 자립생활운동 총궐기 대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권리-중심 한자협 10-15 952
493 보도&성명 [보도자료-사후] 장애인자립생활권리약탈 정부예산안 규탄! 자립생활 예산 요구안 발표 온라인 기자회견 (202… 한자협 09-10 889
492 보도&성명 [취재요청서] 장애인자립생활권리약탈 정부예산안 규탄! 자립생활 예산 요구안 발표 온라인 기자회견 (2024.… 한자협 09-09 759
491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및 장애인자립생활지원시설 운영기준 개발 연구 보고… 한자협 08-27 1,433
490 자료 [연구보고서] 장애인자립생활센터 및 장애인자립생활지원시설 운영기준 개발 연구 한자협 08-27 1,388
489 보도&성명 [보도자료] 대한민국의 장애노인 차별 행정 및 자립생활 권리 침해에 대한 행정/장애차별구제 소송 기자회견 한자협 08-19 804
488 [보도자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및 장애인자립생활지원시설 운영 기준 개발 연구 보고회 개최 한자협 07-10 2,137
487 보도&성명 [보도자료] “자립생활권리는 쟁취하는 것이다!” 장애인자립생활운동 총궐기대회 (2024.7.1.(월) 14:… 한자협 07-01 1,239
486 보도&성명 [보도자료] 노인장기요양 수급 장애인의 장애인일자리사업 참여 기회 박탈에 대한 국가인권위원회 차별 진정 기자… 한자협 05-22 1,256
485 보도&성명 [성명] 서울시 ‘활동지원기관 (재)지정 심사’는 법도 원칙도 없는 ‘장애인 단체 길들이기’, ‘적반하장’의… 한자협 04-26 1,991
484 보도&성명 [보도자료] 만 65세 이상 탈시설 장애인 활동지원 보장을 위한 국가인권위원회 진정 기자회견 한자협 03-20 1,573
483 보도&성명 [성명서] 더불어민주연합 비례대표 국민후보 선출은 유엔장애인권리협약을 위반한, 기울어진 운동장의 결과물이었다… 한자협 03-12 1,433
482 기타 ? 진보적 장애인 운동 재정 마련을 위한 2024년 설 선물 특별 판매 ? 한자협 01-08 1,7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