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자

200421_[성명서]_사회보장위원회 위원장, 보건복지부장관, 행정안전부장관 만65세 활동지원서비스 사각지대를 긴급해결을 위한 면담을 요구한다.

  • [보도&성명]
  • kcil
  • 04-23
  • https://www.kcil.or.kr/post/121

성명서

 

 

사회보장위원회 위원장, 보건복지부장관, 행정안전부장관

65세 활동지원서비스 사각지대를

긴급해결을 위한 면담을 요구한다.

 

국가인권위원회는 2020.2.10. 65세 이상 중증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긴급 정책 개선을 권고하였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는 긴급 정책 개선 권고를 받은 기관 중 사회보장위원회 위원장(국무총리), 보건복지부장관, 행정안전부장관의 면담을 요구한다.

 

국가인권위원회가 긴급하게 정책 개선 권고를 내린 활동지원서비스 만65세 연령제한 문제는 너무나 오래전부터 문제제기를 했다. 사회보장위원회에서의 단식점거농성, 국가인권위원회 긴급 구제 신청, 문재인 대통령의 국민과의 대화에서 언급, 장애인활동지원법 개정 등 수많은 투쟁과 응답이 있었던 심각한 문제이다.

 

65세 활동지원서비스 사각지대로 인해 중증장애인이 생명의 위협에 처해 있다. 더 이상 시간을 끌지 말고 즉각 조치를 취할 것을 강력히 요구하며, 이 문제 해결을 위해 정책 권고를 받은 각 기관장들의 면담을 요청한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는 국가인권위원회에서 발표한 만65세 이상 중증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연령제한(이하 만65세 연령 제한)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긴급정책개선 권고에 적극 지지한다.

 

현재 중증장애인의 만 65세 연령 제한 정책은 수많은 중증장애인의 자립을 위협하고 사지로 몰아넣는 반인권적 타살 결정과 다를 바 없이다. 활동지원서비스가 중단된 수많은 중증장애 노인은 스스로 목숨을 끊거나, 삶의 터전에서 쫓겨나 시설에 격리된 채 남은 생을 감금 속에서 살아야만 했다. 장애인이자 노인으로 살아가는 중증장애노인의 교차성을 무시하는 활동지원서비스 지원 중단책은 인간의 존엄성을 효율성의 논리로 짓밟는 예산 중심 사고와 행정 편의가 빚어낸 현대판 고려장이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는 중증장애노인의 생존을 위해 더 이상 나이듦을 이유로 삶의 존엄성이 훼손되지 않도록, 국가가 주도하는 현대판 고려장에 계속 투쟁해왔다. 국가인권위원회에 지속적인 긴급구제 및 진정을 접수했을 뿐만 아니라, 현장 투쟁, 65세 연령 제한 폐지 운동본부 등을 운영하며 지자체를 비롯한 행정기관에 장애노인의 생존 방안을 적극 요구한 바 있다. 장애인 당사자의 강력한 투쟁을 통해 만65세 연령 제한 정책의 모순을 지적하고 폐지를 적극 주장했다.

 

이에 전장연은 사회보장위원회 위원장·행정안전부 장관·보건복지부 장관·지자체장에게 국가인권위원회 권고안의 구체적인 실행을 즉각 요구한다.

 

첫째, 사회보장위원회 위원장·보건복지부 장관·지자체장 등은 65세 이상 중증장애인의 생명권과 건강권을 보장하기 위한 사회보장 서비스를 확대하고, 정책 집행을 위한 예산을 즉각 확보하라.

 

둘째, 보건복지부 장관은 만 65세 장애인활동지원급여 수급자가 장애인활동지원제도와 노인장기요양보험 중 원하는 것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관련 법률을 개정하라. 또한, 법률이 개정되기 전 만 65세에 도래하는 기존 중증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이용자도 지속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활동지원서비스 사업 내용 및 급여 산정 방법 등을 즉각 개정하라.

 

셋째, 보건복지부 장관·행정안전부 장관·지자체장은 중증장애노인을 위한 활동지원 등 사회보장서비스 확대 과정에서 기존 사업과 단순 비교해 유사·중복 사안으로 해석하거나 함부로 불이익을 주어서는 안된다.

 

끝으로, 국가인권위원회의 긴급구제 및 긴급정책개선 권고 발표를 적극 환영하나, 장애인활동지원에 관한 법률노인장기요양보험법이 개정되어 정책적 공백을 메우기를 하염없이 기다릴 수 없다는 점을 일러두고자 한다. 당장 활동지원서비스 사각지대에 놓인 중증장애인은 심각한 생존의 위협을 느끼고 있기 때문이다. 장애노인의 삶이 당장 위태로운 상황 속에서 먼훗날 법 개정만을 기다릴 수 없다.

 

생존의 기로에 놓인 중증장애인의 건강한 삶을 보장하기 위해 사회보장위원회 위원장·관련 부처 장관·지자체장은 즉각 장애인의 생명과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공직의 책무를 다하라.

 

 

2020421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기타 ⭐️ 교육 신청은 여기로 ⭐️ 한자협 09-13 4,278
33 보도&성명 200319_보도자료_장애인거주시설 <도란도란> 거주인의 탈시설- 자립 방해하는 대한성공회 서울교구 사회복지… kcil 03-19 4,496
32 보도&성명 200317_공동성명서_루디아의집 장애인인권재난 방관한 사회복지법인 선한목자재단 이사는 전원 사퇴하라! kcil 03-18 4,340
31 보도&성명 200317_성명_지자체의 무책임한 집단 코호트 격리 선언을 멈춰라! kcil 03-18 4,442
30 보도&성명 200304_보도자료_서울시 장애인거주시설 루디아의집 시설거주인 전원 탈시설지원 촉구 기자회견 kcil 03-12 5,305
29 보도&성명 200228_성명서_철거해야 하는 것은 마사회의 적폐와 열사를 죽음으로 몰아 넣는 노동환경이지, 열사를 추모… kcil 03-12 4,538
28 보도&성명 200227_성명서_더불어민주당 인재 1호 장애여성 최혜영 교수 부정수급 의혹 보도 및 활동지원서비스에 대한… kcil 03-12 4,585
27 보도&성명 200225_보도자료_‘격리수용’, ‘격리치료’ 인권 없는 차별적 코로나 대응, 국가인권위원회 긴급구제 기자… kcil 03-12 5,293
26 보도&성명 200225_보도자료_故 설요한 동료지원가 조문 농성 중단 기자회견 kcil 03-12 4,548
25 보도&성명 200224_성명서_죽고 나서야 폐쇄병동을 나온 이들을 애도하며 - 청도대남병원 코로나19 집단감염 사태, … kcil 03-12 4,485
24 보도&성명 200221_성명서_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은 故 설요한 죽음에 조문하고 권리중심-중증장애인기준의 공공일자리를… kcil 03-12 4,495
23 보도&성명 200218_보도자료_“고용노동부장관의 고 설요한 동료지원가 조문 및 장애인의 노동권 쟁취” 서울지역 시민사… kcil 03-12 4,468
22 보도&성명 200217_보도자료_‘메르스 이후, 4년! 소 잃고 결국 외양간도 못고친 복지부’ -코로나19 장애인 지원… kcil 03-12 5,242
21 보도&성명 200212_보도자료_故설요한동료지원가_죽음_이재갑장관 조문 및 면담 쟁취 투쟁 결의대회 kcil 03-12 4,443
20 보도&성명 200210_보도자료_장애인 활동지원 만65세 연령제한 피해자 국가인권위원회 긴급구제 진정 시정결정 촉구 기… kcil 03-12 5,089
19 보도&성명 200204_장애인차별철폐 2020총선연대 보도자료_21대 총선에 임하는 정당들은 21대 입법과제 정책협약 … kcil 03-12 4,490
18 보도&성명 200128_보도자료_'故설요한 동료지원가 죽음에 대한 이재갑 장관 사과 요구’ 서울고용노동첨 1층 로비 농… kcil 03-12 4,497
17 보도&성명 200123_보도자료_정치인의 장애인 「비하·혐오·차별」발언 퇴치 서명운동 선포식 kcil 03-12 4,512
16 보도&성명 200121_보도자료_설요한 동지 분향소 서울역 설치 기자회견 kcil 03-12 4,697
15 보도&성명 200117_보도자료_2020년 장애인예산 평가 및 2021년 장애인예산 쟁취 투쟁 선포 기자회견 kcil 03-12 4,887
14 보도&성명 200117_보도자료_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당대표 장애인차별발언 국가인권위원회 긴급진정 기자회견 kcil 03-12 5,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