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자

200602_[성명]_고용노동부는 중증지적장애인 노동자 김재순 죽음에 대하여 사과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라!

  • [보도&성명]
  • kcil
  • 06-02
  • https://www.kcil.or.kr/post/130

[양식]SNS걸개이미지2.jpg

 

고용노동부는 중증지적장애인 노동자 김재순 죽음에 대하여

사과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라!

- 장애인고용정책 30년은 실패했다.

중증지적장애인 노동자 김재순의 산업재해 사망 사건에 부쳐

 

 5월 22일 중증지적장애인 노동자가 폐기물 처리 업체에서 산업재해로 사망했다. 27살의 고 김재순 노동자는 최소한의 안전장치조차 없이 파쇄기를 관리하다 사고를 당했다. 파쇄기 청소 업무는 2인 1조로 진행되어야 하는 고위험 노동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홀로 파쇄기에 뛰어들어야만 했던 청년은 결국 기계 상부에 올라가 청소하다 발이 미끄러져 파쇄기 칼날 속에 잠기고 말았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당시 사업장에는 법적 수준의 안전 및 방호장치가 적절히 구비되어 있지 않았으며, 적합한 관리감독이나 협업 인력 배치도 준수되지 않았다. 폐기물 처리 공장은 죽음이 예견된 곳이었다. 이 죽음에 대한 진상규명을 명확하게 하고 책임자 처벌과 사과 그리고 안전한 노동 환경을 위한 철저한 관리감독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법적 근로환경조차 지키지 못하는 열악한 공장에서 죽음을 맞이해야 했던 노동자는 죽음을 피할 수 없었다. 안전한 노동환경을 고려할 권리조차 없었다. 고 김재순은  대다수의 장애인과 마찬가지로 일할 수 있는 곳이 없었기 때문이다. 파쇄기 내 찌꺼기를 홀로 청소해야만 했던 노동자는 과거 이 고된 업무를 그만둔 적이 있었음에도, 3개월 만에 다시 돌아와 불안한 파쇄기 청소 업무를 이어가야만 했다. 중증지적장애인을 받아주는 산업 현장이 아무 데도 없었기 때문이다. 결국 안전한 근로 환경조차 보장하지 못하는 위험천만한 파쇄기 공장이 사회에서 내몰린 장애인에게 허락된 유일한 일자리였다. 우리 사회에서 가장 취약한 이들이 가장 위험한 현장으로 내몰리고 있다. 

 우리는 특히 중증지적장애인 노동자 김재순의 죽음은 고용노동부의 30년 장애인고용정책 사망 선고임을 확인하며 책임 있는 대책을 요구한다. 김재순이 죽어간 2020년은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이 제정된 지 30년이 되는 해이다. 고용노동부는 30년의 장애인고용 현황을 살펴보며 2030 장애인고용 대책 마련을 위해 전문가, 장애인단체들과 ‘장애인일자리포럼’을 구성하여 논의하고 있다. 하지만 ‘장애인일자리포럼’이 김재순의 죽음을 막을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할지는 매우 의심이 든다. ‘장애인일자리포럼’에서 고용노동부가 김재순의 죽음에 대하여 엄중한 책임감을 갖고, 대책 마련을 위한 논의에 임하기를 촉구한다.

이번 산업재해는 실수가 아니라 사회적 타살이다. 노동 현장에서 안전이 보장되지 않고 죽어야 하는 현실은 장애인과 비장애인을 가리지 않았다. 파쇄기 위에서 스러져간 고 김재순은 법적 안전기준조차 지키지 않은 채 묵인되어 온 위험천만한 노동 환경 속에서 발생했다. 뿐만 아니라, 일할 곳이 없어서 위험천만한 일자리에도 불구하고 언감생심으로 일할 수밖에 없는 장애인 노동자의 참혹한 현실에서 비롯되었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에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는 모든 노동자가 죽지 않고 일할 권리, 장애인 노동자의 생존권과 노동권 보장을 위해 아래와 같이 요구한다.

하나. 고용노동부는 고 김재순 사망이 사고가 아니라 사회적 타살임을 인정하고 사과하라.

하나. 고용노동부는 고 김재순 사망에 대한 철저한 진상조사와 모든 장애인고용 사업장의 노동환경을 점검하라. 

하나. 고용노동부는 중증장애인에게 적합한 권리중심의 중증장애인맞춤형 공공일자리 1만 개 보장을 통해 중증장애인 일자리의 근본적 대책을 마련하라.

하나. 고용노동부는 장애인 노동자를 불법 산업 현장으로 내몰지 말고 더 다양한 노동 형태를 존중받을 수 있도록 노동권을 보장하라.

하나. 고용노동부는 최저임금법 제7조 중증장애인 최저임금 적용 제외 폐지하라.


 

2020년 6월 2일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기타 ⭐️ 교육 신청은 여기로 ⭐️ 한자협 09-13 4,358
33 보도&성명 200319_보도자료_장애인거주시설 <도란도란> 거주인의 탈시설- 자립 방해하는 대한성공회 서울교구 사회복지… kcil 03-19 4,501
32 보도&성명 200317_공동성명서_루디아의집 장애인인권재난 방관한 사회복지법인 선한목자재단 이사는 전원 사퇴하라! kcil 03-18 4,344
31 보도&성명 200317_성명_지자체의 무책임한 집단 코호트 격리 선언을 멈춰라! kcil 03-18 4,445
30 보도&성명 200304_보도자료_서울시 장애인거주시설 루디아의집 시설거주인 전원 탈시설지원 촉구 기자회견 kcil 03-12 5,309
29 보도&성명 200228_성명서_철거해야 하는 것은 마사회의 적폐와 열사를 죽음으로 몰아 넣는 노동환경이지, 열사를 추모… kcil 03-12 4,540
28 보도&성명 200227_성명서_더불어민주당 인재 1호 장애여성 최혜영 교수 부정수급 의혹 보도 및 활동지원서비스에 대한… kcil 03-12 4,587
27 보도&성명 200225_보도자료_‘격리수용’, ‘격리치료’ 인권 없는 차별적 코로나 대응, 국가인권위원회 긴급구제 기자… kcil 03-12 5,295
26 보도&성명 200225_보도자료_故 설요한 동료지원가 조문 농성 중단 기자회견 kcil 03-12 4,554
25 보도&성명 200224_성명서_죽고 나서야 폐쇄병동을 나온 이들을 애도하며 - 청도대남병원 코로나19 집단감염 사태, … kcil 03-12 4,488
24 보도&성명 200221_성명서_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은 故 설요한 죽음에 조문하고 권리중심-중증장애인기준의 공공일자리를… kcil 03-12 4,499
23 보도&성명 200218_보도자료_“고용노동부장관의 고 설요한 동료지원가 조문 및 장애인의 노동권 쟁취” 서울지역 시민사… kcil 03-12 4,471
22 보도&성명 200217_보도자료_‘메르스 이후, 4년! 소 잃고 결국 외양간도 못고친 복지부’ -코로나19 장애인 지원… kcil 03-12 5,247
21 보도&성명 200212_보도자료_故설요한동료지원가_죽음_이재갑장관 조문 및 면담 쟁취 투쟁 결의대회 kcil 03-12 4,446
20 보도&성명 200210_보도자료_장애인 활동지원 만65세 연령제한 피해자 국가인권위원회 긴급구제 진정 시정결정 촉구 기… kcil 03-12 5,093
19 보도&성명 200204_장애인차별철폐 2020총선연대 보도자료_21대 총선에 임하는 정당들은 21대 입법과제 정책협약 … kcil 03-12 4,495
18 보도&성명 200128_보도자료_'故설요한 동료지원가 죽음에 대한 이재갑 장관 사과 요구’ 서울고용노동첨 1층 로비 농… kcil 03-12 4,500
17 보도&성명 200123_보도자료_정치인의 장애인 「비하·혐오·차별」발언 퇴치 서명운동 선포식 kcil 03-12 4,516
16 보도&성명 200121_보도자료_설요한 동지 분향소 서울역 설치 기자회견 kcil 03-12 4,701
15 보도&성명 200117_보도자료_2020년 장애인예산 평가 및 2021년 장애인예산 쟁취 투쟁 선포 기자회견 kcil 03-12 4,892
14 보도&성명 200117_보도자료_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당대표 장애인차별발언 국가인권위원회 긴급진정 기자회견 kcil 03-12 5,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