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자

220307_[보도자료] 척수성근위축증(SMA) 치료제 접근권 확보를 위한 한-일 SMA 당사자 온라인 교류회

  • [보도&성명]
  • 한자협
  • 04-12
  • https://www.kcil.or.kr/post/340


수 신 

각 언론사(사회부 기자)

제 목

척수성근위축증(SMA) 치료제 접근권 확보 위한 한-일 SMA 당사자 온라인 교류회

보도일자 

2022. 3. 18()

담 당 

한명희(010-3170-5909), 양지원(070-8015-9148)

분 량

총 5쪽 

첨부자료 [성명척수성 근위축증(SMA) 환우 노금호의 치료제 급여적용 환영한다
정부는 조속히 SMA 치료제 급여대상 제한기준 폐지하여 
모든 환우들의 인간다운 삶을 보장하라

<본 자료는  [자료실보도자료]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척수성근위축증(SMA) 치료제 접근권 확보 위한 

한국-일본 SMA 당사자 온라인 교류회

 

○ 일시2022. 3. 18.(오후 7시 ~ 9

○ 장소사전접수 시 미팅룸(ZOOM) 링크 안내

○ 초청유다 유이(SMA당사자교토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 
오야부 미쯔토시(SMA당사자일본자립생활센터(JCIL))

○ 통역곽정란(동국대학교 인구와사회협동연구소 연구교수)
아베야 스시(일본자립생활센터 상근 활동지원사)

○ 형식 및 내용사례 소개 및 자유로운 의견교환 

참여자 자기소개와 인사
코로나19 등 일상생활에서의 서로의 상황 나누기
일본의 척수성근위축증(SMA) 치료제 및 각종 지원제도 현황
한국의 척수성근위축증(SMA) 당사자의 어려움
서로 질의응답 및 마무리

○ 주최척수성근위축증(SMA) 환자 치료제 접근권 확보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1. 공정 보도를 위해 노력하시는 귀 언론사의 발전을 기원합니다.

 

2. 척수성 근위축증(Spinal muscular atrophy, SMA)은 운동 기능에 필수적인 생존운동신경세포 단백질 결핍으로 전신의 근육이 점차 약화되는 희귀질환으로이전에는 별 다른 치료제가 없었으나 2016년 최초 치료제인 스핀라자(뉴시너센나트륨, nusinersen)’가 개발되어 2019년부터 우리나라에서도 보험 급여가 적용되고 있습니다.

 

3. ‘척수성근위축증(SMA) 치료제 접근권 확보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는 SMA 치료제인 스핀라자의 건강보험 급여 적용 기준이 만 3세 이하 징후 발견인공호흡기 미착용 환자로 제한되고 비현실적인 투약 유지 기준으로 치료에 대한 급여가 중도 중단되는 상황에서 효율성을 잣대로 인간의 생명을 재단하는 대한민국 현실에 문제를 제기하는 한편 해결을 촉구하기 위해 SMA당사자 및 장애·보건의료계가 결성한 조직입니다.

 

4. 스핀라자는 바이오젠에서 개발한 SMA치료제로 1회 투약 당 1억 원첫 해 6회를 제외하고 연 평균 3회를 투약해야 하는 대표적 고가 치료제입니다

 

5. 이미 스핀라자의 임상적 효과가 모든 SMA 유형에 증명되고 일본 등에서는 연령에 구분 없이 급여를 지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비용효과성을 이유로 위와 같이 SMA환자에게 임의로 기준을 정하여 급여 조건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6. 스핀라자 뿐 아니라 현재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심사중인 졸겐스마(SMA치료제역시 등재 시 마찬가지 입니다이는 국민의 건강권을 보장해야 하는 국가가 희귀질환의 특성상 그 수요가 적어 가격을 높게 측정할 수 없다는 시장의 논리에 순응하며 생명을 이윤으로 보는 다국적 제약회사의 횡포에 동조하는 꼴입니다

 

7. 특히 이 같은 문제는 지난해 10월 국정감사에서 강기윤이종성최혜영 의원 등에게 질의를 받으며 통신비 지원금 1조원은 안되고 생명 살리는 약은 안되나”, “경증환자 중심의 포퓰리즘 정책에 몰입하느라 소수의 중증질환자는 외면하는게 아닌가와 같은 비판을 받았습니다이는 최근 한 대통령 후보의 탈모약 급여화가 이슈화된 가운데 여전히 유효합니다

 

8. 이에 척수성근위축증(SMA) 치료제 접근권 확보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는 척수성근위축 질환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이는 한편일본의 보험 급여 적용 사례를 검토한국에서의 적용가능성을 논의하기 위해 척수성 근위축제(SMA) 접근권 확보 위한 한국-일본 SMA당사자 온라인 교류회를 개최하고자 합니다.

 

9. 특히 금번 행사는 한국과 일본의 SMA 당사자 간의 경험 공유를 통해 급여 기준 확대 및 중도 탈락 중단을 방지하기 위한 정책적 사례를 근거로 축적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당사자들간의 교류를 활성화하여 향후 대응을 위한 기반 조성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습니다

 

——————————————————————<포스터 설명>——————————————————————

한국-일본 SMA 당사자 온라인 교류회

 

[일시] 2022년 3월 18일 금요일 저녁 7~9

[안내척수성 근위축증(Spinal muscular atrophy, SMA) 보험적용 확대 및 급여유지 평가기준 폐지 등 치료제 접근권 확보를 위한 한국 국내 활동이 이어지고 있습니다일본은 스핀라자에브리스디졸겐스마 등 치료제를 폭 넓게 적용하는 대표적인 나라입니다일본의 SMA 당사자로부터 자세한 현황을 듣고한국의 SMA 당사자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들을 이야기 나누는 자리입니다. SMA에 관심 있는 당사자가족활동가연구자 님 등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딱딱한 교육이 아니오니 편안한 마음으로 참여하시고여러 말씀 나누어 주시면 됩니다사전에 참여신청을 해 주시면 ’ 링크를 보내드립니다.

[일본 정보 안내자유다 유이油田 優衣(SMA당사자쿄토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

[통역곽정란(동국대학교 인구와사회협동연구소 연구교수)
아베야스시(일본자립생활센터(JCIL) 상근 활동지원사)

[준비한 곳척수성근위축증 환자(SMA) 치료제 접근권 확보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문의공동집행위원장 한명희(010-3170-5909), 양지원(070-8015-9148)

 

10. 이에 본 위원회는 귀 언론사의 적극적인 관심과 보도를 요청드리는 한편 교류회에 참여하셔 SMA 문제해결을 위한 언론의 사회적 인식 환기 역할에 함께해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 신청접수https://forms.gle/B2yDDsUqYpawwsBP8

○ 신청마감2022년 3월 14일 월요일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기타 ⭐️ 교육 신청은 여기로 ⭐️ 한자협 09-13 4,313
246 보도&성명 220124_[보도자료]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의 개인예산제 공약 규탄 캠페인 "장애인개인예산제 불장난 NO!… 한자협 04-11 503
245 보도&성명 220121_[성명서]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후보자의 장애인정책 공약은 “깡통 다섯 개 선물 세트”다. 한자협 04-11 472
244 보도&성명 220121_[성명서] 기획재정부의 장애인권리예산 검토 의견에 대한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입장문 한자협 04-11 382
243 보도&성명 220121_[보도자료] 오이도역 장애인리프트 추락 참사 21주기 지하철 여행 및 지하철캠페인 (2022.1… 한자협 04-11 578
242 보도&성명 220114_[보도자료] 장애인이동권 투쟁 21주년 사진전 및 제막식 개최 한자협 04-11 448
241 보도&성명 220111_[보도자료]척수성근위축증 환자(SMA) 치료제 급여적용 확대를 위한 대선후보 면담요청 기자회견 한자협 04-11 487
240 보도&성명 220105_[보도자료] 누구도 배제하지 않는 탈시설장애인당 1차 거리 선전전 개최 (2022.1.5.(수)… 한자협 04-11 390
239 보도&성명 220103_[보도자료] 장애인권리보장법, 장애인탈시설지원법 제정 촉구_신년 결의대회 (2022.01.03(… 한자협 04-11 543
238 보도&성명 211231_[보도자료] 2021년 제정의 종소리·제야의 화형식 (2021.12.31.(금)) 한자협 04-11 450
237 보도&성명 211229_[보도자료]장애인권리예산 기획재정부 책임촉구 기자회견 한자협 04-11 377
236 보도&성명 211224_[보도자료]성탄절 맞이 전국 탈시설 미사 한자협 04-11 416
235 보도&성명 211223_[성명서] 서울교통공사의 손해배상청구 탄압에도 불구하고 연대하는 시민들과 함께 투쟁을 멈추지 않… 한자협 04-11 396
234 보도&성명 211222_[성명] 장애인 이동권 보장, 교통약자법 국회 국토상임위 통과를 환영한다. 한자협 04-11 539
233 보도&성명 211222_[성명서] 장애인 인권침해 가해자를 비호하는 대구사회복지사협회를 강력 규탄한다! 한자협 04-11 504
232 보도&성명 211216_[보도자료] 20211217_여주라파엘의집_학대사건_서울시 규탄 기자회견 한자협 04-11 510
231 보도&성명 211220_[보도자료] 12.20(월) 기획재정부 장애인 이동권 보장 반대 규탄 결의대회+지하철직접타기 (… 한자협 04-11 496
230 보도&성명 211212_[성명서] 12월 22일 국토교통위원회 교통법안소위를 맞아 : 정부와 국회는 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 한자협 04-11 558
229 보도&성명 211213_[보도자료] 12.13(월) 장애인평생교육법 · 장애인권리보장법 · 장애인탈시설지원법 연내 제정… 한자협 04-11 458
228 보도&성명 211210_[성명서] 21대 국회는 UN장애인권리협약 위반말고 장애인권리보장법·장애인탈시설지원법을 반드시 … 한자협 04-11 520
227 보도&성명 211206_[성명서] 장애인이동권 보장 지하철출근 선전전도 막는 혜화역 엘리베이터 이용 원천봉쇄 경악한다 한자협 04-11 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