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자

220519_「성명서]_장애인이동권 권리예산 2차 추경 수정 가결 환영하며, 기획재정부는 2차 추경에 장애인권리예산 반영을 적극 결단하라!

  • [보도&성명]
  • 한자협
  • 05-20
  • https://www.kcil.or.kr/post/416

20220519_성명서_2차추경_장애인권리예산_촉구.jpg

 

https://sadd420.notion.site/2-2-e550685350c64ef98007e942652bfaa6

 

보도자료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상임공동대표

권달주박경석이원교윤종술최용기

전화_02-739-1420 / 팩스_02-6008-5101 / 메일_sadd@daum.net홈페이지_sadd.or.kr

수신

언론사 사회부 담당

배포일자

2022년 5월 19()

담당

정다운 (010-6293-0357)

페이지

총 2

제목

[성명서장애인이동권 권리예산 2차 추경 수정 가결 환영하며기획재정부는 2차 추경에 장애인권리예산 반영을 적극 결단하라!

 

 

 

 

성명서

 

 

장애인이동권 권리예산 2차 추경 수정 가결 환영하며기획재정부는 2차 추경에 장애인권리예산 반영을 적극 결단하라!

 

 

윤석열 정부의 첫 추가경정 예산안인 ‘2022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이하 2차 추경)’이 5월 13(국회에 제출되었다. 59.4조 원 규모를 자랑하는 2차 추경안이었지만그 안에 장애인권리예산은 단돈 1원도 포함되지 않았다.

 

전장연은 2021년 12월 3(세계 장애인의 날)부터 장애인권리예산을 요구하며 출근길 지하철 탑니다를 28번 진행하였고문재인 정부 당시 홍남기 기획재정부 장관20대 대통령선거 후보자들인수위원회또다시 윤석열 정부 초대 기획재정부 장관인 추경호 장관의 답변을 기다려왔다그러나윤석열 정부는 이번 첫 추경안을 통해서 장애인권리예산을 요구하는 절실한 외침에 대하여 사실상 빈 깡통으로 응답한 셈이다.

 

이에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이하 전장연)는 5월 16(긴급 성명 ([윤석열 정부 추경예산은 국가에 의한 21년 장애인 차별침해 반성 1도 없는 장애인차별예산이다. ](https://sadd420.notion.site/21-1-27fb29739b5d42f89607050cac5ba203))을 발표하고국회와 기획재정부가 장애인권리예산 2차 추경 반영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촉구하며지난 월요일부터 매일 오전 7시 30분 신용산역 횡단보도에서 삼각지역(용와대 방면)으로 매일 지상 행진을 하는 긴급행동을 하고 있다.

 

지난 21년간 대한민국은 장애인이 이동할 자유감옥 같은 거주시설이 아닌 지역사회에서 살아갈 자유를 예산의 범위 내에서’, ‘우선순위를 따져보고와 같은 핑계를 들며 유보해왔다하지만 윤석열 대통령이 취임사를 통해 자유를 35번이나 언급하며 강조한 만큼윤석열 정부는 21년 간 자유를 누리지 못한 장애인의 기본권 보장 책임을 지금 즉시 보장해야 한다.

 

5월 17()~18(), 국회 각 상임위원회는 부처별 2차 추경안을 심사하였다그 결과국토교통위원회에서 특별교통수단 운영비 지원으로 1,610억 원과 연구비 2억 원이 증액한 2차 추경안이 수정가결되었다

 

2022년 7월부터 시행되어야 하는 장애인 평생교육시설 시범사업 예산은 교육위원회에서 증액되지 않고 "교육부는 장애인 평생교육진흥 예산과 관련하여 2023년도 본예산에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한다.”라는 부대의견만 남겼다

 

보건복지위원회에서는 탈시설 시범사업 부족분 예산이 1원도 반영되지 않은 반면감옥 같은 장애인거주시설 예산은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 한시지원금 23억 2,000만원”, “장애인거주시설 방역관리료 6억 5,000만원” 증액되어그야말로 차별과 불공정을 그대로 드러냈다.

 

2차 추경에 장애인이동권 권리예산이 상임위 논의를 통해 일부 반영된 것은 환영할 일이지만국회의 예산 논의 관행을 볼 때이마저도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삭감될 가능성이 농후하다예산 심의에 대한 국회의 고유한 권한이 기획재정부의 편성 권한을 넘지 못한 채 휘둘려 왔기 때문이다

 

5월 23()~24(중 추경예산안등조정소위원회 회의를 열고 5월 27(내로 2차 추경안을 의결하는 국회의 계획에 따라전장연은 용와대 긴급행동을 지속해 나갈 것이다국회와 기획재정부에 장애인권리예산의 2차 추경안 반영 결단을 촉구한다.

 

2022. 5. 19.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기타 ⭐️ 교육 신청은 여기로 ⭐️ 한자협 09-13 4,448
26 결의문&발언문 220830_[삭발투쟁결의문]_100일차, 빈운경(원주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자협 08-30 1,212
25 결의문&발언문 220829_[삭발투쟁결의문]_99일차, 김경용(가온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자협 08-29 1,153
24 결의문&발언문 220826_[삭발투쟁결의문]_98일차, 하연주(밀양장애인평생학교/밀양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자협 08-26 1,248
23 결의문&발언문 220825_[삭발투쟁결의문]_97일차, 신경수(민들레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자협 08-26 1,150
22 결의문&발언문 220824_[삭발투쟁결의문]_96일차, 이병호(두리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자협 08-24 1,196
21 결의문&발언문 220823_[삭발투쟁결의문]_95일차, 문혁(피플퍼스트 성북센터) 한자협 08-23 1,459
20 결의문&발언문 220822_[삭발투쟁결의문]_94일차, 임영채(안산단원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자협 08-22 1,380
19 결의문&발언문 220819_[삭발투쟁결의문]_93일차, 주상은(경남정신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자협 08-21 1,211
18 결의문&발언문 220818_[삭발투쟁결의문]_92일차, 이진우(서대문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자협 08-18 1,212
17 결의문&발언문 220816_[삭발투쟁결의문]_91일차, 김용균(가온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자협 08-16 1,242
16 결의문&발언문 220812_[삭발투쟁결의문]_90일차, 김승환(인천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자협 08-12 1,324
15 결의문&발언문 220811_[삭발투쟁결의문]_89일차, 오태경(한울림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자협 08-11 1,230
14 결의문&발언문 220810_[삭발투쟁결의문]_88일차, 이진원(경남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자협 08-10 1,217
13 결의문&발언문 220809_[삭발투쟁결의문]_87일차, 이철재(포천나눔의집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자협 08-09 1,309
12 결의문&발언문 220808_[삭발투쟁결의문]_86일차, 박주원(장애인자립생활센터 판) 한자협 08-08 1,432
11 결의문&발언문 220805_[삭발투쟁결의문]_85일차, 김병관(다사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자협 08-05 1,377
10 결의문&발언문 220804_[삭발투쟁결의문]_84일차, 오석민(은평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자협 08-04 1,210
9 결의문&발언문 220803_[삭발투쟁결의문]_83일차, 박창재(포천나눔의집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자협 08-03 1,312
8 결의문&발언문 220802_[삭발투쟁결의문]_82일차, 최영동(진영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자협 08-02 1,201
7 결의문&발언문 220729_[삭발투쟁결의문]_81일차, 최진기(진해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자협 07-30 1,3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