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하고

[카드뉴스] 말 없이 사라지는 산정 특례?!

  • 한자협
  • 05-25
  • https://www.kcil.or.kr/post/436

b50d98dd535f94cdfb09ecbd76fd4088.jpg
a034ab1e1b389cd024caa10742537ebd.jpg
64f1005b3cb5dddce0bfd756633fd0da.jpg
07b077a66f57fc50675bcc4f67ea5a7b.jpg
d30c2649f60d710a7a1a9e9f7472415a.jpg
d6f6c3d58a85b442e76f895fe1c9f8ac.jpg
4138bde1f352783249430eab05e3d5f4.jpg
ee9bbad4b743af428c8828b04286a7cb.jpg
40477ca7057b94e6706645b6a72c2ca8.jpg
e959d235ddb421c678d84264d6bae668.jpg
(이미지 속 텍스트)


1.

제목: 말 없이 사라지는 산정 특례

특례? 활동지원 시간이 깎인다고?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2.

2019년 7월 1일, 장애등급제의 단계적 폐지로

인정조사가 서비스 지원 종합조사로 변경됐습니다.

“수요자 중심의 장애인 지원 체계 구축…”

“장애인 욕구・환경 등을 고려한 서비스 지원…”

(복지부 보도자료 등)


3.

그러나 복지부의 발표와 달리

여전히 의학적 기준을 유지했고

옷 갈아입기, 목욕하기, 집 안 걷기 등

장애인이 얼마나 무능한지를 판단했습니다.


4.

‘한정된 예산으로 등급을 나눠 심사가 과하게 엄격하다’,

‘조사원 개인의 주관적 판단이 개입될 수 있다’,

‘장애인 당사자의 욕구와 필요를 반영하지 않는다’ 등

장애계는 지속적으로 문제를 지적했지만 변화는 없었습니다.


‘호흡기를 낀 전신마비인데 시청각 장애도 있고,

그러면서도 직장 생활을 하는데,

1인 독거이거나 노부모 등과 함께 살고,

이동에 제약이 있는 데다가

승강기 없는 지하나 2층에 살아야’

최고점인 465점을 받아 하루 16.16시간을 받을 수 있다는

웃지 못할 농담도 있었습니다.


5.

결곽 활동지원 시간이 삭감됐습니다.

최혜영 의원실에 따르면

종합조사를 받은 57,370명 중

14.5%인 8,333명이 지원 시간이 하락했습니다.

평균은 22시간, 최대 241시간입니다.


6.

당시 정부는 시간이 삭감되는 이들에 대해

3년간만 보전해주는 ‘산정 특례’를 시행했지만,

그마저도 올해 7월부터 순차적으로 종료됩니다.

시간이 깎이거나 자격이 박탈되는 이용자들이

올해만 2,913명입니다.

그러나 정부는 여전히 대책이 없습니다.


7.

그래서 우리는 투쟁합니다.

“장애는 더 심화되고 있지만,

주어진 것을 빼앗는 것은 너무나도 익숙한 것입니다.

활동지원이 동정을 구걸하는 것입니까?”

- 장애여성독립생활센터 ‘숨’ 진은선 소장


8.

서비스 지원 종합조사 체계 자체가 문제입니다.

생존의 문제입니다.

산정 특례 문제의 책임 있는 해결까지

줄기차게 투쟁하겠습니다.

-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최용기 회장


9.

우리는 원합니다.

특례 시간 말고 권리의 시간을

능력도 조사 말고 욕구도 조사를

의학적 판단 말고 자립생활 지원을.

우리는 요구합니다,

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해 장애등급제 완전 폐지를!


10.

기존 시간 보전하고 종합조사 전면 개편하라!

장애인권리예산 편성하고 장애등급제 진짜 폐지하라!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끝.



[이 게시물은 한자협 님에 의해 2022-05-30 14:43:04 공유하자 에서 복사됨]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보도자료] 입법사안이라며 차별 판단마저 거부한 국가인권위원회의 무책임함을 규탄한다. 탈시설 장애노인의 기본… 한자협 09-29 276
공지 (25. 9. 9.) 유엔 긴급탈시설가이드라인 발표 3주년, 22대 국회 장애인탈시설지원법 제정 촉구 기자회… 한자협 09-08 156
공지 [후원 요청] 2025 대항로사람들 : 장애인도 시민으로 이동하는 민주주의 한자협 08-27 209
공지 (25. 9. 9.) 장애인탈시설지원법 제정을 위한 토론회 한자협 08-27 268
46 [성명서]대한독립 날 광복절 보건복지부는 장애인복지법 제4장 자립생활의 지원을 중증장애인의 권리로 보장하라 kcil 08-16 25,476
45 장애인활동지원 24시간 보장 국가인권위원회 집단 진정 기자회견 kcil 08-10 483
44 2018년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정기총회 개최 안내 kcil 01-21 30,768
43 장애인활동지원제도의 문제점 및 장애인활동지원법 개정 방향 토론회 kcil 08-11 32,953
42 [워크숍]전국 소장 사무국장 역량강화 워크숍 참여 안내 kcil 07-13 33,009
41 [알림]2016년 중증장애인 자립생활(IL) 지원사업 변경 안내 설명회 개최 kcil 04-27 25,724
40 (알림) 2016년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정기총회 kcil 02-04 32,154
39 2015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창립12주년 기념식 및 정책토론회 kcil 10-19 33,485
38 2015 동료상담위원회 전국회의 양식 (지역보고서, 참가신청서 파일 첨부) kcil 09-17 15,528
37 [창립총회] 2015년 9월 16일(수) 낮 1시 법인설립창립총회를 합니다. kcil 09-08 22,855
36 쟁애인활동보조 권리보장 촉구 집중집회 kcil 05-27 18,450
35 님아, 65세를 넘기지 마오! 만 65세 넘으면 활동지원 못받는 한탄의 기자회견 kcil 04-15 18,763
34 중개기관 평가대비 교육 알립니다. kcil 04-15 20,798
33 2015년 한자협 정기총회 알립니다. (2015.02.12 목) kcil 02-05 20,872
32 장애등급제부양의무제폐지 광화문 농성 2주년 우리는 지금보다 더 강하게 kcil 08-08 25,521
31 장애등급제가 송국현을 죽였다 kcil 04-22 28,665
30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4월 19일~20일" 집중 행동 일정이 드디어 나왔어요!! kcil 04-15 31,338
29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2014년 정기총회 kcil 02-19 24,159
28 APDF, KDF & KSRPD 국제협력활동 보고서 kcil 02-13 18,557
27 서자협 2월 운영위회의 개최 kcil 02-11 2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