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자

220609_[보도자료]_제29차 ‘출근길 지하철탑니다’ 재개 기자회견

  • [보도&성명]
  • 한자협
  • 06-13
  • https://www.kcil.or.kr/post/445

보도자료_20220613_제29차 ‘출근길 지하철탑니다’ 재개 기자회견.fin.hwp

 

보도
자료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상임공동대표

권달주박경석이원교윤종술최용기

전화_02-739-1420 / 팩스_02-6008-5101 / 메일_sadd@daum.net홈페이지_sadd.or.kr

수신

언론사 사회부 담당

배포일자

2022년 6월 8()

담당

정다운 (010-6293-0357)

연윤실 (010-9466-8908)

페이지

총 5

제목

29차 출근길 지하철탑니다’ 재개 기자회견

 

제 29차 출근길 지하철탑니다-001 (1).jpg

29차 출근길 지하철탑니다’ 재개 기자회견

 

○ 일시 : 2022년 6월 13(오전 7시 30

○ 장소 미정

○ 주관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1. 공정 보도를 위해 노력하시는 귀 언론사의 발전을 기원합니다.

 

2.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상임공동대표 권달주 이하 전장연’)는 장애인에 대한 차별을 철폐하고장애인의 기본적 권리를 쟁취하기 위하여 전국규모의 법정·비법정 장애인단체(전국장애인부모연대 · 전국장애인야학협의회 · 한국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 ·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와 190여 개의 지역 장애인·시민사회·노동·인권·문화예술단체 그리고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회원(장비회원)으로 구성된 연대체입니다.

 

3. 지난 5월 2일 인사청문회에서 추경호 기획재정부 장관은 사회적 취약계층에 대해서 예산 배려 또는 지원 확대되어야 한다는 데 대해서 전적으로 문제의식을 같이 한다.’,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간사할 때 여러 단체들과 대화를 했다특별히 장애인분들 직접 모시고 말씀을 일부러 듣고 논의를 하면서 장애인 예산 관련해서 대폭적인 증액에 애를 썼었다.’고 발언했습니다.

 

4. 그러나 23년에 반영될 정부예산 실링(ceiling)에 장애인권리예산을 반영하기를 촉구하며5월 중 기획재정부 장관 면담을 요청했던 전장연의 요구는 끝내 거부하였습니다장관 면담은커녕 실무자를 통해 요구안을 전달할 수 있는 자리조차도 가지지 못했습니다.

 

5. 지난 5월 29일에는 코로나 완전 극복 및 민생안정」 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윤석열 정부의 첫 추가경정예산안(2022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이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되었습니다그 총액이 62조 원에 달하는 역대 최고 규모임에도 불구하고 장애인권리예산은 특별교통수단 연구비 2억 원 증액에 그쳤습니다이동권교육권탈시설 예산 반영은 추경 목적에 맞지 않다는 이유로 거부했습니다

 

6. 헌법 제10조에는 모든 국민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가지며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가진다국가는 개인이 가지는 불가침의 기본적 인권을 확인하고 이를 보장할 의무를 진다.’고 명시되어 있고헌법 제11조에는 모든 국민은 법 앞에 평등하다누구든지 성별ㆍ종교 또는 사회적 신분에 의하여 정치적ㆍ경제적ㆍ사회적ㆍ문화적 생활의 모든 영역에 있어서 차별을 받지 아니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7. 그러나 대한민국은 이와 같은 헌법정신을 위배하고 있습니다법 앞에 장애인은 평등하지 않았고지속적으로 차별받아왔습니다이에 전장연은 헌법에 명시된 권리조차도 지키지 않는 기획재정부를 규탄하며 6월 13일 제29차 출근길 지하철탑니다.’를 재개하고자 합니다.

 

8. 만약기획재정부가 장애인권리예산 반영을 위한 면담 추진한다면 출근길 지하철탑니다는 유보하겠습니다.

 

9. 귀 언론사의 적극적인 관심과 보도를 요청합니다.

 

[붙임자료1] ‘출근길 지하철탑니다’ 경과보고 및 삭발투쟁’ 삭발자 명단 및 투쟁 결의문

 

[붙임자료2] 장애인권리보장을 위한 2023년 예산정책요구안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기타 ⭐️ 교육 신청은 여기로 ⭐️ 한자협 09-13 4,313
26 결의문&발언문 220830_[삭발투쟁결의문]_100일차, 빈운경(원주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자협 08-30 1,203
25 결의문&발언문 220829_[삭발투쟁결의문]_99일차, 김경용(가온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자협 08-29 1,142
24 결의문&발언문 220826_[삭발투쟁결의문]_98일차, 하연주(밀양장애인평생학교/밀양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자협 08-26 1,238
23 결의문&발언문 220825_[삭발투쟁결의문]_97일차, 신경수(민들레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자협 08-26 1,139
22 결의문&발언문 220824_[삭발투쟁결의문]_96일차, 이병호(두리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자협 08-24 1,183
21 결의문&발언문 220823_[삭발투쟁결의문]_95일차, 문혁(피플퍼스트 성북센터) 한자협 08-23 1,447
20 결의문&발언문 220822_[삭발투쟁결의문]_94일차, 임영채(안산단원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자협 08-22 1,371
19 결의문&발언문 220819_[삭발투쟁결의문]_93일차, 주상은(경남정신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자협 08-21 1,200
18 결의문&발언문 220818_[삭발투쟁결의문]_92일차, 이진우(서대문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자협 08-18 1,203
17 결의문&발언문 220816_[삭발투쟁결의문]_91일차, 김용균(가온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자협 08-16 1,230
16 결의문&발언문 220812_[삭발투쟁결의문]_90일차, 김승환(인천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자협 08-12 1,313
15 결의문&발언문 220811_[삭발투쟁결의문]_89일차, 오태경(한울림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자협 08-11 1,218
14 결의문&발언문 220810_[삭발투쟁결의문]_88일차, 이진원(경남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자협 08-10 1,204
13 결의문&발언문 220809_[삭발투쟁결의문]_87일차, 이철재(포천나눔의집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자협 08-09 1,297
12 결의문&발언문 220808_[삭발투쟁결의문]_86일차, 박주원(장애인자립생활센터 판) 한자협 08-08 1,421
11 결의문&발언문 220805_[삭발투쟁결의문]_85일차, 김병관(다사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자협 08-05 1,369
10 결의문&발언문 220804_[삭발투쟁결의문]_84일차, 오석민(은평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자협 08-04 1,199
9 결의문&발언문 220803_[삭발투쟁결의문]_83일차, 박창재(포천나눔의집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자협 08-03 1,298
8 결의문&발언문 220802_[삭발투쟁결의문]_82일차, 최영동(진영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자협 08-02 1,190
7 결의문&발언문 220729_[삭발투쟁결의문]_81일차, 최진기(진해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자협 07-30 1,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