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자

220628_[보도자료]_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 전국장애인이동권연대 · 더불어민주당 민생우선실천단 장애인권리보장팀 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법 개정안 발의 공동기자회견 개최

  • [보도&성명]
  • 한자협
  • 06-29
  • https://www.kcil.or.kr/post/462

 

1. 공정 보도를 위해 노력하시는 귀 언론사의 발전을 기원합니다.

 

2.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상임공동대표 권달주 이하 전장연’)는 장애인에 대한 차별을 철폐하고장애인의 기본적 권리를 쟁취하기 위하여 전국규모의 법정·비법정 장애인단체(전국장애인부모연대 · 전국장애인야학협의회 · 한국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 ·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와 190여 개의 지역 장애인·시민사회·노동·인권·문화예술단체 그리고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회원(장비회원)으로 구성된 연대체입니다.

 

3. 작년 12월 31국회 본회의에서는 노선버스 대폐차 시 저상버스 의무도입과 특별교통수단 운영비 국고 지원 근거 마련을 골자로 한 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법』 의 개정안이 발의통과된 바 있습니다.

 

4. 그러나 특별교통수단의 운영비 국고 지원과 관련된 개정안은 당시 소관 상임위원회인 국토교통위원회(이하 국토위’)에서 심사될 때 기획재정부(이하 기재부’)의 격렬한 반대로 수정안으로 통과되었습니다원안인 국가 또는 도()가 광역이동지원센터의 설치·운영에 소요되는 자금의 일부를.......지원해야 한다.”가 할 수 있다” 조항으로 후퇴하였습니다.

 

5. 장애인의 이동권은 유엔장애인권리협약에서 규정한 자유권적인 기본권이며 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노동하고교육받고 함께 살아가기 위해서는 당연히 전제되어야 하는 필수조건입니다그러나 기재부는 예산 부족을 이유로 국가가 보장하여야 할 책무를 방기하였습니다.

 

6. 또한 법이 개정된 이후 기재부는 특별교통수단 운영비를 지원 할 수 있는 근거 조항이 마련되었음에도 소관 시행령인 보조금 관리에 대한 법률 시행령의 [별표 2. 보조금 지급 제외 사업>에 장애인특별운송사업(운영비 지원)”을 삭제하지 않고 있습니다이에 개정안 취지와 장애인의 이동권 보장이 수포로 돌아갈 위기에 처해있습니다.

 

7. 특히 특별교통수단의 운영비 지원은 전장연이 출근길 지하철 탑니다” 행동을 통해 기재부에 요구하고 있는 장애인 권리예산의 핵심입니다행동을 통해 재차 기재부에 확답을 요구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외면 받고 있습니다.

 

8. 이에 전장연은 지난 개정안의 사문화를 막기 위해 전국장애인이동권연대와 더불어민주당’ 산하 민생지원단 장애인권리보장팀과 특별교통수단 운영비 국고 지원 의무화광역이동 강화다양한 교통약자 지원강구를 골자로 장애인의 이동권 보장을 위한 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법』 개정안을 다시 발의하게 되었습니다.

특별교통수단 운영비 국고 지원 의무화

국가가 특별교통수단 운영비를 기초지자체에만 떠넘겨 지역 간 장애인 이동권 격차가 심화되고 있습니다운영비를 각 지자체 책임에 맡김에 따라 운전원이 부족해 야간에는 장애인콜택시 운행이 멈춰 아예 이동이 불가하거나하루 이틀 전에 미리 예약을 해야만 장애인 콜택시를 이용할 수 있는 지역이 상당수입니다작년 12월 31,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법이 개정되며 특별교통수단 운영비에 대한 국고 지원 근거가 마련되었으나 지원해야 한다가 아닌 지원할 수 있다로 필수 의행 사항이 아닙니다.

광역 이동 강화

먼저 비장애인이 지하철과 시외·고속버스광역급행버스 등으로 도시와 도시를 넘나드는 자유로운 광역 이동이 가능한데 반해 장애인의 광역 이동은 특별교통수단(장애인콜택시)이 아니라면거의 불가능합니다전국의 시외·고속버스 중 휠체어 이용 장애인이 탑승할 수 있는 차량은 2대에 불과합니다광역급행버스는 안전벨트 문제로 2층형 버스에만 휠체어탑승이 가능합니다그러나 특별교통수단마저도 지자체마다 운행범위가 다르고대부분 관내 혹은 인근 지역 까지만 운행함에 따라 장애인의 광역이동을 원천 봉쇄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교통약자 지원강구

일부 지자체는 휠체어를 이용하지 않으나 이동에 어려운 장애인을 지원하기 위해 자체 예산으로 택시 회사와 계약을 맺고 임차·바우처택시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그러나 특별교통수단(장애인콜택시)에 비해 요금이 비싸고지원체계가 복잡하여 실 이용이 어렵고 특별교통수단으로 수요가 몰려 휠체어 이용 장애인의 장애인 콜택시 대기시간이 길어지는 등 문제가 파생되고 있습니다.

 

9. 더불어 대표발의 해주신 천준호 의원공동발의 해주신 박찬대 의원최혜영 의원강민정 의원고민정 의원김영호 의원윤영덕 의원과 함께 기자회견을 개최하고자 합니다.

 

10. 21년간 이동권을 외쳐왔지만여전히 보장되지 않는 대한민국 현실 속에서 장애인의 완전한 이동권 보장을 위해 귀 언론사의 열띤 취재와 관심 부탁드립니다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기타 ⭐️ 교육 신청은 여기로 ⭐️ 한자협 09-13 4,737
33 보도&성명 200319_보도자료_장애인거주시설 <도란도란> 거주인의 탈시설- 자립 방해하는 대한성공회 서울교구 사회복지… kcil 03-19 4,531
32 보도&성명 200317_공동성명서_루디아의집 장애인인권재난 방관한 사회복지법인 선한목자재단 이사는 전원 사퇴하라! kcil 03-18 4,367
31 보도&성명 200317_성명_지자체의 무책임한 집단 코호트 격리 선언을 멈춰라! kcil 03-18 4,468
30 보도&성명 200304_보도자료_서울시 장애인거주시설 루디아의집 시설거주인 전원 탈시설지원 촉구 기자회견 kcil 03-12 5,332
29 보도&성명 200228_성명서_철거해야 하는 것은 마사회의 적폐와 열사를 죽음으로 몰아 넣는 노동환경이지, 열사를 추모… kcil 03-12 4,567
28 보도&성명 200227_성명서_더불어민주당 인재 1호 장애여성 최혜영 교수 부정수급 의혹 보도 및 활동지원서비스에 대한… kcil 03-12 4,610
27 보도&성명 200225_보도자료_‘격리수용’, ‘격리치료’ 인권 없는 차별적 코로나 대응, 국가인권위원회 긴급구제 기자… kcil 03-12 5,322
26 보도&성명 200225_보도자료_故 설요한 동료지원가 조문 농성 중단 기자회견 kcil 03-12 4,578
25 보도&성명 200224_성명서_죽고 나서야 폐쇄병동을 나온 이들을 애도하며 - 청도대남병원 코로나19 집단감염 사태, … kcil 03-12 4,510
24 보도&성명 200221_성명서_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은 故 설요한 죽음에 조문하고 권리중심-중증장애인기준의 공공일자리를… kcil 03-12 4,522
23 보도&성명 200218_보도자료_“고용노동부장관의 고 설요한 동료지원가 조문 및 장애인의 노동권 쟁취” 서울지역 시민사… kcil 03-12 4,500
22 보도&성명 200217_보도자료_‘메르스 이후, 4년! 소 잃고 결국 외양간도 못고친 복지부’ -코로나19 장애인 지원… kcil 03-12 5,269
21 보도&성명 200212_보도자료_故설요한동료지원가_죽음_이재갑장관 조문 및 면담 쟁취 투쟁 결의대회 kcil 03-12 4,471
20 보도&성명 200210_보도자료_장애인 활동지원 만65세 연령제한 피해자 국가인권위원회 긴급구제 진정 시정결정 촉구 기… kcil 03-12 5,118
19 보도&성명 200204_장애인차별철폐 2020총선연대 보도자료_21대 총선에 임하는 정당들은 21대 입법과제 정책협약 … kcil 03-12 4,521
18 보도&성명 200128_보도자료_'故설요한 동료지원가 죽음에 대한 이재갑 장관 사과 요구’ 서울고용노동첨 1층 로비 농… kcil 03-12 4,528
17 보도&성명 200123_보도자료_정치인의 장애인 「비하·혐오·차별」발언 퇴치 서명운동 선포식 kcil 03-12 4,542
16 보도&성명 200121_보도자료_설요한 동지 분향소 서울역 설치 기자회견 kcil 03-12 4,728
15 보도&성명 200117_보도자료_2020년 장애인예산 평가 및 2021년 장애인예산 쟁취 투쟁 선포 기자회견 kcil 03-12 4,916
14 보도&성명 200117_보도자료_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당대표 장애인차별발언 국가인권위원회 긴급진정 기자회견 kcil 03-12 5,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