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자

220802_[삭발투쟁결의문]_82일차, 최영동(진영장애인자립생활센터)

  • [결의문&발언문]
  • 한자협
  • 08-02
  • https://www.kcil.or.kr/post/481

563c5b28383358dac0e44b6f01e6be91.jpeg 

? 장애인권리예산 촉구 82차 삭발투쟁 결의문

“좀! 함께 살자!”

안녕하세요. 저는 27살 생일날 교통사고로 인하여 하반신 마비 판정을 받았고, 휠체어 없이는 이동할 수 없는 중증 장애인입니다. 사고가 난 후 치료받는 2년의 병원 생활은 큰 어려움 없이 생활하였습니다. 장애인 화장실이 층마다 있었고, 주 출입구 앞에는 항상 경사로가 있어 저 혼자서도 충분히 이동이 가능하였습니다.

병원 생활이 끝나고 집으로 오면서부터 내 삶은 변화하기 시작하였습니다. 휠체어가 접근 가능한 장애인 화장실이 없어 실수하는 일이 빈번했고, 그러다 보니 자존감이 떨어져 10년 동안 집에만 있었습니다. 점점 몸은 쇠약해지고 삶이 피폐해질 때쯤 이렇게 살면 안 되겠다 싶던 차에 자립생활센터를 알게 되었고 사회운동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밥 먹으려고 식당을 찾으면 경사로가 없어 돌아서는 경우, 식당이 좁아서 휠체어 손님은 받기 힘들다고 하면서 문을 닫는 경우, 행정복지센터 편의시설이 되어 있지 않아 장애인 혼자서 이용할 수 없는 경우 등 이것이 바로 중증장애인들의 삶입니다. 인도로 가다가 내려오는 경사로에 불법 주차로 인하여 지나왔던 길을 돌아가서 차도로 가는 경우, 인도가 울퉁불퉁 고르지 않아 차도로 가는 경우, 인도에 물건이 쌓여 있거나 가로수로 인하여 휠체어가 못 지나가는 경우 등 이럴 때마다 위험하다는 것을 알지만 어쩔 수 없이 차도로 가야만 했습니다. 이것이 현재 휠체어 탄 중증장애인의 이동권입니다.

저는 10년 전부터 경남에 있는 시외버스 터미널에서 “우리도 시외버스를 타고 고향가고 싶다.”라고 외쳤지만 여전히 경남에는 시외로 가는 저상버스가 단 한 대도 없습니다. 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지금도 표를 구입해도 버스를 탈 수가 없으며 여전히 10년 전과 똑같은 상황입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공약인 시외·고속 저상버스 확충의 경우 정부의 지원 없이는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고 지자체는 예산 문제 등으로 관련 인프라 확충에 난색을 표하고 있습니다. 여전히 정부는 예산 부족 문제로 장애인의 발을 묶고 있습니다.

아직도 장애인들은 집구석이나 시설에 처박혀 가족과 사회의 짐처럼 느끼며 살아 가고 있습니다. 장애가 있다는 이유만으로 가고 싶은 곳을 마음대로 갈 수 없는 것이 장애인이기 때문에 당연히 참아야 하는 것으로 여겼습니다. 그런데 보이지 않는 쇠사슬에 묶여 있던 장애인들이 탈 수 없었던 지하철의 선로를 점거하고 세상을 멈췄습니다. 장애를 이유로 차별과 억압을 운명으로 결정당했던 장애인 당사자들이 온몸과 선로에 사슬을 묶어 자신들을 억압했던 지하철과 세상에 대해 스스로 결정하겠다고 다짐하였습니다. 이러한 매우 강력한 실천투쟁을 통한 세상의 교체는 장애인의 주체성을 사회적으로 부각시키기에 충분했습니다.

인간이라면 누구나 누려야 할 권리, 바로 가장 기본적인 권리, 이동권을 보장받기 위해 청와대 앞에서, 국회의사당 앞에서, 기획재정부 앞에서, 광화문역에서 등 21년을 외쳤습니다. 저는 더 이상 보호받아야 할 사람, 치료받아야 할 환자가 아닌 최영동이라는 한 사람으로 당당하게 살아가고 싶습니다.


? 결의문 모아 보기: https://bit.ly/삭발결의문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기타 ⭐️ 교육 신청은 여기로 ⭐️ 한자협 09-13 4,278
426 결의문&발언문 220926_[삭발투쟁결의문]_114일 차, 민승찬·민승호(은평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자협 09-26 1,331
425 결의문&발언문 220923_[삭발투쟁결의문]_113일 차, 권오승(원주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자협 09-23 1,384
424 자료 '대한민국 제2⋅3차 병합 보고'에 대한 UN장애인권리위원회 최종 견해 번역본 한자협 09-22 1,743
423 결의문&발언문 220922_[삭발투쟁결의문]_112일 차, 박병근(동서울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자협 09-22 1,433
422 보도&성명 220921_[보도자료]_유엔 장애인권리협약(UN CRPD) 한국심의 최종견해 이행촉구 기자회견 진행 한자협 09-21 1,845
421 결의문&발언문 220921_[삭발투쟁결의문]_111일 차, 소형민(피플퍼스트 서울센터) 한자협 09-21 1,480
420 결의문&발언문 220920_[삭발투쟁결의문]_110일 차, 이상우(노들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자협 09-21 1,251
419 결의문&발언문 220916_[삭발투쟁결의문]_109일 차, 서지원(장애여성공감) 한자협 09-16 1,451
418 결의문&발언문 220906_[삭발투쟁결의문]_104일 차, 윤태일(동서울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자협 09-06 1,364
417 결의문&발언문 220902_[삭발투쟁결의문]_103일 차, 김운용(대구다릿돌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자협 09-05 1,407
416 결의문&발언문 220901_[삭발투쟁결의문]_102일 차, 염철수(한울림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자협 09-01 1,321
415 보도&성명 220902_[보도자료]_장애인활동지원기관 주민세종업원분 ᄉ… 한자협 09-01 1,382
414 결의문&발언문 220831_[삭발투쟁결의문]_101일차, 대추(노들장애인야학) 한자협 08-31 1,256
413 결의문&발언문 220830_[삭발투쟁결의문]_100일차, 빈운경(원주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자협 08-30 1,200
412 결의문&발언문 220829_[삭발투쟁결의문]_99일차, 김경용(가온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자협 08-29 1,140
411 보도&성명 220826_[보도자료]_장애계연대, 대한민국 정부의 책임 있는 유엔장애인권리협약 권고 이행 촉구 (2022… 한자협 08-27 1,178
410 결의문&발언문 220826_[삭발투쟁결의문]_98일차, 하연주(밀양장애인평생학교/밀양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자협 08-26 1,235
409 결의문&발언문 220825_[삭발투쟁결의문]_97일차, 신경수(민들레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자협 08-26 1,136
408 결의문&발언문 220824_[삭발투쟁결의문]_96일차, 이병호(두리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자협 08-24 1,181
407 결의문&발언문 220823_[삭발투쟁결의문]_95일차, 문혁(피플퍼스트 성북센터) 한자협 08-23 1,4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