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자

220819_[삭발투쟁결의문]_93일차, 주상은(경남정신장애인자립생활센터)

  • [결의문&발언문]
  • 한자협
  • 08-21
  • https://www.kcil.or.kr/post/500

e4e82e44f2aa4dc49fbf7a449cfc838f.jpg

? 장애인권리예산 촉구 93일차 삭발투쟁 결의문

경남정신장애인자립생활센터에서 활동하고 있는 주상은입니다.

2002년부터 불안한 삶의 시작이었습니다. 고등학교 시절 몸이 안 좋고 피곤해서 자고 있는데 과학 선생님이 저의 이름을 불러 깜짝 놀라며 일어났습니다. 그 순간 가슴이 두근거리고 얼굴이 화끈거렸습니다. 그 이후로 갑자기 뭔가 불안하고 시선을 자꾸 어디다 둘지 몰랐습니다. 그 이후로 주위의 친구들이 다 떠나고 남은 건 저 혼자였습니다. 항상 불안한 삶의 연속이었습니다. 그 이후로 6년 동안 저는 집에만 있고 밖을 나가지 않았습니다.

26살 때 어머니께서 대학교를 다시 다녀보지 않겠냐고 했을 때 솔직히 불안과 시선 불안도 있어 자신 없었지만 그래도 한번 가보자고 생각해서 안경광학과를 다니게 되었습니다. 대학교를 다니면서 시선불안증이 차츰 없어졌습니다. 새로운 사람들을 만날 때 그 시선은 제가 보는 것 같았지만 그것을 인식하는 건 나뿐이었습니다. 졸업하고 나서 안경사 국가고시에 합격해 면허증을 따려고 했지만, 항정신 약물을 복용하면 면허증이 나오지 않았습니다. 그 이후로 2주 동안 약을 끊어서 약물이 검출되지 않았고 면허증을 따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그 이후 약을 안 먹고 생활하니 급성 증상이 와서 갑자기 폭력적으로 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너무 우울해졌습니다. 그래서 결국 정신병원에 입원하게 되었습니다. 병원에 입원할 때 든 생각은 ‘이건 시설과도 똑같고 마치 감옥 같은 곳이구나’였습니다. 겉으로는 깨끗하고 좋아 보였지만 실상 거기서 할 수 있는 건 없었습니다. 병동 출입문엔 도어락이 설치되어 있고, 같은 옷을 입고 매번 같은 음식이 나오고, 음식 먹고 나면 자고 일어나서 또 음식 먹고 자고 약 먹고 자고⋯. 외출과 외박은 주치의의 허락이 있어야 되고. 이렇게 살게 만드는 병원은 정신장애인인 저의 주체성을 매우 훼손하고 수동적으로 만들며 사회에 대한 두려움을 더 키우는 곳이었습니다. 지금 코로나로 외출과 외박은 물론 산책도 제한된 상황에서만 할 수 있는 정신병원의 정신장애인들은 하루하루 고통 속에 살고 있습니다. 정신장애인이 병원에서 외출이나 외박, 퇴원을 했을 때 ‘왜 그렇게 날뛰고 돌아다니냐’ 물으시기 전에, 그 병원에서의 생활이 얼마나 억압적이고 하고 싶은 것들을 못 하는지를 생각해주셨으면 합니다.

저는 2019년 합천 고려병원 정신장애인 당사자 사망 사건을 계기로 창원시청에서 당사자로서 결의문 낭독도 하고 행진도 했습니다. 장애 유형의 구분 없이 모든 장애인분들이 같이 외치고 함께하는 모습이 정말 저에게는 감동이었고 한편으로는 고마웠습니다. 그리고 그 경험이 내가 주체성을 가지고 활동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저는 2021년부터 부모님의 집에서 나와 경남 진해장애인자립생활센터에서 하는 자립홈에 들어와 있습니다. 자립홈에 들어와 제가 느낀 건 주위에 자립하고 계시는 분들도 생각보다 많다는 것입니다. 지금의 저는 완전히 다른 삶을 살고 있습니다. 지역사회에 나와 당당히 살아가고, 차별과 편견에 맞서 싸우고 있습니다. 이전엔 장애인 마크가 무엇인지도 몰랐고 저상버스는 그냥 만들어지는 줄 알았습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이번 삭발 결의를 통해 앞으로 활동하는 데 있어 장애인 당사자로서의 삶의 주체성과 활동의 의미를 더욱 새기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시설과 폐쇄 정신병원은 다르지 않다고 봅니다. 지금도 시설과 병원에서 하루하루 힘겹고 고통 속에 사시는 분들을 위해, 지역사회에서 함께 어울리고 당당한 한 시민으로서 살 수 있도록 오늘 삭발투쟁을 합니다. 투쟁!


? 결의문 모아 보기: https://bit.ly/삭발결의문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기타 ⭐️ 교육 신청은 여기로 ⭐️ 한자협 09-13 4,590
46 보도&성명 200321_성명서_정부는 코로나19를 핑계로 한 장애인거주시설 1인1실 기능보강 예산 확보를 즉각 멈춰라! kcil 03-23 4,355
45 기타 200128_논평_서울시의 장애인탈시설팀 구성 환영 - 당사자의 권한강화를 중심으로 한 탈시설정책과 시설변환… kcil 03-23 4,929
44 보도&성명 200319_보도자료_장애인거주시설 <도란도란> 거주인의 탈시설- 자립 방해하는 대한성공회 서울교구 사회복지… kcil 03-19 4,519
43 보도&성명 200317_공동성명서_루디아의집 장애인인권재난 방관한 사회복지법인 선한목자재단 이사는 전원 사퇴하라! kcil 03-18 4,356
42 보도&성명 200317_성명_지자체의 무책임한 집단 코호트 격리 선언을 멈춰라! kcil 03-18 4,461
41 보도&성명 200304_보도자료_서울시 장애인거주시설 루디아의집 시설거주인 전원 탈시설지원 촉구 기자회견 kcil 03-12 5,324
40 보도&성명 200228_성명서_철거해야 하는 것은 마사회의 적폐와 열사를 죽음으로 몰아 넣는 노동환경이지, 열사를 추모… kcil 03-12 4,555
39 보도&성명 200227_성명서_더불어민주당 인재 1호 장애여성 최혜영 교수 부정수급 의혹 보도 및 활동지원서비스에 대한… kcil 03-12 4,599
38 보도&성명 200225_보도자료_‘격리수용’, ‘격리치료’ 인권 없는 차별적 코로나 대응, 국가인권위원회 긴급구제 기자… kcil 03-12 5,309
37 보도&성명 200225_보도자료_故 설요한 동료지원가 조문 농성 중단 기자회견 kcil 03-12 4,567
36 보도&성명 200224_성명서_죽고 나서야 폐쇄병동을 나온 이들을 애도하며 - 청도대남병원 코로나19 집단감염 사태, … kcil 03-12 4,499
35 보도&성명 200221_성명서_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은 故 설요한 죽음에 조문하고 권리중심-중증장애인기준의 공공일자리를… kcil 03-12 4,511
34 보도&성명 200218_보도자료_“고용노동부장관의 고 설요한 동료지원가 조문 및 장애인의 노동권 쟁취” 서울지역 시민사… kcil 03-12 4,487
33 보도&성명 200217_보도자료_‘메르스 이후, 4년! 소 잃고 결국 외양간도 못고친 복지부’ -코로나19 장애인 지원… kcil 03-12 5,261
32 보도&성명 200212_보도자료_故설요한동료지원가_죽음_이재갑장관 조문 및 면담 쟁취 투쟁 결의대회 kcil 03-12 4,462
31 보도&성명 200210_보도자료_장애인 활동지원 만65세 연령제한 피해자 국가인권위원회 긴급구제 진정 시정결정 촉구 기… kcil 03-12 5,106
30 보도&성명 200204_장애인차별철폐 2020총선연대 보도자료_21대 총선에 임하는 정당들은 21대 입법과제 정책협약 … kcil 03-12 4,510
29 보도&성명 200128_보도자료_'故설요한 동료지원가 죽음에 대한 이재갑 장관 사과 요구’ 서울고용노동첨 1층 로비 농… kcil 03-12 4,515
28 보도&성명 200123_보도자료_정치인의 장애인 「비하·혐오·차별」발언 퇴치 서명운동 선포식 kcil 03-12 4,531
27 보도&성명 200121_보도자료_설요한 동지 분향소 서울역 설치 기자회견 kcil 03-12 4,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