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23_보도자료_정치인의 장애인 「비하·혐오·차별」발언 퇴치 서명운동 선포식
- [보도&성명]
- kcil
- 03-12
- https://www.kcil.or.kr/post/88
정치인의 ‘장애인차별발언’ 이제는 STOP!
장애인차별과 비하표현이 없는 21대 국회로!!
정치인의 장애인 「비하·혐오·차별」발언
퇴치 서명운동 선포식
⚪ 일시 : 2020년 1월 23일(목) 오후 2시
⚪ 장소 : 서울역 대합실
⚪ 주최 :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1. 공정 보도를 위해 노력 하시는 귀 언론사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2.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상임공동대표 박명애 / 아래 ‘전장연’)는 장애인에 대한 차별을 철폐하고, 장애인의 기본적 권리를 쟁취하기 위하여 전국규모의 법정·비법정 장애인단체(전국장애인부모연대 · 전국장애인야학협의회 · 한국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 ·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와 190여 개의 지역 장애인·시민사회·노동·인권·문화예술단체 그리고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회원(장비회원)으로 구성된 연대체입니다.
3. 최근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의 “선천적인 장애인은 후천적인 장애인보다 의지가 상대적으로 약하다.”는 장애인차별발언과 이에 대해 자유한국당에서 발표한 성명 또한 차별적 발언으로 비판을 받으면서 정치권의 장애인 차별선동이 또 다시 되풀이되고 있습니다. 2018년 이해찬 대표의 정신장애 비하 발언 이후 2019년까지 홍준표 전대표, 황교안 대표, 하태경 대표, 여상규 의원 등 정치인들의 장애인비하발언은 재발방지대책 마련과 큰 반성 없이 이어져왔고, 이에 대한 국가인권위원회 진정은 결국 각하되었습니다.
4. 거대 정당 대표들과 유력 정치인들의 이러한 발언들은 장애문제에 대한 그들의 반인권적인 인식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대한 사안이며, 그 인식은 결국 장애인과 가족들에 대한 정책의 한계로 이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UN장애인권리협약이 2008년 인준되었지만 장애인 인권침해에 대한 다양한 사건들에 대해서 오히려 국회 스스로가 차별을 방조하고 확산시키고 있다는 비판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을 것입니다.
5. 국회의원 선거가 다가오면 당내 경선부터 후보자들의 정책 및 자질 검증 등 다양한 형태로 국회의원으로서 적격한지 검증이 진행됩니다. 장애인과 가족들의 보편적 권리 보장을 위한 다양한 정책 검증도 진행되어야 하지만,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끊임없이 되풀이 되고 있는 반인권적인 정치인들의 장애문제에 대한 인식부터 검증하는 것이어야 합니다.
6. 전장연은 지난 21일 더불어민주당 당사 앞에서 이해찬 당대표의 반성문 제출을 촉구하며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를 포함한 차별발언 이력이 있는 정당과 정치인들에게도 이 문제에 대한 재발방지대책 마련을 촉구하겠다고 선언했습니다. 이를 위해 민족 최대의 명절인 설연휴 21대 총선을 앞둔 주요 정당들과 후보자들을 상대로 장애인비하발언이 더 이상 발생해서는 안 된다는 대시민 서명운동을 시작하려고 합니다.
7. 이에 전장연은 1월 23일(목) 오후2시 서울역 대합실에서 본격적인 서명운동을 선포하고자 합니다.
8. 귀 언론사의 적극적인 관심과 보도를 요청합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