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자

[성명] 230427_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장애인복지시설(화)를 단호히 거부한다!

  • [보도&성명]
  • 한자협
  • 04-27
  • https://www.kcil.or.kr/post/587
첨부파일

42d32fc5bb06915037ed07647656ec8e.jpg 

[성명] 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장애인복지시설(화)를 단호히 거부한다!

- 장애인복지법 일부개정법률안(이종성의원 등 11인)의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 통과에 부쳐 -


 2023년 4월 27일(목)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를 통해 국민의 힘 이종성 의원이 대표발의한 ‘장애인복지법 일부개정법률안’이 통과되었다.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는 해당 법안이 장애계의 의견 수렴조차 거치지 않고 졸속 처리 되었다는 사실에 깊은 유감을 표명하며, 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본질을 훼손하는 법안 철회 투쟁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밝힌다.

 통과된 법안은 장애인복지법 제 58조(장애인복지시설) 안에 장애인자립지원시설을 신설하고 하위 유형으로 장애인자립생활센터를 두도록 하는 법안이다. 이는 이종성 의원이 장애인의 탈시설 권리는 소거한 채 거주시설의 서비스기관 전환에 방점을 두고 발의한 ‘장애인의 지역사회 정착지원 등에 관한 법률’을 전제한 ‘장애인복지법전부개정안’ 중 일부를 현행법에 적용시킨 방식이다.

 탈시설을 위한 전향적 논의가 축소되고 기존의 시설을 재배치하려는 정책적 흐름 가운데 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본질과 역사성이 훼손될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장애인자립생활센터에 대한 부족한 지원의 원인이 불완전한 법적 지위 때문이라며 장애인복지시설 진입을 대안이라 선전하는 이들이 있다.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만 보는 격으로 매우 빈약한 관점이다. 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법적지위는 이미 확보되어 있다. 장애인복지법 ‘제4장 자립생활의 지원’ 중 ‘제54조’를 통해 독립적으로 명시되어 있다. 

 문제의 원인은 장애인 탈시설·자립지원체계에 무책임하고 자립생활센터를 괄시한 정부이지, 복지시설로의 진입 여부가 아니다. ‘장애인복지시설을 통한 법적지위 확보’라는 왜곡된 명분은 그 자체로 매우 무책임하다. 예산의 논리 아래 통제와 관리·감독의 대상이자 주체가 되겠다는 말과 다르지 않으며, 국가 보조금의 근거를 지방이양시킬지도 모른다는 우려와 장애인 당사자들의 지위가 위협받을 수 있다는 현장의 목소리들을 애써 외면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자조적이기까지 하다.

 장애인을 무권리의 존재로 묶어두는 사회에서 장애인자립생활센터는 중증장애인 당사자들이 딛고 설 발판이 되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요구는 권리운동체이자 서비스 기관으로써, 장애인의 자력화를 도모하고 ‘시설화’의 요인을 제거할 수 있는 대안적 주체로서 획득한 차별적 위상의 강화로 이어져야 한다.

 장애인의 탈시설 권리를 부정하는 세력을 등에 업고 탈시설에 역행하는 정책을 내세우는 이들, 변혁적 주체라는 위용과 독립적이고 대안적인 제도적 위상 정립의 책임을 포기하고 왜곡된 허상을 좇는 자조적 무리들을 똑똑히 기억할 것이다.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는 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위상을 훼손하고, 장애계의 의견수렴 과정조차 거치지 않은 ‘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복지시설(화)’ 법안의 저지를 위해 강경한 투쟁을 전개할 것이다.


2023년 4월 27일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카드뉴스 [소송원고인단 모집 글] 대한민국의 접근권 침해에 대한 국가배상청구 소송 원고인단, '김순석들'을 모집합니다… 한자협 04-29 75
공지 보도&성명 [성명] 장애인활동지원 ‘가족 급여’ 확대 정책은 기만이다. 보건복지부는 ‘권리 기반 지원’에 투자하라! 한자협 11-18 1,040
공지 보도&성명 ‘장애인자립생활권리보장법’은 ‘검토’가 아니라 ‘협조’해야 하는 법안이다 한자협 10-28 1,191
공지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자협 창립 21주년 자립생활운동 총궐기 대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권리-중심 한자협 10-15 929
공지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자협 창립 21주년 자립생활운동 총궐기 대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권리-중심 한자협 10-15 955
공지 기타 ⭐️ 교육 신청은 여기로 ⭐️ 한자협 09-13 2,671
89 보도&성명 210112_[보도자료]누구도 배제하지 않는 탈시설 장애인당 창당대회 kcil 01-15 1,952
88 보도&성명 210104_[보도자료]2021년 장애인차별철폐 투쟁선포식 kcil 01-07 1,854
87 보도&성명 201217_[보도자료]코로나19 전염병 상황 1년! K방역에서 완전히 배제된 장애인 -코로나19 장애인 확… kcil 12-18 1,956
86 보도&성명 201210_[보도자료]장애인 탈시설지원법 발의 환영 및 제정 촉구를 위한 기자회견 kcil 12-18 1,947
85 보도&성명 201202_[성명]코로나19 팬데믹 시대, 시설에서 살아갈 수 있는가? - 13차 UN CRPD 당사국회의… kcil 12-04 1,563
84 보도&성명 201128_[보도자료]민주노총 중앙임원선거 네 후보에 대한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장애인 노동정책 관련 질의… kcil 12-01 2,065
83 보도&성명 201103_[성명]이룸센터는 설립 취지에 따라 모든 장애인을 위한 공간으로 거듭나라! -모든 장애인이 이용… kcil 11-19 2,481
82 보도&성명 201027_[보도자료]장애인탈시설지원법 제정 촉구 및 2021년 장애인예산 쟁취 전국 집중 결의대회 kcil 10-29 2,223
81 보도&성명 201023_[보도자료]장애인탈시설지원법 제정 '당신이 잇는 거리'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13주년&노란들판의… kcil 10-27 2,459
80 보도&성명 201015_[보도자료]_15년을 기다렸습니다. 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법 개정을 위한 장애인들의 행진(Disab… kcil 10-22 2,339
79 보도&성명 201009_[성명]문재인 대통령의 사회서비스원법 조속한 제정 입장을 환영한다. kcil 10-12 1,838
78 보도&성명 200929_[보도자료]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위한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면담촉구 결의대회. kcil 10-05 2,324
77 보도&성명 200918_[보도자료]김순석-열사 추모동상, 기념관 추진위원회 제안 기자회견 및 김순석 열사 36주기 추모… kcil 09-18 2,508
76 보도&성명 200917_[성명]'슈펴예산' 중앙정부는 장애인 생존권을 위한 울트라 예산을 편성하고 책임을 다하라! kcil 09-18 1,789
75 보도&성명 200904_[성명]_공공의료 포기하고 밀실거래 추진하는 정부를 규탄한다! -정부는 시민사회의 참여를 통한 … kcil 09-15 1,925
74 보도&성명 [성명]_200903_무자격자 오선아는 선한목자재단 대표이사 사칭 중단하고, 파렴치한 불복소송 취하하라! kcil 09-04 2,623
73 보도&성명 200826_[성명] 국가인권위의 정치인의 장애인비하발언 재발방지 권고결정 늦었지만 적극 환영한다. kcil 08-28 3,005
72 보도&성명 200821_[보도자료]1842일 광화문 지하도 농성 8주년 기자회견 kcil 08-28 2,695
71 보도&성명 200813_[성명]정부는 장애인건강권법 실효성 확보하여 장애인의 죽음을 방치하지 말라. - 대한의사협회는 … kcil 08-13 2,967
70 보도&성명 200813_[보도자료]의사협회 파업 반대! 공공의료, 장애인주치의 강화 촉구 기자회견 kcil 08-13 2,7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