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자

[성명서] 더불어민주연합 비례대표 국민후보 선출은 유엔장애인권리협약을 위반한, 기울어진 운동장의 결과물이었다.

  • [보도&성명]
  • 한자협
  • 03-12
  • https://www.kcil.or.kr/post/613
첨부파일
20240312_배너_성명서_한자협_더불어민주연합_비례대표_국민후보_선출.jpg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회장 : 최용기 주소: (03086)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숭길 25, 유리빌딩 5층 506호 전화 (02) 738-0420 | 팩스 (02)-6008-2973 | E-mail: kc-cil@hanmail.net">kc-cil@hanmail.net | 홈페이지: kcil.or.kr

담당한자협 정책실 (02-738-0420)
배포일자2024.3.12.(화)
제목더불어민주연합 비례대표 국민후보 선출은 유엔장애인권리협약을 위반한, 기울어진 운동장의 결과물이었다.
붙임자료


더불어민주연합 비례대표 국민후보 선출은 유엔장애인권리협약을 위반한, 기울어진 운동장의 결과물이었다.


국민후보 선출 심사기준에는 ‘1. 경력평가’와 ‘2. 정책비전평가’ 분야에서 ‘사회경제적 불평등해소와 민주개혁진보적인 변화’를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국민후보 선출 과정 자체가 불평등하였다. 심사위원회는 비장애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장애인을 배제하고 차별했던 관습에서 벗어나지 못한 구성은 비장애 중심의 점수 및 심사 결과로 그대로 이어졌다.


시각장애여성 서미화 후보는 자기 소개에서 “저는 중 2때부터 시각장애인이 되었습니다. 학창 시절 시각 장애여성으로서 이중적 차별을 수없이 경험했습니다. 그래도 대학을 졸업하면 괜찮을 줄 알았는데 비장애중심 사회에서 저는 시혜와 동정의 대상일 뿐이었습니다.”고 소개했다. 그런데 그 이중적 차별이 이번 선출과정에서 그대로 답습되었다. 비장애 중심주의 사회에서 시혜와 동정의 대상일 뿐이라는 익숙한 절망은 ‘소리를 보는’ 하나의 연결 방식마저 막아버린 꼴이었다.


더불어민주연합의 민주개혁진보세력은 5.18 광주 민주화 운동과 87년 체제를 통해 군사독재에 저항한 민주주의의 가치로 성장하였다. 지금까지 민주개혁진보세력의 노고와 성과는 평가받아 마땅하다. 그러나 정권은 바뀌었어도 그동안 장애인은 철저히 배제되었고, 장애인에 대한 구조적이고 지속적인 장애인차별은 제대로 개선되지 않았다. 그 과정에서 장애인의 완전한 통합과 참여는 무시되거나 정치인의 액세사리와 같은 치장물로 쓰였다. 이번 국민후보 선출은 그나마 액세사리 취급당했던 차별적 상황에서 비장애중심주의로 짜여진 각본 같은 불평등하고 차별적인 과정을 압축적으로 보여준 것이다.


서미화 후보는 장애인도 시민으로 이동하는 시대를 목놓아 외쳤다. 더불어민주연합은 이번 선출과정에서 나타난 차별적 상황을 인정하고 장애인과 사회적 약자들이 ‘시민으로 이동하는 시대’를 어떻게 만들어야 할지, 정치참여를 보장함으로 증명하길 바란다.


유엔장애인권리협약은 제29조 정치와 공적 생활 참여에서 ‘장애인이 공적활동을 수행함에 있어, 차별 없이 그리고 다른 사람들과 동등한 기초 위에서, 효과적이고 완전하게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적극적으로 증진’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 이번 국민후보 선출은 유엔장애인권리협약 제29조 장애인이 공적활동을 수행함에 있어 차별한 것임을 명심하길 바란다.


더불어민주연합은 유엔장애인권리협약을 위반한 것이다. 더불어민주연합이 유엔장애인권리협약 위반을 시정하고 장애인도 시민으로 이동하는 시대를 정치참여 보장으로써 책임있게 보여줄 것을 촉구한다.

2024. 3. 12.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카드뉴스 [소송원고인단 모집 글] 대한민국의 접근권 침해에 대한 국가배상청구 소송 원고인단, '김순석들'을 모집합니다… 한자협 04-29 73
공지 보도&성명 [성명] 장애인활동지원 ‘가족 급여’ 확대 정책은 기만이다. 보건복지부는 ‘권리 기반 지원’에 투자하라! 한자협 11-18 1,035
공지 보도&성명 ‘장애인자립생활권리보장법’은 ‘검토’가 아니라 ‘협조’해야 하는 법안이다 한자협 10-28 1,188
공지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자협 창립 21주년 자립생활운동 총궐기 대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권리-중심 한자협 10-15 927
공지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자협 창립 21주년 자립생활운동 총궐기 대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권리-중심 한자협 10-15 954
공지 기타 ⭐️ 교육 신청은 여기로 ⭐️ 한자협 09-13 2,668
41 보도&성명 200304_보도자료_서울시 장애인거주시설 루디아의집 시설거주인 전원 탈시설지원 촉구 기자회견 kcil 03-12 5,153
40 보도&성명 200228_성명서_철거해야 하는 것은 마사회의 적폐와 열사를 죽음으로 몰아 넣는 노동환경이지, 열사를 추모… kcil 03-12 4,412
39 보도&성명 200227_성명서_더불어민주당 인재 1호 장애여성 최혜영 교수 부정수급 의혹 보도 및 활동지원서비스에 대한… kcil 03-12 4,476
38 보도&성명 200225_보도자료_‘격리수용’, ‘격리치료’ 인권 없는 차별적 코로나 대응, 국가인권위원회 긴급구제 기자… kcil 03-12 5,183
37 보도&성명 200225_보도자료_故 설요한 동료지원가 조문 농성 중단 기자회견 kcil 03-12 4,425
36 보도&성명 200224_성명서_죽고 나서야 폐쇄병동을 나온 이들을 애도하며 - 청도대남병원 코로나19 집단감염 사태, … kcil 03-12 4,381
35 보도&성명 200221_성명서_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은 故 설요한 죽음에 조문하고 권리중심-중증장애인기준의 공공일자리를… kcil 03-12 4,394
34 보도&성명 200218_보도자료_“고용노동부장관의 고 설요한 동료지원가 조문 및 장애인의 노동권 쟁취” 서울지역 시민사… kcil 03-12 4,355
33 보도&성명 200217_보도자료_‘메르스 이후, 4년! 소 잃고 결국 외양간도 못고친 복지부’ -코로나19 장애인 지원… kcil 03-12 5,127
32 보도&성명 200212_보도자료_故설요한동료지원가_죽음_이재갑장관 조문 및 면담 쟁취 투쟁 결의대회 kcil 03-12 4,332
31 보도&성명 200210_보도자료_장애인 활동지원 만65세 연령제한 피해자 국가인권위원회 긴급구제 진정 시정결정 촉구 기… kcil 03-12 4,981
30 보도&성명 200204_장애인차별철폐 2020총선연대 보도자료_21대 총선에 임하는 정당들은 21대 입법과제 정책협약 … kcil 03-12 4,376
29 보도&성명 200128_보도자료_'故설요한 동료지원가 죽음에 대한 이재갑 장관 사과 요구’ 서울고용노동첨 1층 로비 농… kcil 03-12 4,383
28 보도&성명 200123_보도자료_정치인의 장애인 「비하·혐오·차별」발언 퇴치 서명운동 선포식 kcil 03-12 4,387
27 보도&성명 200121_보도자료_설요한 동지 분향소 서울역 설치 기자회견 kcil 03-12 4,572
26 보도&성명 200117_보도자료_2020년 장애인예산 평가 및 2021년 장애인예산 쟁취 투쟁 선포 기자회견 kcil 03-12 4,750
25 보도&성명 200117_보도자료_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당대표 장애인차별발언 국가인권위원회 긴급진정 기자회견 kcil 03-12 4,993
24 기타 200106_입장문_이해찬 당대표의 “결과적으로 여러 가지 좀 상처를 줬다고 하면 죄송하다” 발언은 사과가 … kcil 03-12 4,665
23 보도&성명 200106_보도자료_장애인활동지원_만65세연령제한폐지_운동본부발대식 kcil 03-12 4,724
22 보도&성명 200103_보도자료_장애인활동지원 서비스 본인부담금 과금 폭탄 규탄 기자회견 kcil 03-12 5,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