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자

[보도자료-사후] 4대 장애인권리입법 연내 제정 촉구! 11.04. 자립생활위기 비상행동 전국동시다발 다이인Die-in 퍼포먼스 진행 (9차 다이인 행동)

  • [보도&성명]
  • 한자협
  • 11-04
  • https://www.kcil.or.kr/post/630
첨부파일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보도자료 
회장: 최용기 
주소: (03086)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숭길 25, 유리빌딩 5층 506호 
전화: (02) 738-0420 | 팩스 (02)-6008-2973 | E-mail: kc-cil@hanmail.net | 홈페이지: kcil.or.kr

담당정다운 사무총장 (010-6293-0357)
배포일자2024.11.04.(월)
제목

[보도자료-사후] 4대 장애인권리입법 연내 제정 촉구! 11.04. 자립생활위기 비상행동 전국동시다발 다이인Die-in 퍼포먼스 진행 (9차 다이인 행동)

붙임자료

[붙임] 11.04. 자립생활위기 비상행동 전국동시다발 다이인Die-in 퍼포먼스 스케치 사진


4대 장애인권리입법 연내 제정 촉구! 11.04. 자립생활위기 비상행동 전국동시다발 다이인Die-in 퍼포먼스 진행 (9차 다이인 행동)

— 전국의 장애인자립생활운동 활동가들 500여 명, 11개 광역자치단체(경기, 경남, 경북, 광주, 대구, 서울, 세종, 인천, 전남, 전북, 충북)에서 전국동시다발 다이인 Die-in 퍼포먼스 진행 —

— 정기국회 개회 64일 지났지만, 장애인자립생활권리보장법 등 4대 장애인권리입법 논의되지 않고 있어 … 연내 제정 촉구 —

  1. 공정 보도를 위해 노력하시는 귀 언론사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2.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회장 최용기, 이하 한자협)는 장애인이 비장애인과 동등한 권리를 보장 받아 지역사회로의 완전한 참여와 통합을 이룰 수 있도록 장애인의 권익옹호, 탈시설을 지원하며 비장애인 중심 사회의 차별 철폐를 위해 활동하는 장애인자립생활센터(11개 광역협의회 96개소)의 전국적인 협의체입니다.

  3. 11월 4일(월) 전국의 장애인자립생활운동 활동가들은 불의한 권력에 의해 대한민국 장애인의 권리가 총체적으로 후퇴하고 있는 작금의 현실을 알리며, 이 위기 상황에 정치권과 시민사회의 경각심, 연대와 행동을 촉구하기 위해 <4대 장애인권리입법 연내 제정 촉구! 11.04. 자립생활위기 비상행동 전국동시다발 다이인Die-in 퍼포먼스 (9차 다이인 행동)>를 진행했습니다. 전국 동시다발 다이인 행동은 11개 광역자치단체(경기, 경남, 경북, 광주, 대구, 서울, 세종, 인천, 전남, 전북, 충북)에서 각 지역 장애인자립생활센터 및 장애인 운동 활동가들 500여 명이 함께 참여했습니다.
    ○ 각 지역별 일시 및 장소

    <서울> 오전8시, 혜화역 5-4 승강장 (동대문역 방향) <경기> 오전11시, 수원역1호선 <경남> 오전11시, 3.15민주묘역 민주광장 <경북> 오후2시, 더불어민주당 경북도당(안동) <광주> 오전11시, 더불어민주당 광주시당 <대구> 오전11시, 동대구역 KTX 대합실 <세종> 오전11시, 세종시청 <인천> 오전11시, 인천1호선 부평역 승강장 <전남> 오전11시, 목포역 광장 <전북> 오후2시, 익산역 <충북> 오전11시, 청주성안길

  4. 2024년 11월 4일은 22대 국회 첫 정기국회가 개회하고 64일차가 되는 날로, 국회는 국정감사를 마치고 본격적인 예산심의를 앞두고 있는 날입니다. 이에 전국의 장애인자립생활센터와 장애인 운동 활동가들은 22대 국회 정기회의에서 4대 장애인권리입법(교통약자이동권보장법·장애인자립생활권리보장법·권리중심중증장애인맞춤형공공일자리지원특별법)의 법안 논의와 통과를 강력히 촉구했습니다.
    ○ 4대 장애인권리입법 내용 요약

    교통약자이동권보장법 ‘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법’을 ‘교통약자의이동권보장법’으로 변경 | 버스·택시·항공·처도 등 모든 교통수단과 여객시설 및 도로 등에 대한 이용·접근 보장 | 장애유형을 포괄한 이동편의시설 및 서비스의 기준 확립과 전달체계 마련

    장애인자립생활권리보장법 ‘장애인복지법 제4장 자립생활 지원’ 강화 개정법안(장애인복지법 일부개정법률안) | 유엔장애인권리협약 제19조에 기반한 ‘자립생활 권리’의 명시 | 장애인의 자립생활 권리 실현을 위한 인프라 강화 및 중증장애인의 자주적 결성체로써의 ‘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지위 보장

    장애인권리보장법 유엔장애인권리협약 등 국제적 인권 기준에 발 맞춘 장애 개념의 사회화 등 장애인의 구체적 권리를 명시한 기본법 | 대통령 직속의 국가장애인위원회, 장애인의 필요와 욕구를 사정하는 국기장애서비스공단, 권리구제 및 심사 불복 권한 강화를 위한 장애인권익옹호기관 강화, 장애인 관련 연구개발을 위한 독자적 체계로서의 국가장애연구원 등 지원체계 고도화

    권리중심중증장애인맞춤형공공일자리지원특별법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의 중증장애인의 사회참여와 노동권 보장에 대한 책임 규정 | 장애인 중 장애정도가 심한 장애인만을 지원 대상으로 한정하여, 노동현장에서 만성적으로 배제되고 차별받는 중증장애인의 노동권을 증진

  5. 윤석열 정부 취임 이후 장애인의 자립생활 권리가 총체적으로 후퇴하고 있습니다. 유엔장애인권리협약 등 국제적 인권 기준에 해당하는 ‘탈시설’은 국가의 정책과 행정에서 자취를 감췄으며, 윤석열 정부의 최일선에서 진두지휘하며 반인권적 정책과 권리 약탈을 주도하고 있는 오세훈 서울시장은 중증장애인 400명을 해고하고 거주시설 장애인의 탈시설을 위한 경로를 원천 봉쇄했습니다.

  6. 동시에 윤석열 정부, 오세훈 서울시장, 이들에 복무하는 세력들은 자립생활 운동 활동가들을 본격적으로 탄압하고 있습니다. 시설 중심의 대한민국 복지 지형에서 장애인을 주체로, 동료성을 기반으로 발전해 온 장애인자립생활센터들이 장애인의 시민적 권리를 주장했다는 이유로 ‘불법·폭력 조장 단체, 장애인을 유치하여 막대한 수익을 내는 단체’로 왜곡하고 폄하하고 있습니다. 특히 21대 국회에서는 장애인자립생활센터를 복지시설로 편입하는 장애인복지법 개악안이 통과되었고, 장애인의 권리를 증진시키기 위한 운동의 거점으로써 발전해온 장애인자립생활센터가 그 정체성과 자주성을 상실하고 행정 권력에 더욱 강력히 기속될 우려가 심각히 제기되고 있습니다.

  7. 이에 전국 500여 명의 장애인자립생활운동 활동가들은 전국 각지에서 마치 죽은 사람처럼 공공장소나 땅에 누움으로써 비장애중심사회의 억압과 고통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다이인 퍼포먼스를 진행하였습니다. 다이인 퍼포먼스 참가자들은 “자립생활위기 지금 당장 행동하라!”, “STRIKE for all! STRIKE for Independent Living!”, “2024년 정기국회 임기 내로 4대 장애인권리입법 제정하라!” 구호를 외치며, “장애인의 자립생활과 장애인의 권리가 죽어가고 있다”, “이번 정기국회에서 4대 장애인권리입법을 반드시 통과해야 한다”라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8. 귀 언론의 많은 관심과 보도 부탁드립니다. 끝.

[붙임] 11.04. 자립생활위기 비상행동 전국동시다발 다이인Die-in 퍼포먼스 스케치 사진

사진 다운로드 링크 : https://drive.google.com/drive/folders/1PHCsYOA8VnDqYyPuN7elQ0Y2qOyDnGTI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카드뉴스 [소송원고인단 모집 글] 대한민국의 접근권 침해에 대한 국가배상청구 소송 원고인단, '김순석들'을 모집합니다… 한자협 04-29 71
공지 보도&성명 [성명] 장애인활동지원 ‘가족 급여’ 확대 정책은 기만이다. 보건복지부는 ‘권리 기반 지원’에 투자하라! 한자협 11-18 1,034
공지 보도&성명 ‘장애인자립생활권리보장법’은 ‘검토’가 아니라 ‘협조’해야 하는 법안이다 한자협 10-28 1,187
공지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자협 창립 21주년 자립생활운동 총궐기 대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권리-중심 한자협 10-15 922
공지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자협 창립 21주년 자립생활운동 총궐기 대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권리-중심 한자협 10-15 952
공지 기타 ⭐️ 교육 신청은 여기로 ⭐️ 한자협 09-13 2,666
301 보도&성명 220421_[보도자료]_’제27차 출근길 지하철 탑니다.’ 재개에 따른 입장 (2022.4.21.(목)) 한자협 04-28 548
300 보도&성명 220420_[입장문]_인수위 장애인정책 브리핑에 대한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의 입장 한자협 04-28 638
299 보도&성명 220420_[보도자료]_전국탈시설장애인연대 출범식 한자협 04-28 656
298 보도&성명 220419_[보도자료]_2022년 21회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투쟁결의대회 (2022. 4. 20.(수)… 한자협 04-28 655
297 보도&성명 220418_[보도자료]_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의 날 맞이, 제 20대 윤석열 정부에 따른 인수위에 대한 입… 한자협 04-28 568
296 보도&성명 220415_[보도자료]_장애인권리예산 인수위 답변 촉구를 위한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8차 삭발 투쟁 결의식… 한자협 04-28 529
295 보도&성명 220414_[보도자료]_4.14(목) 2022 Disability Pride - 국회는 장애인평생교육법과 … 한자협 04-28 761
294 보도&성명 220411_[보도자료] 04.11(월) 양천향교역 에스컬레이터 휠체어 추락 참사 서울시 공식사과 촉구 지하… 한자협 04-13 698
293 보도&성명 220411_[보도자료] 장애인권리예산 및 SMA 치료제 보험적용 확대와 의료 접근권 확보를 위한 기자회견 한자협 04-13 481
292 보도&성명 220408_[성명서] 양천향교역 에스컬레이터 장애인 추락 사망 서울시는 공식 사과하라! 한자협 04-13 653
291 보도&성명 220408_[보도자료] 장애인권리예산 인수위 답변 촉구를 위한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8차 삭발 투쟁 결의식… 한자협 04-13 641
290 보도&성명 220407_[논평] 탈시설로 대전환! 장애인정책의 패러다임 변화를 만들기 위하여 정부와 국회는 책임을 다하… 한자협 04-13 568
289 보도&성명 220407_[논평]이준석 국민의힘 당대표는 갈라치기에 비아냥정치의 귀재인가. 한자협 04-13 569
288 보도&성명 220406_[보도자료] 4.7(목) 장애인권리예산 인수위 답변 촉구를 위한 7차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삭발… 한자협 04-13 547
287 보도&성명 220405_[보도자료]서울시 휠체어리프트 추락사망사고 책임 공식 사과 및 서울시 장애인탈시설지원조례 제정 … 한자협 04-12 687
286 보도&성명 220405_[입장문] (서울장차연) 두 번의 공식적 장애인 이동권 보장 약속, 두 번의 파기’ 서울시의 책… 한자협 04-12 536
285 보도&성명 220405_[보도자료] 4.5(화) 장애인권리예산 인수위 답변 촉구를 위한 5차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삭발… 한자협 04-12 506
284 보도&성명 220331_[보도자료] 3.31(목) 장애인교육권 완전보장을 위한 장애인들의 행진(Disability Pr… 한자협 04-12 538
283 보도&성명 220328_[성명서] 더이상 죽음을 지켜볼 수 없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청은 하루빨리 장애인을 코로나19… 한자협 04-12 514
282 보도&성명 220324_[보도자료] 2022년 420장애인차별철폐공동투쟁단 출범식 및 18회 전국장애인대회 (2022.… 한자협 04-12 6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