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한자협 소장단 온라인 정책학교
- 한자협
- 04-28
- https://www.kcil.or.kr/post/386

2022년 한자협 소장단 온라인 정책학교
? 일시 : 2022.05.13.(금) ~ 06.03.(금) (매주 금요일), 14시 ~ 16시
? 참여 방식 : 신청자 온라인 참여
? 참여 대상 : 한자협 회원센터 소장단 필참 + 원하는 활동가 참여 가능
? 참가비 : 1인 100,000원
? 신청링크 : https://bit.ly/2022정책학교
? 목적
- 한자협 사무국은 매년 장애인 운동사와 주요 정책 현황 및 투쟁 과제를 주제로 1센터 1교육을 진행하고 있음. 이는 센터 활동가들이 센터 내 실무 뿐 아니라, IL센터가 지역사회 장애인 자립생활 및 탈시설 운동의 거점으로서의 위상을 갖고 있음을 잊지 않도록 추동하고, 센터와 한자협 사무국 간의 소통 창구로 활용 중인 주요 조직 사업임.
- 하지만 센터별 교육만으로는 광범위하고 빠르게 집행되는 사안별 투쟁과 정책 현안들을 적절하게 전달하기에 한계가 존재. 이에 코로나 이후 온라인 교육이 보편화됨에 따라 2021년부터 한자협 사무국에서 집중하는 의제별로 온라인 교육을 진행하였음.
- 2022년 대선 이후 보수정권이 집권하게 됨에 따라 투쟁의 이슈들은 더욱 촘촘하게 구성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 이에 한자협은 각 회원센터의 소장 및 활동가들이 빠르게 변화하는 정책 사안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온라인 정책학교를 제안하고자 함.
? 목표
- 여의도 이룸센터 앞 농성장을 거점으로 한 장애인 권리 예산 및 민생4법 투쟁의 핵심 내용에 대해 각 센터 소장 및 활동가들이 명확하게 숙지할 수 있도록 함.
- 장애인 권리보장법, 탈시설지원법 제정의 의미와 법안의 주요 쟁점 사안에 대해 이해할 수 있음.
- 교통약자편의증진법 개정 이후 이동권 투쟁의 쟁점 사안에 대해 확인함.
- 장애인 평생교육이 가지는 의미를 이해하고, 장애인 평생교육법 제정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봄.
- 장애인 주요 정책 현안에 대해 명확하게 이해함으로써 각 센터의 이용자들의 상황에 대해 발 빠르게 대응할 수 있음.
? 내용
1️⃣ 장애인 권리보장법&서비스법 바로 알기 (5월 13일, 금, 14시)
- 법안의 의미와 핵심 내용
- 법안심사소위 이후 쟁점 사안
김기룡 (중부대학교 특수교육학과 교수)
2️⃣ 지하철에서의 관계 변화 - 교통약자편의증진법 개정 이후 투쟁 전망 (5월 20일, 금, 14시)
- 여전히 ‘이동권’인 이유 : 2022년 이동권 투쟁의 쟁점
- 지역 간 이동권 차별 철폐
이재민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정책실 활동가)
3️⃣ 배울 권리에 대하여 - 장애인 평생교육법 제정의 필요성 (5월 27일, 금, 14시)
- 2023년 요구안을 중심으로 평생교육법 제정의 필요성 알아보기
박경석 (전국장애인야학협의회 이사장)
4️⃣ 장애인 탈시설지원법 법안 파헤치기 (6월 3일, 금, 14시)
- 법안 내용 제대로 알기
- 핵심 사안 족집게로 뽑아내기
임소연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전 사무총장)
? 4강 모두 수강 시 수료증이 발급됩니다.
? 문의 : 김수경 010-2408-1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