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자

[성명] 장애인활동지원 ‘가족 급여’ 확대 정책은 기만이다. 보건복지부는 ‘권리 기반 지원’에 투자하라!

  • [보도&성명]
  • 한자협
  • 11-18
  • https://www.kcil.or.kr/post/632

[성 명] 장애인활동지원 ‘가족 급여’ 확대 정책은 기만이다. 보건복지부는 ‘권리 기반 지원’에 투자하라!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활동보조위원회

회 장 : 최용기

위원장 : 서기현

전화 02-738-0420 | 팩스02-6008-2973 | 메일 kc-cil@hanmail.net | 홈페이지


 배포일자

 2024.11.18

 담  당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활동보조위원회 간사 백인혁(010-3928-1780)

 제  목

 [성 명] 장애인활동지원 ‘가족 급여’ 확대 정책은 기만이다. 보건복지부는 ‘권리 기반 지원’에 투자하라!


40556c3f4628818b09d71d48867219d0.png
 

2024년 11월 1일부터 보건복지부는 장애인활동지원 가족급여 허용을 전격적으로 확대했다. 그동안 활동지원기관과 인력이 없는 섬과 벽지, 천재지변이나 감염병 같은 피치 못 할 조건에서 제한적으로 허용하던 가족급여 대상자를 희귀질환자까지 확대하고, 가족급여의 대상이 되는 최중증발달장애인의 기준을 정하여 발표한 것이다.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활동보조위원회는 보건복지부의 가족급여 시행이 장애인활동지원의 목적과 취지를 훼손하고, 지원에 대한 국가적 책무를 은폐시켜버리는 조치임을 분명히 밝히며, 가족 급여 같은 미봉적이고 기만적인 조치가 아닌 예산의 획기적 확대를 통한 ‘권리 기반 지원’의 책임을 촉구하는 바이다.


장애인활동지원은 중증장애인 자립생활의 초석과 다름없다. 비가족 인력에 의한 지원과 반대급부 지급을 통해, ‘자선 행위’는 ‘노동’으로, ‘사적 돌봄’은 ‘공적 지원’으로 변화함으로써 중증장애인의 사회권은 비로소 윤곽을 잡을 수 있었다. 가족의 돌봄에 예속될 수 밖에 없었던 삶, 거주시설에 감금될 수 밖에 없었던 삶의 조건을 변혁하기 위한 중증장애인들의 치열한 투쟁으로부터 장애인활동지원은 만들어졌고 발전되어 왔다.


이번 보건복지부의 가족급여 확대 시행은 이 같은 제도의 취지와 역사성을 정면으로 위반함으로써 공적 지원의 국가적 책무를 ‘가족의 돌봄 인정’이라는 시혜성 조치로 은폐시키는 역행적 조치에 다름 아니다.


대한민국은 유엔장애인권리협약 비준 국가로써 장애인의 완전한 지역사회 참여와 통합을 위해, 중증장애인이 비장애인과 동등한 권리의 주체로 자신의 삶을 선택하고 통제하는데 필요한 모든 지원을 제공해야 할 책임이 있다. 그 책임이란 중증장애인에 대한 모든 지원을 ‘권리 기반’으로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한 인프라의 확충과 예산의 획기적 증액을 의미한다.


지원 공백 속 중증장애인의 사망, 가족에 의한 장애인의 살인과 그 가족의 자살이라는 비극이 지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이 비극을 막기 위한 최소한의 노력마저 방기하고 외면해왔다. 최중증장애인 24시간 활동지원, 지원 인력의 처우 개선 및 중증장애인 기피 문제 해소를 위한 가산 체계 확립 등, 최소한 ‘이것만이라도 해달라’는 현장의 절규는 언제나 예산과 효율성의 논리, 동등한 분배라는 헛된 핑계 앞에 좌절되고 또 좌절되어 왔다.


장애등급제 가짜 폐지, 서비스지원 종합조작, 권리 삭감 개인예산제와 같은 국가의 기만 가운데 ‘필요한 사람에게 필요한 만큼!’이라는 장애인활동지원의 원칙은 제도권 밖에서 공허히 울려펴졌다. 이제 그 반열에 화룡정점으로써 ‘가족 급여’가 합류하게 되었다. 지원 노동의 가치 폄하, ‘가족 돌봄’을 통한 ‘공적 지원’의 예산 절감, 최중증 독거장애인의 유기 등 이번 조치로 인해 ‘권리 기반 지원’을 향한 중증장애인들의 염원은 한 걸음 더 멀어진 것이다.


탈시설 자립생활의 권리를 총체적으로 부정하며, 기어이 장애인과 가족의 관계를 또 다시 돌봄으로 예속시키고자 하는 이 퇴행을 목도하며 하나의 문구를 상기하지 않을 수 없다.

역사적으로 장애인은 삶의 모든 영역에 걸쳐 개인의 선택과 통제의 권리를 부정당해 왔다. 많은 장애인이 스스로 선택한 지역사회에서 자립적으로 살 수 없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지원 제도는 이용할 수 없거나 특정 거주 조건에 묶여 있고, 지역사회 인프라는 보편적으로 설계되지 않는다. 자원은 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자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는 가능성의 개발이 아니라 시설에 투자된다. 이는 유기, 가족에의 의존, 시설화, 고립, 분리로 이어졌다.

<유엔장애인권리협약 일반논평 제5호(2017) - 협약 제19조 : 자립적 생활과 지역사회 포용>


여전히 대한민국의 중증장애인은 ‘유기, 가족에의 의존, 시설화, 고립, 분리’의 역사를 살아가고 있다. 암담한 역사에 종지부를 찍고자 했던 분투의 역사를 되새기며, 무책임과 기만으로 점철되어 값싸고 손쉬운 해결책을 앞세우는 이 정부를 향해 자립생활의 권리를 다시 한 번 천명하며 요구한다.


장애인은 ‘돌봄’과 ‘시혜’의 수혜자가 아니다. 국가는 중증장애인과 가족의 완전한 사회 참여와 통합을 위해 ‘필요한 모든 지원’에 투자하라. ‘필요한 사람에게 필요한 만큼’, 최중증장애인 24시간 활동지원과 중증장애인 지원을 위한 인프라 확충에 예산을 투입하라.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활동보조위원회는 지원에 대한 ‘국가적 책임’을 촉구하며, 국가가 그 책임을 ‘의무’로 이행하도록 만드는 것에 어떠한 노력도 마다하지 않을 것이다.

2024년 11월 18일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활동보조위원회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카드뉴스 [소송원고인단 모집 글] 대한민국의 접근권 침해에 대한 국가배상청구 소송 원고인단, '김순석들'을 모집합니다… 한자협 04-29 61
공지 보도&성명 [성명] 장애인활동지원 ‘가족 급여’ 확대 정책은 기만이다. 보건복지부는 ‘권리 기반 지원’에 투자하라! 한자협 11-18 1,029
공지 보도&성명 ‘장애인자립생활권리보장법’은 ‘검토’가 아니라 ‘협조’해야 하는 법안이다 한자협 10-28 1,164
공지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자협 창립 21주년 자립생활운동 총궐기 대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권리-중심 한자협 10-15 917
공지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자협 창립 21주년 자립생활운동 총궐기 대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권리-중심 한자협 10-15 930
공지 기타 ⭐️ 교육 신청은 여기로 ⭐️ 한자협 09-13 2,661
28 보도&성명 200227_성명서_더불어민주당 인재 1호 장애여성 최혜영 교수 부정수급 의혹 보도 및 활동지원서비스에 대한… kcil 03-12 4,474
27 보도&성명 200225_보도자료_‘격리수용’, ‘격리치료’ 인권 없는 차별적 코로나 대응, 국가인권위원회 긴급구제 기자… kcil 03-12 5,180
26 보도&성명 200225_보도자료_故 설요한 동료지원가 조문 농성 중단 기자회견 kcil 03-12 4,424
25 보도&성명 200224_성명서_죽고 나서야 폐쇄병동을 나온 이들을 애도하며 - 청도대남병원 코로나19 집단감염 사태, … kcil 03-12 4,379
24 보도&성명 200221_성명서_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은 故 설요한 죽음에 조문하고 권리중심-중증장애인기준의 공공일자리를… kcil 03-12 4,392
23 보도&성명 200218_보도자료_“고용노동부장관의 고 설요한 동료지원가 조문 및 장애인의 노동권 쟁취” 서울지역 시민사… kcil 03-12 4,353
22 보도&성명 200217_보도자료_‘메르스 이후, 4년! 소 잃고 결국 외양간도 못고친 복지부’ -코로나19 장애인 지원… kcil 03-12 5,125
21 보도&성명 200212_보도자료_故설요한동료지원가_죽음_이재갑장관 조문 및 면담 쟁취 투쟁 결의대회 kcil 03-12 4,330
20 보도&성명 200210_보도자료_장애인 활동지원 만65세 연령제한 피해자 국가인권위원회 긴급구제 진정 시정결정 촉구 기… kcil 03-12 4,980
19 보도&성명 200204_장애인차별철폐 2020총선연대 보도자료_21대 총선에 임하는 정당들은 21대 입법과제 정책협약 … kcil 03-12 4,375
18 보도&성명 200128_보도자료_'故설요한 동료지원가 죽음에 대한 이재갑 장관 사과 요구’ 서울고용노동첨 1층 로비 농… kcil 03-12 4,381
17 보도&성명 200123_보도자료_정치인의 장애인 「비하·혐오·차별」발언 퇴치 서명운동 선포식 kcil 03-12 4,385
16 보도&성명 200121_보도자료_설요한 동지 분향소 서울역 설치 기자회견 kcil 03-12 4,570
15 보도&성명 200117_보도자료_2020년 장애인예산 평가 및 2021년 장애인예산 쟁취 투쟁 선포 기자회견 kcil 03-12 4,749
14 보도&성명 200117_보도자료_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당대표 장애인차별발언 국가인권위원회 긴급진정 기자회견 kcil 03-12 4,991
13 보도&성명 200106_보도자료_장애인활동지원_만65세연령제한폐지_운동본부발대식 kcil 03-12 4,721
12 보도&성명 200103_보도자료_장애인활동지원 서비스 본인부담금 과금 폭탄 규탄 기자회견 kcil 03-12 5,363
11 보도&성명 200102_보도자료_인권위_장애인비하발언_진정각하_기자회견 kcil 03-12 4,807
10 보도&성명 200102_보도자료_고_설요한_동료지원가_살려내라_서울고용노동청점거 kcil 03-12 4,934
9 보도&성명 200101_보도자료_우동민열사 9주기 kcil 03-12 5,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