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자

220222_[논평] 법에 명시된 이동권을 권리라고 부르지도 못하는가! 홍길동이 되어버린 장애인의 설움, 오호통재라!- 장애인 시외이동권 소송 원심판결을 파기 환송한 대법원 판결에 부쳐

  • [보도&성명]
  • 한자협
  • 04-11
  • https://www.kcil.or.kr/post/329

[논평] 법에 명시된 이동권을 권리라고 부르지도 못하는가! 홍길동이 되어버린 장애인의 설움, 오호통재라!

- 장애인 시외이동권 소송 원심판결을 파기 환송한 대법원 판결에 부쳐

02.22_이동권권리_홍길동.jpg

2014년 장애인인권단체들은 국가와 서울시․경기도, 버스회사를 상대로 차별 구제 및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냈다. 원심은 ‘원고들이 고속버스, 광역버스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버스회사들이 원고들에게 휠체어 승강설비 등 승하차 편의를 제공하라’고 판결했다. 그러나 2022년 2월 17일 대법원은 이러한 판단이 비례의 원칙에 반해 과도하다고 판단하고 원심을 파기 환송하였다. 8년을 기다린 대법원 선고였지만, 이로써 21년의 장애인 이동권 보장 외침에도 불구하고 장애인의 자유로운 이동은 또다시 기약 없이 유보되었다.

 

대법원은 원심이 피고 버스회사들에게 “즉시, 모든 버스에” 휠체어 탑승설비를 제공하도록 명한 것은 위법하다고 보았다. 대법원은 휠체어 탑승설비 설치 대상 노선은 원고들이 향후 탑승할 ‘구체적․현실적 개연성이 있는 노선’으로 하되, 그 노선 범위 내에서 피고 버스회사들의 재정상태 등을 감안하여 휠체어 탑승설비를 단계적으로 설치해나가도록 했어야 한다고 판결했다.

 

그러나 시외·고속버스의 경우 휠체어 이용자가 탑승 가능한 차량은 2021년 기준 7대에 불과하다. 기반 자체가 없어 이용하지 못하는데 거꾸로 이용가능성을 기준으로 탑승설비를 설치하라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 장애인이 ‘향후 탑승할 노선’이라는 ‘구체적․현실적 개연성’이라는 것은 대체 누가 어떻게 판단할 수 있다는 말인가. 비장애인은 언제든 누릴 수 있는 이동의 자유를, 장애인은 ‘향후 탑승할 노선’에 한해서만 보장하라는 대법원의 판결 자체가 명백한 차별이다.

 

또한 대법원은 원심이 국가 및 지자체에게 차별 책임을 지울 수 없다고 판단한 것은 옳다고 판시했다. 교통약자가 모든 교통수단을 차별없이 이용하여 이동할 권리가 규정되고 교통약자에게 승하차 편의를 제공할 의무가 법률화된지 17년이 지났고 장애인차별금지법이 만들어져 이동 및 교통수단에서 차별받지 않을 권리를 명시한지도 14년이 흘렀다. 장애인은 고속버스 등 시외이동수단을 이용할 수 없는 명백한 차별을 당하고 있지만 국가와 지자체의 교통약자에 대한 이동권 보장 책임은 빠졌고 그 몫은 민간사업자에게 떠넘겨졌다.

 

혹자들은 세상 살기 좋아졌다고 말한다. 지하철에는 엘리베이터가 생겼고 저상버스도 눈에 익다. 그러나 아직도 갈 길이 멀다. 2021년 12월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이 개정되었다. 해당 개정안에 따르면 노선버스 운송사업자

 

가 운송차량을 대․폐차할 경우 저상버스를 의무적으로 도입해야 한다. 그러나 도로의 구조․시설 등이 저상버스의 운행에 적합하지 않다고 승인받는 경우에는 저상버스 의무 도입에서 제외된다.

 

이처럼 장애인 이동권 실현은 아직도 갈 길이 멀지만 이번 대법원 판결 파기 환송으로 인해 또다시 후퇴하고 말았다. “법에 명시된 이동권을 권리라고 부르지도 못하는가! 홍길동이 되어버린 장애인의 설움, 오호통재라!” 법에 명시된 권리를 권리로써 보장할 예산의 책임을 정부와 국회가 회피해왔고, 사법부는 이를 용인하였다. 대한민국은 삼권분립 국가가 아니라 삼중차별 국가였던 것이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를 비롯한 장애인인권단체들은 장애인의 이동권, 교육권, 탈시설권리의 실현을 위해 정부의 장애인 권리예산 보장을 촉구하는 출근선전전을 혜화역에서 54일째, 대선후보의 장애인 권리예산 보장 약속을 촉구하는 지하철타기 캠페인을 20일째 진행하고 있다.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가 저지른 삼중차별 탓에 매일 아침 시민들과 마찰을 겪고 있지만 장애인도 평등하게 권리를 보장받아 자유롭게 이동하고, 평등하게 교육받고, 감옥 같은 거주시설에서 살지 않는 세상에 다다를 때까지 우리는 결코 멈추지 않을 것이다.

 

2022.02.22.

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전국장애인부모연대, 전국장애인야학협의회, 한국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기타 ⭐️ 교육 신청은 여기로 ⭐️ 한자협 09-13 4,313
213 보도&성명 211224_[보도자료]성탄절 맞이 전국 탈시설 미사 한자협 04-11 416
212 보도&성명 211223_[성명서] 서울교통공사의 손해배상청구 탄압에도 불구하고 연대하는 시민들과 함께 투쟁을 멈추지 않… 한자협 04-11 396
211 보도&성명 211222_[성명] 장애인 이동권 보장, 교통약자법 국회 국토상임위 통과를 환영한다. 한자협 04-11 539
210 보도&성명 211222_[성명서] 장애인 인권침해 가해자를 비호하는 대구사회복지사협회를 강력 규탄한다! 한자협 04-11 504
209 보도&성명 211216_[보도자료] 20211217_여주라파엘의집_학대사건_서울시 규탄 기자회견 한자협 04-11 510
208 보도&성명 211220_[보도자료] 12.20(월) 기획재정부 장애인 이동권 보장 반대 규탄 결의대회+지하철직접타기 (… 한자협 04-11 496
207 보도&성명 211212_[성명서] 12월 22일 국토교통위원회 교통법안소위를 맞아 : 정부와 국회는 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 한자협 04-11 558
206 보도&성명 211213_[보도자료] 12.13(월) 장애인평생교육법 · 장애인권리보장법 · 장애인탈시설지원법 연내 제정… 한자협 04-11 458
205 보도&성명 211210_[성명서] 21대 국회는 UN장애인권리협약 위반말고 장애인권리보장법·장애인탈시설지원법을 반드시 … 한자협 04-11 520
204 보도&성명 211206_[성명서] 장애인이동권 보장 지하철출근 선전전도 막는 혜화역 엘리베이터 이용 원천봉쇄 경악한다 한자협 04-11 410
203 보도&성명 211206_[보도자료] 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법 연내 개정 촉구 지하철 출근 선전전_211206 한자협 04-11 520
202 보도&성명 211202_[보도자료] 「2022년 장애인 생존권 예산」 쟁취! 세계 장애인의 날 맞이 1박2일 농성투쟁 … 한자협 04-11 418
201 보도&성명 211201_[성명서] With 코로나? Without "장애인"! 장애인에 대한 위드 코로나 대책을 마련하… 한자협 04-11 372
200 보도&성명 211124_[보도자료]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제2법안심사소위원회는 양대법안(권리보장법·탈시설지원법) 원안 통… 한자협 04-11 456
199 보도&성명 211124_[보도자료] 중증·중복 발달장애인의 탈시설 이후 삶의 변화 보고회 “그저 함께 살아간다는 것” … 한자협 04-11 512
198 보도&성명 211125_[보도자료]_탈시설장애인당_전국선거유세_활동_탈탈원정대[해단식] 한자협 04-11 380
197 보도&성명 211119_[보도자료] 탈시설 당사자와 가족 증언대회 개최 “분리가 아닌 공존의 시대로,탈시설” (2021… 한자협 04-11 518
196 보도&성명 211118_[보도자료]_탈시설장애인당_전국선거유세_활동_탈탈원정대_출정식 한자협 04-11 434
195 보도&성명 211117_[보도자료] 11.17(수) 장애인교육권 완전보장을 위한 장애인들의 행진(Disability P… 한자협 04-11 429
194 보도&성명 211115_[보도자료] “지원주택 사람들” 북 콘서트 개최 (2021.11.15.(월) 15:00, 유튜브… 한자협 04-11 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