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자

220420_[입장문]_인수위 장애인정책 브리핑에 대한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의 입장

  • [보도&성명]
  • 한자협
  • 04-28
  • https://www.kcil.or.kr/post/374

인수위 장애인정책 브리핑에 대한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의 입장

 

2022. 4. 20.()

 

인수위는 청와대 앞에서 전국장애인부모연대의 발달장애인과 그 가족 555명이 삭발하고 있는 시점에 42회 장애인의 날을 앞두고장애와 비장애와의 경계 없는 사회 구현을 위한 장애인 정책 관련 브리핑을 했습니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는 전두환 군사독재 시절부터 시작된 81년 420일 시혜와 동정의 장애인의 날(당시 명칭 심신장애자의 날‘)’을 2001년 오이도역 지하철리프트 추락참사가 발생하고다음해 2002년부터 장애인차별철폐의 날로 호명하며장애인의 권리를 쟁취하기 위해 20년째 투쟁하고 있습니다

 

금일 인수위에서 브리핑한 장애인 정책은 장애인차별을 철폐하기는커녕21년째 외치고 있는 장애인들의 기본적인 시민권을 보장하기에 너무나 동떨어지고추상적인 검토에 불과했습니다.

 

아울러 인수위는 전장연에서 제시한 23년에 반영되어야 할 장애인권리예산과 관련하여서도 구체적인 답변을 하지 않았습니다.

 

인수위의 브리핑이 전장연의 제안을 검토한 결과라면더 이상 소통을 통한 장애인들의 시민권 보장이 의미를 지니기 어려울 것이라는 심각한 문제의식을 느낄 수밖에 없습니다

 

이에 우리는 21일 오전7시부터 경복궁역(3호선), 시청역(2호선), 광화문역(5호선) 3군데에서 동시에 27차 출근길 지하철을 탑니다를 진행하려 합니다.

 

전장연은 죽을지언정 장애인의 권리가 잊히지 않게 하겠습니다. 21년 동안 외치고 기다려도 기본적인 장애인들의 시민권도 보장되지 않는 비장애인들만의 문명사회는 장애인에겐 비문명사회일 뿐입니다.

 

 

 

전장연이 제시한 장애인권리예산과 장애인권리보장 정책에 대한 분야별 세부의견

 

<보건복지분야(복지부)>

 

1. 장애인개인예산제는 전장연이 제시하고 있는 장애인권리예산에 대한 기본적인 입장 없이 실현 불가능한 정책입니다지금은 장애인개인예산제보다 장애인권리예산제가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입니다.

 

2. 장애인이용자의 서비스 선택권은 예산으로 먼저 보장되어야 합니다중증장애인은 하루 24시간 지원이 필요한 게 현실인데 중앙정부 차원에서 하루 16시간만 5명에게 제공(하단 표 참조)하고 있는 이 상황에서 중증장애인에게 어떤 선택지가 남아 있겠습니까. UN장애인권리협약이 제시한 지역사회에서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탈시설권리를 보장하는 발달장애인국가책임제와 하루 24시간 지원체계를 구축하는 지역 차원의 계획이 존재하지 않아 장애인거주시설에서 살아갈 수밖에 없는 발달장애인들에게 어떤 선택지가 남아 있겠습니까.

 

[종합조사 15 구간별 수급자 현황 (2021년 7월 기준)

(단위 , %)

 

구분

수급자 수

구간

점수

월 한도액

월 제공

시간

하루최대

이용시간

인원

비율

1구간

465점 이상

6,730,000

480

16

5

0.006%

1.67%

2구간

435점 이상~465점 미만

6,309,000

450

15

90

0.10%

3구간

405점 이상~435점 미만

5,889,000

420

14

528

0.61%

4구간

375점 이상~405점 미만

5,468,000

390

13

385

0.44%

5구간

345점 이상~375점 미만

5,048,000

360

12

90

0.10%

6구간

315점 이상~345점 미만

4,627,000

330

11

362

0.42%

7구간

285점 이상~315점 미만

4,206,000

300

10

926

1.06%

13.1

8구간

255점 이상~285점 미만

3,786,000

270

9

1,010

1.16%

9구간

225점 이상~255점 미만

3,365,000

240

8

2,215

2.54%

10구간

195점 이상~225점 미만

2,945,000

210

7

2,742

3.14%

11구간

165점 이상~195점 미만

2,524,000

180

6

4,569

5.23%

12구간

135점 이상~165점 미만

2,103,000

150

5

12,245

14.02%

85.2%

13구간

105점 이상~135점 미만

1,683,000

120

4

26,597

30.46%

14구간

75점 이상~105점 미만

1,262,000

90

3

26,514

30.36%

15구간

42점 이상~75점 미만

842,000

60

2

9,053

10.37% 

-

-

-

-

87,331

100%

 

※ 현 인정조사 1~4등급 25,750산정특례자 9,710명 제외.

※ 보건복지부 제출자료최혜영의원실 재구성

 

3. 장애인 일자리돌봄지원체계 강화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와 발달장애인 주간 및 방과후 서비스 확대는 지난 21년 동안 양당이 번갈아 집권하며 이미 약속한 내용의 반복에 불과합니다

 

4.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증·발달장애인은 여전히 마이너스(-) 수준의 나락 속에서 지역사회에서 배제되고 격리된 채 목숨을 이어가고 있으며지역사회에서 사람과 관계를 맺으며 함께 살아갈 수 있는 희망의 근거조차 가질 수 없었습니다인수위의 계획은 중증·발달장애인들을 또다시 희망고문만 반복하도록 만들고중증·발달장애인의 현실을 언론과 비장애인들이 알지 못하도록 가려버리는 무책임한 선전입니다.

 

5. 또한 인수위의 브리핑에는 탈시설예산을 언급조차 하지 않고 있으며언론 보도에 따르면 장애인단체 간의 이견으로 탈시설예산을 언급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UN장애인권리협약 제19일반논평 5()에 근거한 탈시설(deinstitutionalization) 권리와 개념 그리고 용어 사용은 장애인단체 간의 이견으로 언급할지 말지 검토할 문제가 아닙니다. 인수위가 UN장애인권리위원회에서 보장하라고 말하는 탈시설권리를 못 지키겠다면, UN장애인권리위원회와 다투어야 할 문제입니다이러한 점에 비추어 인수위는 장애인단체 간 이견이라는 매우 부적절한 핑계를 대면서탈시설예산 책임을 회피하고 있을 뿐입니다.

 

 

자립적 생활과 지역사회 포용에 관한 일반논평 5호 (2017)

서론

역사적으로 장애인은 삶의 모든 영역에 걸쳐 개인의 선택과 통제의 권리를 부정당해 왔다많은 장애인이 스스로 선택한 지역사회에서 자립적으로 살 수 없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지원 제도는 이용할 수 없거나 특정 거주 조건에 묶여 있고지역사회 인프라는 보편적으로 설계되지 않는다자원은 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자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는 가능성의 개발이 아니라 시설에 투자된다이는 유기가족에의 의존시설화고립분리로 이어졌다.

 

 

<이동권 분야(국토부)>

 

1. ‘23년부터 시내버스 저상버스 의무 교체는 21년 12월에 교통약자의 이동편의증진법 개정으로 이미 의무화한 내용입니다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고속·시외버스 도입 확대는 언제까지 얼마나 할 것인지 명확한 계획을 제시하지 않았고 마을버스시외저상버스는 언급조차 없습니다

 

2. 장애인콜택시 법정대수 100% 도입은 5년 후 윤석열 대통령의 임기가 마치는 27년까지가 아니라 23년에 즉각 지켜져야 할 최소한의 기준입니다윤석열 대통령 임기 5년이 끝날 즈음에 법정대수 도입률 100% 달성 계획은 이보다 더 무책임 할 수 없는 브리핑입니다

 

3. 지역 간 장애인 이동권의 차별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전장연의 중점적인 요구안은 법정대수의 문제보다 장애인콜택시 광역이동 보장과 광역 간 이동 연결, 24시간 운영즉시콜이용요금 지역별 격차 해소휠체어/비휠체어 장애인 구분해 이용할 수 있는 임차택시 등 운영비 지원에 대한 국비지원 근거 마련이었습니다

 

4. 이를 위해 즉시 기획재정부 소관 보조금법 시행령 4조에 (별표2)의 중앙정부 차원의 보조금 지급 금지 사항을 삭제하고, (별표1)의 보조금 지급대상과 지급률에 (서울 50%. 지방 70%)의 지원근거를 먼저 명시해야 합니다이에 대한 책임은 명백히 기획재정부가 입장을 밝혀야 합니다.

 

 

<고용 분야(고용노동부)>

 

1. 시장에서 배제된 중증장애인에 대한 어떠한 고용대책은 언급조차 없습니다

 

2. 전장연이 제시한근로능력이 없다고 여겨져서 최저임금기준도 적용되지 않는 최중증장애인과 탈시설장애인에게 지방정부에서 마련한, ‘UN장애인권리협약을 홍보하고협약에 근거한 권리를 이행하는 일자리인 권리중심중증장애인맞춤형공공일자리에 대한 기준 마련 조차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장애인평생교육분야(교육부)>

 

1. 국회 교육위원회 여야 전·현직 교육위원장(유기홍조해진)이 대표 발의한 장애인평생교육법‘ 제정에 대한 입장과 장애인평생교육시설의 중앙정부 예산 지원에 대한 언급도 없었습니다.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카드뉴스 [소송원고인단 모집 글] 대한민국의 접근권 침해에 대한 국가배상청구 소송 원고인단, '김순석들'을 모집합니다… 한자협 04-29 49
공지 보도&성명 [성명] 장애인활동지원 ‘가족 급여’ 확대 정책은 기만이다. 보건복지부는 ‘권리 기반 지원’에 투자하라! 한자협 11-18 1,013
공지 보도&성명 ‘장애인자립생활권리보장법’은 ‘검토’가 아니라 ‘협조’해야 하는 법안이다 한자협 10-28 1,164
공지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자협 창립 21주년 자립생활운동 총궐기 대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권리-중심 한자협 10-15 900
공지 보도&성명 [보도자료] 한자협 창립 21주년 자립생활운동 총궐기 대회, 장애인자립생활센터, 자립생활-권리-중심 한자협 10-15 930
공지 기타 ⭐️ 교육 신청은 여기로 ⭐️ 한자협 09-13 2,646
288 보도&성명 220428_[보도자료]_4.28(목) 2022교육감선거대전장애인연대와 성광진 대전광역시교육감 예비후보 정책… 한자협 05-12 612
287 보도&성명 220427_[논평]_장애인의 하루도 비장애인과 동일한 24시간이기에 한자협 04-28 553
286 보도&성명 220427_[보도자료]_4.28(목) 장애인권리·민생4법 제·개정 촉구 Disability Pride 행진… 한자협 04-28 527
285 보도&성명 220426_[사후 보도자료]_4월 임시국회 내 장애인평생교육법과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ㆍ개정 촉구… 한자협 04-28 572
284 보도&성명 220426_[보도자료]_장애인 권리예산 중앙정부 책임강화 국회 연속토론회 제1회차 “장애인 이동권 지역 간… 한자협 04-28 639
283 보도&성명 220425_[성명서]_전장연의 지하철 캠페인은 교통방해죄라는 사법처리의 기준으로 판단할 문제가 아니다.(2… 한자협 04-28 553
282 보도&성명 220425_[보도자료]_장애인권리․민생4법 제․개정 촉구 Disability Pride 행진 국회는 ‘검수… 한자협 04-28 646
281 보도&성명 220425_[보도자료]_4.26(화) 4월 임시국회 내 장애인평생교육법과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ㆍ… 한자협 04-28 565
280 보도&성명 220424_[보도자료]_전장연 지하철행동의 경찰조사에 따른 기자회견, ‘경찰은 수십년간 장애인권리를 위반 … 한자협 04-28 656
279 보도&성명 220422_[보도자료]_4.22(금) '제28차 출근길 지하철을 탑니다’ 장애인권리예산 기획재정부 답변 촉… 한자협 04-28 557
278 보도&성명 220421_[보도자료]_’제27차 출근길 지하철 탑니다.’ 재개에 따른 입장 (2022.4.21.(목)) 한자협 04-28 548
277 보도&성명 220420_[입장문]_인수위 장애인정책 브리핑에 대한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의 입장 한자협 04-28 638
276 보도&성명 220420_[보도자료]_전국탈시설장애인연대 출범식 한자협 04-28 655
275 보도&성명 220419_[보도자료]_2022년 21회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투쟁결의대회 (2022. 4. 20.(수)… 한자협 04-28 653
274 보도&성명 220418_[보도자료]_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의 날 맞이, 제 20대 윤석열 정부에 따른 인수위에 대한 입… 한자협 04-28 567
273 보도&성명 220415_[보도자료]_장애인권리예산 인수위 답변 촉구를 위한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8차 삭발 투쟁 결의식… 한자협 04-28 528
272 보도&성명 220414_[보도자료]_4.14(목) 2022 Disability Pride - 국회는 장애인평생교육법과 … 한자협 04-28 760
271 보도&성명 220411_[보도자료] 04.11(월) 양천향교역 에스컬레이터 휠체어 추락 참사 서울시 공식사과 촉구 지하… 한자협 04-13 697
270 보도&성명 220411_[보도자료] 장애인권리예산 및 SMA 치료제 보험적용 확대와 의료 접근권 확보를 위한 기자회견 한자협 04-13 480
269 보도&성명 220408_[성명서] 양천향교역 에스컬레이터 장애인 추락 사망 서울시는 공식 사과하라! 한자협 04-13 6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