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자

[카드뉴스] 말 없이 사라지는 산정 특례?!

  • [카드뉴스]
  • 한자협
  • 05-25
  • https://www.kcil.or.kr/post/420

b50d98dd535f94cdfb09ecbd76fd4088.jpg
a034ab1e1b389cd024caa10742537ebd.jpg
64f1005b3cb5dddce0bfd756633fd0da.jpg
07b077a66f57fc50675bcc4f67ea5a7b.jpg
d30c2649f60d710a7a1a9e9f7472415a.jpg
d6f6c3d58a85b442e76f895fe1c9f8ac.jpg
4138bde1f352783249430eab05e3d5f4.jpg
ee9bbad4b743af428c8828b04286a7cb.jpg
40477ca7057b94e6706645b6a72c2ca8.jpg
e959d235ddb421c678d84264d6bae668.jpg
(이미지 속 텍스트)


1.

제목: 말 없이 사라지는 산정 특례

특례? 활동지원 시간이 깎인다고?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2.

2019년 7월 1일, 장애등급제의 단계적 폐지로

인정조사가 서비스 지원 종합조사로 변경됐습니다.

“수요자 중심의 장애인 지원 체계 구축…”

“장애인 욕구・환경 등을 고려한 서비스 지원…”

(복지부 보도자료 등)


3.

그러나 복지부의 발표와 달리

여전히 의학적 기준을 유지했고

옷 갈아입기, 목욕하기, 집 안 걷기 등

장애인이 얼마나 무능한지를 판단했습니다.


4.

‘한정된 예산으로 등급을 나눠 심사가 과하게 엄격하다’,

‘조사원 개인의 주관적 판단이 개입될 수 있다’,

‘장애인 당사자의 욕구와 필요를 반영하지 않는다’ 등

장애계는 지속적으로 문제를 지적했지만 변화는 없었습니다.


‘호흡기를 낀 전신마비인데 시청각 장애도 있고,

그러면서도 직장 생활을 하는데,

1인 독거이거나 노부모 등과 함께 살고,

이동에 제약이 있는 데다가

승강기 없는 지하나 2층에 살아야’

최고점인 465점을 받아 하루 16.16시간을 받을 수 있다는

웃지 못할 농담도 있었습니다.


5.

결곽 활동지원 시간이 삭감됐습니다.

최혜영 의원실에 따르면

종합조사를 받은 57,370명 중

14.5%인 8,333명이 지원 시간이 하락했습니다.

평균은 22시간, 최대 241시간입니다.


6.

당시 정부는 시간이 삭감되는 이들에 대해

3년간만 보전해주는 ‘산정 특례’를 시행했지만,

그마저도 올해 7월부터 순차적으로 종료됩니다.

시간이 깎이거나 자격이 박탈되는 이용자들이

올해만 2,913명입니다.

그러나 정부는 여전히 대책이 없습니다.


7.

그래서 우리는 투쟁합니다.

“장애는 더 심화되고 있지만,

주어진 것을 빼앗는 것은 너무나도 익숙한 것입니다.

활동지원이 동정을 구걸하는 것입니까?”

- 장애여성독립생활센터 ‘숨’ 진은선 소장


8.

서비스 지원 종합조사 체계 자체가 문제입니다.

생존의 문제입니다.

산정 특례 문제의 책임 있는 해결까지

줄기차게 투쟁하겠습니다.

-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최용기 회장


9.

우리는 원합니다.

특례 시간 말고 권리의 시간을

능력도 조사 말고 욕구도 조사를

의학적 판단 말고 자립생활 지원을.

우리는 요구합니다,

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해 장애등급제 완전 폐지를!


10.

기존 시간 보전하고 종합조사 전면 개편하라!

장애인권리예산 편성하고 장애등급제 진짜 폐지하라!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협의회]


끝.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기타 ⭐️ 교육 신청은 여기로 ⭐️ 한자협 09-13 4,308
293 보도&성명 220506_[보도자료]_기획재정부 추경호 장관 후보자 장애인권리예산 보장 면담 촉구 결의대회 (2022.5… 한자협 05-12 774
292 보도&성명 220506_[보도자료]_2022서울지방선거장애인차별철폐연대 투쟁 결의대회 (22.05.06) 한자협 05-12 724
291 보도&성명 220429_[보도자료]_420 장애인차별철폐공동투쟁단 해단식 및 장애인노동권 3대 요구안 쟁취 결의대회 한자협 05-12 732
290 보도&성명 220429_[보도자료]_420 장애인차별철폐공동투쟁단 해단식 및 장애인노동권 3대 요구안 쟁취 결의대회 한자협 05-12 739
289 보도&성명 220428_[보도자료]_추경호 기획재정부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 질의 내용 및 29차 ‘출근길 지하철 탑니다… 한자협 05-12 887
288 보도&성명 220428_[보도자료]_4.28(목) 2022교육감선거대전장애인연대와 성광진 대전광역시교육감 예비후보 정책… 한자협 05-12 738
287 보도&성명 220427_[논평]_장애인의 하루도 비장애인과 동일한 24시간이기에 한자협 04-28 691
286 보도&성명 220427_[보도자료]_4.28(목) 장애인권리·민생4법 제·개정 촉구 Disability Pride 행진… 한자협 04-28 666
285 보도&성명 220426_[사후 보도자료]_4월 임시국회 내 장애인평생교육법과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ㆍ개정 촉구… 한자협 04-28 708
284 보도&성명 220426_[보도자료]_장애인 권리예산 중앙정부 책임강화 국회 연속토론회 제1회차 “장애인 이동권 지역 간… 한자협 04-28 787
283 보도&성명 220425_[성명서]_전장연의 지하철 캠페인은 교통방해죄라는 사법처리의 기준으로 판단할 문제가 아니다.(2… 한자협 04-28 693
282 보도&성명 220425_[보도자료]_장애인권리․민생4법 제․개정 촉구 Disability Pride 행진 국회는 ‘검수… 한자협 04-28 775
281 보도&성명 220425_[보도자료]_4.26(화) 4월 임시국회 내 장애인평생교육법과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제ㆍ… 한자협 04-28 698
280 보도&성명 220424_[보도자료]_전장연 지하철행동의 경찰조사에 따른 기자회견, ‘경찰은 수십년간 장애인권리를 위반 … 한자협 04-28 810
279 보도&성명 220422_[보도자료]_4.22(금) '제28차 출근길 지하철을 탑니다’ 장애인권리예산 기획재정부 답변 촉… 한자협 04-28 701
278 보도&성명 220421_[보도자료]_’제27차 출근길 지하철 탑니다.’ 재개에 따른 입장 (2022.4.21.(목)) 한자협 04-28 678
277 보도&성명 220420_[입장문]_인수위 장애인정책 브리핑에 대한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의 입장 한자협 04-28 776
276 보도&성명 220420_[보도자료]_전국탈시설장애인연대 출범식 한자협 04-28 784
275 보도&성명 220419_[보도자료]_2022년 21회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 투쟁결의대회 (2022. 4. 20.(수)… 한자협 04-28 801
274 보도&성명 220418_[보도자료]_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의 날 맞이, 제 20대 윤석열 정부에 따른 인수위에 대한 입… 한자협 04-28 703